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운영체제(windows, linux)를 설치하기는 귀찮고 잠시 테스트만 해보고 싶은 경우 온라인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곳이 있어서 소개를 할까 합니다.

회원가입 없이 사용가능한 사이트만 모아보았습니다.

물론 무료긴 하지만 광고가 덕지덕지 붙어 있는 사이트도 있고 안그런 곳도 있습니다.

 

제일 많은 운영체제를 사용해볼 수 있는 사이트는 아래 주소입니다.

https://www.onworks.net/os-distributions

 

상단 메뉴에는 리눅스 계열만 있는데 찾아보면 윈도우쪽도 있습니다.

 

사이트 하단에 보시면 페이징처리로 되어 있이니 찾아보면 됩니다.

일단 하나를 테스트 해보기로 하고 CentOS를 선택해 보았습니다.

 

https://www.onworks.net/os-distributions/rpm-based/free-centos-workstation-online

 

페이지가 바뀔때 마다 파란색 버튼을 클릭하면 됩니다.  그리고 페이지마다 광고가 있습니다.

 

한번에 시작을 하지 않고 페이지를 이동하며 광고를 보도록 해놓았네요.

 

한번더 광고를 시청하고

 

이제 시작 합니다.

 

! 이렇게 CentOS를 몇번의 클릭만으로 테스트가 가능합니다.

 

 

 

또다른 사이트로 광고없이 리눅스 테스트가 가능한 사이트 입니다.

 

https://bellard.org/jslinux/vm.html?cpu=riscv64&url=fedora33-riscv.cfg&mem=256

 

처음 로딩부분이 좀 시간이 걸리는 단점이 있습니다.

 

 

 

이번엔 UNIX 계열 사이트입니다.

 

https://www.masswerk.at/jsuix/index.html

 

 

화면에서 [open terminal]을 클릭해야 합니다.  이걸 찾느라 잠시 헤메고 다녔네요.

 

 

마지막으로 하나더 소개합니다.

 

https://linuxcontainers.org/lxd/try-it/

 

여기는 30분 시간제한이 있습니다.

 

 

 

저는 리눅스 콘솔 명령어들을 설명해야하는 상황이 있었는데 다행히 온라인으로 사용할 수 있는 사이트가 있어서 유용하게 사용했습니다.

 

- copy coding -


Server에서 프로그램 작업을 할때 vi로 작업하기 싫어 울트라 에디터를 많이 사용하는데 가장 큰 이유가 힘들게 vi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인데 편안하게 windows에서 작업하는 방법을 알아 봅니다.

기능은 단순한데 윈도우에서 프로그램 코딩을 하고 FTPserver에 올리고, 수정할때는 server에서 FTP로 받아서 편집하고 다시 FTPserver에 올리는 반복작업을 울트라에디터가 대신 해주는 방식 입니다.

 

메뉴 찾기

 

UltraEdit 버전별로 메뉴의 위치가 다를 수 있는데 


ultraedit unix linux vi


이렇게 메뉴가 구성되어 있는 버전이 있고


ultraedit unix linux vi


이런 식으로 메뉴가 보여지는 버전이 있습니다그래봐야 기능은 동일 합니다.

 

FTP 설정

 

FTP 메뉴를 선택하면 팝업 창이 나타나는데 여기에 설정을 하면 됩니다.


ultraedit unix linux vi


팝업 창에서 좌측 상단 [계정] 버튼을 클릭 합니다.


ultraedit unix linux vi


계정 정보를 빼놓지 않고 잘 입력 하고 [적용] 버튼을 클릭해 줍니다.


ultraedit unix linux vi


그러면 신규 계정 정보가 좌측에 저장된걸 볼 수 있고 [적용] 버튼이 [확인]으로 변경되는데 [확인] 버튼을 클릭하면 설정 작업이 완료 됩니다.

 

문서 편집


ultraedit unix linux vi


계정에 방금 추가한 centOS가 보입니다우측 [연결] 버튼을 클릭해 줍니다.


ultraedit unix linux vi


입력된 계정으로 연결이 되고 파일들이 보입니다.  편집 하려는 파일을 선택 하고 [열기] 버튼을 클릭해 줍니다.


ultraedit unix linux vi


이제 vi 보다 편안하게 편집을 하고 Ctrl+S를 클릭하면 자동으로 server에 저장이 됩니다.

 

 

신규 파일 저장

 

server에 작업된 파일을 수정하는게 아니라 처음 파일을 생성해서 저장하는 방법도 비슷 합니다.

파일을 생성하여 작업하고 FTP 메뉴를 찾습니다.


ultraedit unix linux vi


이번에는 [FTP 저장] 메뉴를 클릭 합니다.


ultraedit unix linux vi


여기서 저장할 파일 명을 입력하고 [저장] 버튼을 클릭하면 됩니다.


ultraedit unix linux vi


Server에 저장이 잘 되어 있습니다.


- copy coding -


원격에서 다른 시스템에 접속하는 경우 보안을 강화한 방법으로 telnet 보다는 ssh로 접속을 많이하고 있고 설치 방법도 상당히 간단 합니다.

 

$ sudo apt-get install ssh


root 계정으로 작업하는 경우는 sudo가 필요 없죠.


linux ssh 설치 putty 접속


설치가 완료 되었고 사용하기 위한 설정파일을 수정 합니다.

 

$ sudo vi /etc/ssh/sshd_config

 

파일이 열리면


linux ssh 설치 putty 접속


두 곳의 주석을 삭제하고 수정합니다.

 

Port 22

PermitRootLogin yes

 

수정 후에는 ssh를 시작 합니다.

 

$ sudo service ssh start

 

실행이 되었는지 확인해 봅니다.

 

$sudo service ssh status


linux ssh 설치 putty 접속


이제 putty로 접속을 해볼까요?  putty가 없다고요다운로드 받으면 됩니다.

 

https://www.putty.org/


linux ssh 설치 putty 접속


here를 클릭 합니다.

첫 번째 Package files가 아니고 두 번째 Alternative binary files에서 자신의 운영체제 bit에 맞는 putty.exe를 다운받습니다.


linux ssh 설치 putty 접속


설치 파일이 아니기 때문에 바로 실행이 됩니다.  IP를 입력하고 Open 버튼을 클릭 합니다.


linux ssh 설치 putty 접속


로그인은 서버의 IP/PW를 입력합니다.


linux ssh 설치 putty 접속


네트워크에 문제가 없다면 잘 작동 합니다.


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