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SRDS는 귀찮은 DB Server 구축을 몇분만에 만들어서 바로 사용 가능하도록 해주는데요 아래는 Amazon RDS 프리티어에 대한 소개 문구 입니다.

 

Amazon RDS AWS 프리 티어
·         MySQL, MariaDB, PostgreSQL, Oracle BYOL 또는 SQL Server(SQL Server Express Edition 실행)를 실행하는 Amazon RDS 단일 AZ db.t2.micro 인스턴스를 750시간 무료 사용 – 매월 지속적으로 DB 인스턴스를 실행하기에 충분한 시간
·         20GB의 범용(SSD) DB 스토리지
·         자동 데이터베이스 백업과 사용자 실행 DB 스냅샷을 위한 백업 스토리지 20GB
이러한 서비스 외에도 Amazon RDS에서 DB 인스턴스를 구축하고 관리할 수 있는 AWS Management Console이 무료로 제공됩니다.
 

 

20GB 이내의 크기라면 프로젝트에 따라 다르겠지만 초기 데이터가 없는 경우라면 개발단계에서는 충분한 크기인것 같습니다.

 

 

1. RDS Database 선택

 

RDS를 생성 하려면 먼저 aws에 로그인을 하고 검색을 하면 바로 찾을 수가 있습니다.

 

 

검색창에 rds를 입력하고 우측에 나오는 RDS를 클릭하여 생성 단계 페이지로 이동 합니다.

 

 

[데이터베이스 생성] 버튼을 클릭하면 데이터베이스 생성페이지로 이동하여 생성을 시작 합니다.

 

 

여기에서 사용하려는 데이터베이스와 버전을 선택합니다.

 

생성방식 : 표준생성

엔진 유형 : 자신이 원하는 Database를 선택해 줍니다.  저는 PostgreSQL를 선택했습니다.

버전 : 희망하는 DB 버전 선택

 

 

템프릿은 무료로 테스트만 하려는거라서 [프리 티어]를 선택 합니다. 프리티어를 선택하면 하단의 가용성 및 내구성은 비활성화 됩니다.

 

 

2. RDS Database 설정

 

 

DB 인스턴스 식별자는 고유한 인스턴스명을 만드는것으로 자신이 RDS를 어떤 목적으로 생성하는지 확인할 수 있도록 만들면 됩니다.  실제 사용할 DB Name은 나중에 입력하는 항목이 나오니 혼동하지 않으면 됩니다.  물론 DB명으로 똑같이 입력해도 되겠죠.

마스터 사용자 정보는 DB에 접속할 ID와 비밀번호 입니다. 이건 DB 접속에 사용되는 ID/PW 정보이니 잘 기입하고 기억해 둡니다.

 

 

DB Server의 사양을 선택하는 것으로 RDS 설명 페이지에서 무료 인스턴스는 db.t2.micro 로 되어 있는데 db.t3.micro가 선택되어 있습니다.

이전 세대 클래스 포함을 활성화해서 t2를 찾아도 안나오는걸 봐서 t3으로 변경되었나 봅니다.

 

 

할당된 스토리지가 기본값으로 200이 되어있는데 무료가 20GB이라고 했으니 낮추고 스토리지 자동조정 활성화도 체크 되어있는데 체크를 해제 해야 합니다.  사용중 데이터 용량이 모자라면 자동으로 확장하는건데 확장하는 만큼 과금 됩니다.

 

 

3. RDS Database 연결 및 보안 설정

 

 

연결 설정은 RDS를 신규로 작성해서 사용하거나 기존에 EC2를 생성했고 EC2에서 연결해서 사용하려는 것인지에 따라 선택을 달리 하면 됩니다.

위에 있는 이미지는 RDS를 신규로 생성해서 사용하는 설정 입니다.  외부에서 RDS에 접속도 가능하게 하려는 경우 위와같이 설정을 해줍니다.

 

만일 기존에 생성한 EC2가 있고 EC2와 연결해서 사용하도록 설정을 하려면 아래처럼 설정해 줍니다.

 

 

VPC 보안그룹을 기존에 생성한 EC2와 동일하게 사용해서 퍼블릭 엑세스 항목을 보면 아예 EC2에서만 접속이 되도록 고정이 되어있습니다. 

 

 

위에서 설정 항목 입력시 입력한 마스터 사용자이름과 마스터 암호를 사용해서 접속하기 위해 암호 인증 방법을 선택 합니다.

 

 

4. RDS Database DB name 설정

 

 

초기 데이터베이스 이름이 DB name으로 여기에 사용할 데이터베이스 이름을 입력하면 됩니다.

이제 맨 하단으로 이동을 합니다.

 

 

5. RDS Database 생성

 

 

중간에 나오는 값들은 대부분 추가요금을 내야하는 설정이므로 기본으로 두고 [데이터베이스 생성] 버튼을 클릭 합니다.

잠시 생성되는데 시간이 소요되니 다른일을 하다 옵니다. 

 

 

이제 RDS가 생성이 되었고 인스턴스가 사용가능하게 되었습니다.

EC2를 통한 접속이거나 외부 연결이 가능한 접속이거나 이제 DBTable을 만들어서 바로 사용하면 됩니다.

 

- copy coding -

 

AWS에서 Free Tier를 사용하다 실제로 서비스를 하기 위해서는 프로젝트에 적합한 Hardware 사양을 선택해야 합니다.

여기서는 RDS를 기준으로 예상되는 요금을 계산하는 방법을 알아봅니다.  물론 EC2등도 동일한 방법으로 계산해 볼 수 있습니다.

 

 

1. 서비스 하려는 RDS 선택

 

RDSDB Server와 관련된 온디맨드 DB 인스턴스, 예약 인스턴스 이외에 추가로 데이터베이스 스토리지, 백업 스토리지, 스냅샷등등의 서비스가 추가되어야 합니다.  그래서 어떤 Server를 선택해서 운영할 것인지 미리 결정을 해야 요금 계산기를 사용할 때 편리하게 작업이 가능 합니다.

 

https://aws.amazon.com/ko/rds/postgresql/pricing/

 

Server의 종류는 위의 링크에 접속해서 적합한 기종을 선택 합니다.

 

저는 [온디맨드 DB 인스턴스] [다중 AZ 배포(읽기 가능한 대기 2)]를 사용하기로 했고 그중 db.m5d.xlarge 이것이 마음에 드는군요. 잘 기억하거나 별도의 브라우저 창으로 띄워놓습니다.

 

 

2. RDS 요금 계산 선택

 

이제 실제 비용을 계산하기 위해 아래 링크를 클릭해서 요금 계산 화면으로 이동 합니다.

 

https://calculator.aws/#/addService

 

 

해당 리전에 있는 서비스만 검색할지 전체 서비스를 검색할지 선택하는 항목이 나오는데 [Search by location type]을 선택해서 해당 리전에서 서비스 가능한 제품만 나오도록 합니다.

그리고 리전을 선택해주면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 리스트가 아래에 나열 됩니다.

 

 

 

리스트 중에는 EC2도 있지만 지금은 RDS를 하려고 하니 이건 건너띄고 좀더 아래로 내려가면

 

 

 

이렇게 RDS들이 모여있는곳이 있습니다.  여기서 저는 [Amazon RDS for PostgreSQL]의 요금을 계산해 보려고 합니다.  [구성] 버튼을 클릭하여 상세 견적 화면으로 이동 합니다.

 

 

 

이런식으로 양식이 시작하는데 [PostgreSQL 인스턴스 사양]에서 위에서 설명드린대로 미리 서비스 하려는 인스턴스를 선택하였다면 바로 찾아서 작업할 수 있습니다. 

저는 db.m5d.xlarge 을 서비스 하기로 했으니 찾아서 적용 합니다.

 

 

 

제가 찾는 인스턴스는 하단에 있네요.  선택을 합니다.

 

 

 

[PostgreSQL 인스턴스 사양]을 선택한 화면입니다.

[계산 표시]를 누르면 금액 계산 상세 내역이 나옵니다.

 

계산 양식의 아래에 다른 항목도 서비스에 필요한 만큼 설정을 합니다.

 

 

 

[스토리지] Database를 저장할 공간을 말합니다.  서비스 하는데 필요한 데이터의 합이 어느정도 발생할지 예상을 하고 스토리지 크기를 정합니다.

이게 제일 어려운것 같은데 처음 시작 할때는 좀 작은 크기에서부터 사용고 데이터가 늘어나면 확장하면 되겠죠.

 

 

 

스토리지에 맞추어 스냅샷도 설정 합니다.

항목 하나하나 선택하고 숫자를 입력할 때마다 좌측 하단에 월별 비용이 추가됩니다.

이런식으로 실제 서비스에 필요한 항목들을 한번에 모아서 예상 금액을 계산해 볼 수 있습니다.

보면 알겠지만 여기서 트래픽 비용은 제외된 금액이니 나중에 더 올라갈것을 예상해야 됩니다.

최종 금액은 1,805.90 달러이고 아무것도 선택 하지 않은 다중 AZ 배포의 금액이 1,752.90이었습니다.  중간에 스토리지나 스냅샷을 추가해서 증가한 금액이 53달라가 추가된거네요.

 

너무 비싸네요.  저는 포기해야 겠습니다.

 

여담.

처음에는 금액을 알아보려고 실제 서비스를 신청하면 마지막 부분에서 견적 비용이 나오는줄 알고 위와같이 선택하고 인스턴스 생성버튼을 눌렀습니다.

그런데 아무런 질문도 없이 바로 인스턴스를 생성하더군요.  주말 아침에 일찍 눈이 떠져서 한번 해본건데... 값자기 깜놀해서 생성을 중지시키려고 했는데 안되더군요. 죽는줄...ㅋㅋ

그러다가 침착하게 삭제 오류를 보니 [삭제 방지 프로텍트를 해제]하라고 적혀있어서 인스턴스 생성완료전에 설정을 변경하고 삭제를 하니 생성되던 인스턴스 3개가 삭제 되었습니다.

아직 한달이 안지나서 과금이 안된건가는 잘 모르겠네요.

 

- copy coding-


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