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랜만에 주말이라 글을 쓰려고 하니 카카오계정으로 로그인해야 한다고 하며 Tistory에 로그인이 되지 않아 하는 수 없이 계정 통합작업을 진행해 보았습니다.  원래는 간단하게 진행할 수 있을것 같았는데 중간에 복병을 만나 한참을 헤매고 구글링을 해도 답도 없어서 시간이 많이 걸리게 되었습니다. 

 

어째든 일단 티스토리에 로그인을 진행합니다.

 

 

평소대로 [티스토리계정 로그인] 버튼을 클릭 합니다.

 

 

 

계정정보를 입력하고 [로그인] 버튼을 클릭 합니다.

 

 

 

로그인이 되지 않고 카카오계정으로 로그인을 하라고 안내 페이지로 나옵니다.

 

 

 

이번에는 카카오 계정이 없으니 하단의 [카카오계정으로 티스토리 시작하기]를 선택 합니다.

 

 

 

카카오계정이 없으니 로그인은 할 수 없고 회원가입을 진행하기 위해 하단 좌측 [회원가입]을 클릭 합니다.

 

 

 

이메일이 하나라도 있을테니 [이메일이 있습니다]를 선택 합니다.  카카오 또는 다음과 관련 없는사이트의 e-mail도 사용 가능 합니다.  저는 원래 티스토리 생성시 사용한 이메일을 사용했습니다.

 

 

 

필수만 선택을 하고 [동의] 버튼을 클릭 합니다.  선택이 귀찮으면 맨 위에 모두 동의를 선택 합니다.

 

 

 

이메일을 입력하고 [인증메일 발송] 버튼을 클릭 합니다.

 

 

 

입력한 메일 주소로 위 그림과 같이 인증번호를 발송하기 때문에 받은 메일에서 인증 번호를 가져와

 

 

 

입력 해주고 [인증번호 확인] 버튼을 클릭 합니다.

 

 

 

이제 비밀번호와 닉네임을 입력 한 후 [다음] 버튼을 클릭 합니다.

 

 

카카오 계정 등록이 완료 되었군요. [시작하기]를 클릭하면 새로운 tistory를 생성하는 사이트로 이동을 하게 되니 그냥 티스토리 로그인 페이지로 가야 합니다.  혼동을 줄 수 있는 페이지 입니다.

 

다시 원점으로 이동해서

 

 

이제는 [티스토리계정 로그인]을 선택 합니다.  아직 티스토리 계정을 카카오 계정으로 전환하게 아니므로 티스토리 계정으로 로그인 해야 합니다.

 

 

 

티스트로 계정으로 로그인을 진행 합니다. 

 

 

 

이 화면이 안나오고 계속 Tistory 첫 페이지로 넘어가는 경우가 있습니다.  계속 이것저것 해봐도 제자리입니다.  여기서 제일 많은 시간을 허비했는데 그냥 포기하고 다시 컴퓨터를 껏다 켜거나 다른 컴퓨터에서 진행해야 됩니다.

[카카오계정으로 전환하기] 버튼을 클릭 합니다.

 

 

 

저의 경우는 다른 컴퓨터에서 진행을 하였고 [카카오계정으로 전환하기] 버튼을 클릭 했는데 다시 티스토리 로그인 페이지로 돌아와서 순간 당황을 하였습니다.  어째거나 다시 티스토리 계정으로 로그인을 하니 아래 화면으로 이동을 해서 한시름 놓았습니다.

 

 

 

[시작하기] 버튼을 클릭 합니다.

 

 

 

카카오 계정 로그인 화면입니다.  위에서 생성한 카카오 계정으로 로그인을 진행 합니다.  카카오계정 전환이 완료되면 앞으로는 이 페이지를 자주 보게 됩니다.

 

 

 

[전환하기] 버튼을 클릭 합니다.

 

 

 

이제야 완료 되었습니다.

 

금방 끝날줄 알았는데 삽질을 하다보니 1시간 가까이 걸리는군요.

그래도 다행입니다 Adfit은 몇 달 동안 로그인하면 다시 로그인 페이지가 나오고 다른 컴으로 해도 계속 로그인 페이지만 나와서 이제는 포기하고 사용을 안하고 있는데 그런 트라우마가 있어서 이번에도 몇 달간 사용 못하고 포기해야 되는 줄 알고 당황을 하였습니다.  

 

이제는 카카오계정으로 로그인을 하면 됩니다.

 

- copy coding -


Tistory에서 구글 서치 콘솔에 사이트 맵을 올리기 위해 대부분 sitemap.xml을 만들어 주는 사이트에 들어가서 본인의 티스토리 주소를 입력 하고 몇 십분 또는 몇 시간씩 기다렸다가 사이트 맵 파일잉 만들어 지면 파일을 다시 등록하고 google search console에 들어가서 위치를 입력하여야 하는 작업들을 하는 경우가 많은데 티스토리에는 자체적으로 구글 서치 콘솔로 사이트 맵을 등록할 수 있는 플러그인이 있습니다


tistory sitemap google search console


이미 아시는 분들은 잘 사용을 하고 있겠지만 모르는 분들이 있다면 얼마나 쉬운지 한번 보세요.

먼저 Tistory에 로그인을 하고 관리 페이지에서 좌측 메뉴에서 [플러그인]을 클릭 하면 


tistory sitemap google search console


우측에서 [Google Search Console] 을 찾을 수 있습니다클릭 해야겠죠.


tistory sitemap google search console


팝업창이 나타나면 Google에 로그인 하기 위한 [계정 연결하기] 버튼을 클릭 합니다


tistory sitemap google search console


본인의 계정을 선택 하고 로그인을 진행 합니다.


tistory sitemap google search console


Tistory에서 Google에 접속을 요청하게 되고 [허용] 버튼 클릭하면 사이트가 연결이 됩니다.


tistory sitemap google search console


 연결이 성공 했다는 팝업을 볼 수 있습니다.


tistory sitemap google search console


티스토리와 구글 서치 곤솔을 연결 하였으니 [적용] 버튼 클릭해서 계속 사용할 수 있도록 해 줍니다이것으로 연결 작업이 완료 되었습니다.


그럼 Tistory 에서 제출한 SitemapSitemap을 생성하는 사이트에서 만들어준 Sitemap을 제출한 경우는 어떤 차이가 있을 까요?


tistory sitemap google search console


상단이 Tistory에서 제출한 Sitemap URL 수 이고 하단이 사이트를 이용해서 생성한 Sitemap을 제출한 경우의 URL 수 입니다. 티스토리에서는 필요한 링크만 제출을 하고 사이트에서 만든 sitemap에는 자동으로 추출하다 보니 불필요한 폴더 정보등이 다수 들어 있어서 차이가 납니다물론 어느 것을 사용 할지는 본인들의 선택 사항이겠지만 참고 삼아 비교해 보았습니다.


- copy coding -


티스토리에 광고를 연결한지 몇개월 되지 않은 어느날 블로그에서 광고가 사라지는 일이 있었습니다처음에는 내가 쓴 글에 문제가 있나 찾아보고 혹시 구글 정책에 위배된게 있나 해서 메일도 다 뒤져보고 무슨 메일이 올까봐 하루에도 몇번씩 열어보기도 하고 광고를 잘못 단게 있나 해서 스크립트를 다시 복사해서 붙여 넣기도 하고 광고를 하나씩 빼보기도 하고 가능한 방법을 다 해보아도 안나타 나더군요.

 

그때 나타나는 chrome console log


google adsense


 

The resource https://pagead2.googlesyndication.com/pagead/js/r20190715/r20190131/show_ads_impl.js was preloaded using link preload but not used within a few seconds from the window's load event. Please make sure it has an appropriate `as` value and it is preloaded intentionally.

 

이렇게 나오던데 이것 만으로도 추측이 안되더군요.

그래서 google adsense를 포기하고 daum adfit에 가입을 하고 연결 했습니다물론 하단에 애드센스 1개를 혹시나 하고 연결을 하고 한참을 보냈습니다그랬더니 약 2주 후에 광고가 다시 나타나기 시작을 했습니다.


google adsense


아직도 이유가 뭔지는 모르겠지만 인간사 새옹지마라고 사람들이 광고클릭에 왜그리 인색한지 올린 글이 너무 형편 없나 애드센스 5개월동안 1달러도 못벌었는데 adfit을 달고는 1개월에 1,000원은 들어오네요혹시 애드센스 광고가 사라졌다면 잠시 기다려 보시고 애드핏도 병행해서 사용해 보세요.


- copy coding -

'Internet Info' 카테고리의 다른 글

Daum AdFit 가입 5분 완성  (0) 2019.11.03
구글 애드센스 외국어 광고 차단  (0) 2019.11.02
구글 크롬 배경색 테마 변경  (0) 2019.10.19
java Web Chart 모음  (0) 2019.10.04
전역일 출산예정일 배란일 계산기  (0) 2019.05.19

이글을 읽지 마시기 바랍니다.  티스토리에서 글쓰기 기능을 변경되면서 아래와 같은 좋은 기능들이 사라졌습니다.  요즘 티스토리 정책 변경 방향은 카카오의 기술력을 의심하게 만드는 군요.

 

티스토리에 글을 쓰다 보면 상세한 설명보다 표로 깔끔하게 정리가 필요해 표를 조금 예쁘게 그리려고 열심히 자료를 찾아서 CSS를 만들고 모두 HTML로 하드코딩 해서 붙여야 하는 조금 귀찮고 힘든 작성 방법이지만 결과가 맘에 들었습니다

 

tistory_grid_msoffice

 

그런데 모바일에서는 CSS가 적용이 되지 않아 이상한 모양으로 보입니다.

 

tistory_grid_msoffice

 

좀더 간편한 방법을 찾고자 엑셀을 이용해보기로 하고 표를 작성하고

 

tistory_grid_msoffice

 

글쓰기에 붙여넣기를 해봤습니다.

 

그리드와 색상정보가 사라집니다.

 

tistory_grid_msoffice

 

엑셀을 이용 하는건 아닌가 봅니다.

 

MS Office는 서로 호환이 되니까 엑셀 표를 워드로 복사해 보았습니다역시 표가 그대로 그려집니다.

 

tistory_grid_msoffice

 

이제는 MS Word에서 표를 복사하고 티스토리 글쓰기에 복사해 봅니다.  모든 기능이 잘 작동하고 붙여넣기가 됩니다.

 

tistory_grid_msoffice

 

핸드폰에서도 잘 나옵니다.

 

tistory_grid_msoffice

 

저의 경우는 화려한 표가 중요한게 아니고 표에 있는 내용이 중요하니 그냥 워드에서 생성해 복사 하는것으로 결정 했습니다.

 


12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