오라클을 로컬에서 테스트 하기 위해 정식 버전을 다운 받으면 2GB 정도 되기 때문에 가벼운 XE 버전을 다운받아서 설치 하는게 편리 합니다오라클이 현재 19까지 나와있지만 예전 버전을 다운받아 설치해 보려고 합니다일단 오라클 사이트에 접속을 합니다.


Oracle Database 홈페이지

www.oracle.com


영문 사이트와 한국 사이트는 비슷해 보이지만 제공하는 정보가 달라 영문 사이트에 접속 해야 합니다사이트에 들어가면 쿠키를 수락해야만 다음 단계로 넘어가도록 되어 있습니다.


Oracle Express Edition 11g


모든 쿠키 수락을 선택 하고 상단 우측에 로그인 (영문 sign in)을 선택 하고 로그인을 합니다


Oracle Express Edition 11g


계정이 없으면 하나 만들면 됩니다사용 가능한 이메일 주소만 하나 있으면 만들 수 있습니다.


Oracle Express Edition 11g


로그인을 하고 메인 페이지에서 Downloads 아이콘을 클릭 하면 최신 버전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습니다.


Oracle Express Edition 11g


11g가 보이는 군요 다운로드로 들어가 봅니다.


Oracle Express Edition 11g


정식 버전들의 사이즈가 2G 이군요아래로 조금 더 내려갑니다.


Oracle Express Edition 11g


Express Edition이 있습니다. 운영체제를 확인 하고 클릭해 봐야죠.


Oracle Express Edition 11g


페이지가 이동되고 제가 찾는 파일까지 왔습니다다운 받으려면 라이센스 Accept를 선택해 줍니다.


Oracle Express Edition 11g


이제 필요한 파일을 선택만 하면 다운로드가 진행 됩니다.

 

다운로드 받은 파일을 적당한 폴더에 놓고 압축을 풀어 줍니다.


Oracle Express Edition 11g


DISK1 폴더에 setup.exe을 이용하여 설치를 진행 합니다.  XE 버전은 설치가 간단하니 죽 넘어가다가 설명이 필요한 부분만 보겠습니다.


Oracle Express Edition 11g


설치 프로그램이 로딩되고


Oracle Express Edition 11g


Next 버튼을 클릭 합니다.


Oracle Express Edition 11g


라이선스에 동의 하고 Next 버튼을 클릭 합니다.


Oracle Express Edition 11g


설치할 용량을 확인 하고 드라이브 용량이 적으면 Browse를 클릭 해서 변경 합니다.


Oracle Express Edition 11g


SYSTEM 계정 비밀번호로 나중에 로그인 하려면 꼭 필요하니 잘 기억해 둡니다.


Oracle Express Edition 11g


8080 포트를 사용 중인경우 볼 수 있는 화면 입니다. HTTP Port8081(편한대로) 변경해 줍니다. 다른 프로그램이 사용하고 있어서 충돌이 날 수 있는지 확인을 해야 합니다만일 사용 중 8080 포트 오류가 발생하면 설치 후에 수정하면 됩니다컴퓨터 하나에 여러가지를 설치 하면 당연히 충돌이 납니다.


Oracle Express Edition 11g


이제 설정이 끝났고 Install을 클릭하여 설치를 진행 합니다.


Oracle Express Edition 11g


쭉쭉 설치가 됩니다.


Oracle Express Edition 11g


설치가 끝났네요.


Oracle Express Edition 11g


Start Database를 클릭해서 DB를 활성화 합니다설치중에 만든 SYSTEM으로 로그인을 해볼까요?


Oracle Express Edition 11g


이번엔 Run SQL Command Line을 선택 합니다.

 

SQL> connect SYSTEM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접속이 되면 table 리스트를 확인해 봅니다.


SQL> select * from tab; 


Oracle Express Edition 11g


설치도 잘 되었고 접속도 잘 되는 군요성공입니다.


eclipse에서 express 프로젝트를 생성해 보았는데요.

( [node.js] eclipse에서 express를 이용한 웹 서버 테스트 )


express로 프로젝트를 만들었을 때 자동으로 생성되는 디렉토리와 파일들이 있습니다.

이걸 간단하게 설명 하면


Dir / File

 설명

 app.js

 사이트에 대한 모든 정보가 들어 있습니다.

 port : 서버를 접속하기 위한 포트
 route 정보 : 접속 url에 따른 서비스 호출

 /public

 화면을 보여주는데 필요한 리소스 들로 image, javascript, css등이 위치 합니다

 /routes

 기능 또는 서비스별 view의 위치

 /views

 view 관련 파일들


기본적으로 생성된 디렉토리 하위에 필요한 디렉토리와 파일을 생성하면 됩니다.

 

그럼 생성된 파일들의 구조를 살펴 보겠습니다.




하나씩 따라가 볼까요?


1.1) app.js 파일에서

1.2) routes = require('./routes')

-> routes ./routes 디렉토리를 대입하고

1.3) app.get('/', routes.index); 

    -> ‘/’ 로 접속하면 ./views/index.jade를 호출 하는데

1.4) layout


다음으로는


2.1) app.js 파일에서

2.2) user = require('./routes/user')

   -> user./routes/user를 대입하고

2.3) app.get('/users', user.list);

  -> ‘/users’로 접속하면 user.list를 호출하라고 합니다.

2.4) 이건 views를 호출하지 않습니다.

 

그럼 url을 하나씩 호출 해 보겠습니다.


http://localhost:3000/


viewsindex파일을 렌더링 합니다.


exports.index = function(req, res){

  res.render('index', { title: 'Express' });

};

 



http://localhost:3000/users


view 호출 없이 텍스트를 받아 왔습니다.

exports.list = function(req, res){

  res.send("respond with a resource");

};



- copy coding -



console에서 express 프로젝트를 만들어 테스트 해봤으니 이제 eclipse에서 해보겠습니다.


console mode는 아래 링크를 참조 하세요.

[node.js] express를 이용한 console 모드 웹 서버 테스트



eclipse에서 express 프로젝트 만들기는 거의 클릭만 하면 되기 때문에 상당히 쉽습니다.

 

먼저 신규 프로젝트를 만들어야 겠죠.


eclipse에서


File > New


를 선택 하면 Noje.js Express Project 가 보입니다.



안보이나요?


한번도 Express 프로젝트를 만들지 않았으면 안보일 수도 있습니다.

그때는 하단에 Other…를 선택 합니다.

 


Other… 를 선택 하면 창이 뜨는데 이곳에서 Node.js Express Project를 선택 합니다.



이것도 안보인다고요?

그럼 node.js plug-in을 설치하지 않아서 입니다.


nodejs eclipse 개발 환경 설정

링크를 선택해서 설치 방법대로 작업을 합니다.


어찌 되었든 둘중에 한가지 방법으로 Node.js Express Project를 선택하면

프로젝트 명을 입력하는 창이 나옵니다.


적당히 이름을 기입 합니다.

저는 myProject 라고 적었습니다.



[Finish] 버튼을 클릭하면 파일들이 주르륵 생기는 군요.

 


package.json 파일을 볼까요?



시작 하려면 node app.js라고 명령어를 사용 해야 하고

jadeclient 쪽을 구현 한다는 군요.

 

그럼 npm을 이용해 package.json 파일에 있는 것을 설치 해 봅니다.

 

프로젝트에 우측 마우스를 놓고 클릭 하면 중간 아래쪽에 Run As가 보입니다.

거기서 npm Install을 선택 합니다.



설치를 하면서 Console 창에 머라고 하네요.

 

. 설치를 다 했다네요.



Update도 해볼까요?

npm Install 바로 아래에 있습니다.



이번에도 Console 창에 머라 하는군요.

에러만 아니면 됩니다.



이제 필요한건 모두 설치가 끝났고 실행을 할건데

포트가 먼지 알아야 client에서 확인을 할 수 있겠죠?


app.js를 보니 포트는 3000 이라고 적혀 있습니다.

변경하려면 숫자를 고칩니다.



지금까지 키보드로 글자를 적은건 myProject 밖에 없네요.

 

잘 되는지 확인을 해볼까요?



이번에는 Run As 에서 Node Application을 선택 합니다.

 

Console 창을 볼까요?



3000번 포트로 Express server가 대기하고 있습니다.

 

그럼 웹 브라우저를 하나 열고 http://localhost:3000/ 을 입력하고 확인 합니다.

 

잘 나옵니다.


eclipse express


이번에도 해피엔딩입니다.


- copy coding -


node에서 express를 이용해서 간단한 웹 서버 테스트를 해보겠습니다.

console 모드에서 작업하는걸 기준으로 테스트 합니다.


기존에 node.js가 설치되어 있어야 합니다.

expressnode에 기본으로 들어있지 않아 설치 해야 합니다.

local용으로 설치가 어떻게 되는지 테스트만 하기 때문에 –g 옵션은 생략 합니다.


nodejs express console

 

설치 명령은 다음과 같습니다.


>npm install express@2.5.x




설치를 하면 node_modules 디렉토리가 생성되고 하위 디렉토리는



이렇게 생성이 됩니다.



그런데 저는 2.x가 아닌 최신 버전으로 테스트 하려고 합니다.

 

동일한 명령어로 npm insall express라고하면 설치는 진행 됩니다.

 

그러나 express 4.0부터는 설치 명령어가 변경 되었습니다.

 

만약에 기존 명령어로 express 4.0이상을 설치하고 프로젝트를 생성하면

설치는 되는데 프로젝트를 생성 할 때 오류가 발생 합니다.




그럼 express 4.0이상을 설치하는 제대로 된 명령어로 설치를 해 볼까요?

버전을 적지 않았으니 최근 버전이 설치가 되겠죠.


>npm install -g express-generator


이렇게 하면 4.0 이상 최신 버전을 설치 할 수 있습니다.



4.16.0 버전이 설치 되었군요.


그리고 또 다른 변화.

생성된 디렉토리 구조도 변경이 되었습니다.


4.0이상 node_modules 디렉토리 구조를 보면



2.x 대와는 너무 많아서 일부만 가져왔습니다.

, 많은 모듈들이 4.x 대에서는 추가가 되었습니다.

 

이제는 프로젝트를 생성해 볼까요?


>express myProject


뭔가 주르륵 아무 설명도 없이 디렉토리들이 만들어 집니다.

.


고맙게도 하단에 어떻게 하면 테스트가 이루어 지는지 친절하게 설명을 해주고 있네요.


알려주는 방법 그대~로 테스트를 진행 하면 결과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우선 생성된 프로젝트의 구조와 파일들을 보면




제일 중요한 app.jspackage.json 파일이 하단에 있습니다.

 

하나씩 알려준 순서로 테스트를 진행해 보겠습니다.

 

 Project 가 생성된 directory로 이동하고


     > cd myProject

 

package.json에 있는 dependency를 설치 합니다.


     > npm install



npm install 명령을 실행하면 위에서 설명한 버전별 node_modules 디렉토리가 생성됩니다.




app.js를 이용하여 서버를 띄웁니다.


     > SET DEBUG=myproject:* & npm start



서버가 Port 3000으로 기다리고 있다네요.


지금 만나러 가볼까요?



. 해피엔딩 입니다.


- copy coding -


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