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안드로이드 스튜디오를 설치하고 스마트폰 앱을 개발하는 경우 대부분 AVD 가상 장치를 이용하여로 테스트를 진행 하는데 어느정도 완성이 되면 실제 핸드폰을 이용하여 테스트를 해야 합니다.  이때 핸드폰을 개발자 모드로 설정 하였지만 컴퓨터에 연결을 해도 Android Studio에서 인식을 하지 못하여 테스트를 할 수 없는 상황을 격게 됩니다.  물론 어떤 기종의 스마트폰은 USB로 연결 하자 마자 쉽게 인식이 되는 경우도 있고 어떤 기종은 계속 오류가(오류라기 보다는 연결이 안됨) 발생 합니다.

 

 

위의 그림은 스마트폰을 USB로 연결하여도 디바이스를 찾지 못하고 가상 디바이스만 나타나는 현상 입니다.  이런 경우는 컴퓨터 운영체제 버전이 낮거나 업데이트가 안되어 스마트폰 드라이버를 지원하지 못하여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스마트폰용 USB 드라이버가 설치되지 않아서 인식을 못하는 상황이 발생한 것입니다.

 

 

확인을 하려면 스마트폰을 USB로 연결하고 [드라이버 소프트웨어 설치] 창을 열어보면 오래된 운영체제 또는 업데이트가 안된 경우 드라이버를 찾지 못하여 계속 찾기를 반복만 하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제가 사용하고 있는 삼성폰으로 설명을 진행 하지만 다른 제조 회사 제품도 동일한 현상이 발생하면 아래의 방법으로 해결을 하면 되는데 인식이 안되는 스마트폰은 제조사 마다 USB 드라이버를 제공하고 있으니 제조사 홈페이지에 들어가 통합 드라이버를 다운받아 설치를 진행 하면 간단히 해결 할 수 있습니다.

 

삼성 스마트폰 드라이버 다운로드 사이트 접속 주소 입니다.(각 제조사별로 작업합니다.)

https://developer.samsung.com/mobile/android-usb-driver.html

 

 

SAMSUNG_USB_Driver_for_Mobile_Phones.exe 를 클릭 하면 드라이버 다운로드가 바로 진행되고 완료 되면 실행 하여 드라이버 설치를 진행 합니다.  설치 작업은 대부분 기본 설정된 버튼을 클릭 하면 됩니다.

 

 

 

 

여기 까지는 설치를 위한 설정 진행입니다.

 

이제 [설치] 버튼을 클릭 하면 드라이버 설치가 진행 됩니다.

 

 

설치가 진행 되고

 

 

설치가 완료되면 [마침] 버튼을 클릭 하여 종료 합니다.  경우에 따라 바로 장치를 인식하는 경우도 있고 컴퓨터를 재시작 해야 스마트폰을 인식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저는 Windows 7인데 다시 시작을 해야 인식이 되었습니다.  윈도우 창 우측에서 [드리이버 소프트웨어 설치] 창을 열어보면

 

 

 

계속 찾기로 빙빙 돌던 아이콘이 체크로 변하고 상태도 [사용 준비 완료]로 변경 되어 있고 스마트폰을 사용할 수 있는 상태가 된 것 입니다.

 

 

안드로이드 스튜디오를 열어보면 데스트 디바이스가 가상 디바이스에서 연결된 실제 스마트폰으로 변경된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이제부터는 상황에 따라 가상 디바이스 또는 실제 스마트폰을 선택하여 테스트할 수 있는 환경이 마련 되었습니다.

 

- copy coding -

 

USB에 윈도우 10을 설치하고 아무 컴퓨터에나 꽂으면 자신만의 작업 환경으로 작업이 가능하며 이동하며 작업을 해야 하는 경우에는 컴퓨터를 가지고 다니지 않아도 개인 컴퓨터 처럼 사용이 가능 합니다

 

Windows 10은 마이크로소프트에서 무료로 다운받아 설치가 가능 합니다, 시리얼 번호는 구매를 하던가 개인적으로 해결을 해야 합니다.

 

 

1. Windows 10 다운로드

 

 

Windows 10을 다운 받으려면 마이크로소프트 사이트에 접속 합니다.

 

 

https://www.microsoft.com/ko-kr/software-download/windows10

 

USB Windows 10 설치

 

지금 도구 다운로드를 클릭 하면 작은 용량의 파일을 하나 다운로드 합니다.

 

USB Windows 10 설치

 

windows 10을 바로 다운로드 하는 것이 아니라 조건에 맞게 제공 하기 위한 설치 안내 파일이라고 이해 하시면 됩니다다운로드 받은 MediaCreationTool1809.exe 파일을 실행 합니다.

 

 

잠시 서버와 연결을 준비 하고 사용권 동의 화면이 나옵니다.

 

USB Windows 10 설치

 

동의 버튼을 클릭 하면 다음으로 넘어 갑니다.

 

USB Windows 10 설치

 

원하는 작업은 다른 PC용 설치 미디어 만들기를 선택 하고 다음을 클릭 합니다.

 

USB Windows 10 설치

 

처음 화면에서는 각 선택 값을 변경할 수 없도록 되어 있습니다.  아래 이 PC에 권장 옵션 사용 체크를 해제 하면 위에 있는 조건들을 수정할 수 있습니다.  선택이 완료 되면 다음 버튼을 클릭 합니다.  저는 그냥 다음 버튼.

 

USB Windows 10 설치

 

temp 파일용 C: 폴더에 용량이 부족하면 진행 하다가 중단이 됩니다.  C: 용량을 체크 하고 진행하세요용량이 충분하면 아래 화면이 나옵니다.

 

USB Windows 10 설치

 

ISO 파일을 선택 하고 다음 버튼을 클릭 합니다.

 

USB Windows 10 설치

 

다운받을 폴더를 선택 하고 저장 버튼을 클릭 합니다.

 

USB Windows 10 설치

 

드디어 다운로드가 진행 됩니다.

 

 

몇 분 후

 

USB Windows 10 설치

 

다운로드가 완료 되었습니다.

 

 

2. WinToUSB 설치

 

2021년 12월 05일 수정

작동이 안된다고 하시는 분들을 위하여 최신(6.5) free 버전을 사용하에 테스트를 진행 하였고 잘 작동됨을 확인 하였습니다.  
한가지 기록이 안된 부분은 메인 보드 부팅시 BIOS가 예전 컴퓨터는 MBR(Legacy)을 지원하였는데 최근에는 UEFI를 지원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두가지 모드를 BIOS에서 선택이 가능한 메인보드도 있으니 UEFI이외의 모드로 선택이 되었는지 확인 후 사용 하세요.
WinToUSB는 MBR은 무료이고 UEFI는 유료 입니다.

 

이제 Windows 10USB에 설치 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다운받습니다여기서는 WinToUSB를 이용 합니다.   

 

https://www.easyuefi.com/wintousb/index.html

 

 

https://wintousb.kr.uptodown.com/windows/download

 

 

다운로드한 wintousb-3-9.exe 파일을 실행 하여 설치 합니다설치 방법은 다음 버튼만 클릭하는 간단한 수준 입니다그냥 이미지만 보시면 알 수 있습니다.

 

USB Windows 10 설치

 

. 여긴 확인 버튼을 선택 합니다.

 

USB Windows 10 설치

 

사용권 계약에 동의하고 다음을 선택 합니다.

 

USB Windows 10 설치

 

다음을 선택 합니다.

 

USB Windows 10 설치

 

또 다음을 선택 합니다.

 

USB Windows 10 설치

 

한번 더 다음을 선택 합니다.

 

USB Windows 10 설치

 

이젠 설치를 선택 합니다.

 

USB Windows 10 설치

 

그냥 구경만 합니다.

 

USB Windows 10 설치

 

설치가 완료 되었습니다이제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USBWindows 10을 설치하도록 하겠습니다설치도 클릭 몇 번만 해주면 완료 됩니다.

 

 

3. Windows 10 설치

 

설치한 wintousb 파일을 실행 합니다.

 

USB Windows 10 설치

 

프로그램을 시작 하면 업데이트 확인 창이 나오는데 확인 버튼을 클릭 합니다.

 

USB Windows 10 설치

 

다운받은 Windows 10.iso 파일 위치를 설정 하고 설치할 운영체제를 선택 합니다.  windows.iso의 출처에 따라 운영체제의 종류가 다르게 보일 텐데 그 중에 하나를 선택 하면 됩니다. 그리고 다음을 선택 합니다.

 

USB Windows 10 설치

 

팝업 창에서 파티션 포맷은 MBR을 선택 하고 예를 누르고 메인 창에서 다음 버튼을 클릭 합니다.

 

USB Windows 10 설치

 

USB를 포맷합니다.

 

USB Windows 10 설치

 

레거시를 선택 하고 다음 버튼을 클릭하여 설치를 진행 합니다.

 

USB Windows 10 설치

 

설치가 진행 됩니다.

 

USB Windows 10 설치

 

설치가 완료 되었습니다이제 BIOS에서 USB 부팅을 선택 하고 사용하면 됩니다.


버전마다 설치화면이 조금씩 변경되고 있습니다. 자신이 가지고 있는 rufus 파일의 버전을 확인하고 작업을 진행 하시기 바랍니다. 작업 방법은 거의 차이가 없습니다.

최신 버전은 rufus 사이트에 가시면 받을 수 있고 저는 무설치(Portable) 버전을 추천 합니다. 제가 작업 중에 받은 파일을 첨부 합니다이 파일은 GNU GPL v3에 준하여 배포 합니다.

 

rufus-3.4p.exe

 

사이트에서 직접 다운로드 하시려면 아래 주소로 이동하시고 그림에 나와 있는 곳에서 원하는 형태의 파일을 다운로드 받으시면 됩니다.


https://rufus.ie/


windows_install_usb_Rufus


준비물


rufus 실행 파일

 - Windows 7 또는 10 iso 파일

 - 포맷해도 되는 USB 메모리 8GB 정도 용량


준비 되었다면 설치 USB 만들기를 시작 하면 됩니다.

USB 메모리를 미리 컴퓨터에 연결 합니다.

rufus-x.x.exe 파일을 실행 합니다.


windows_install_usb_Rufus


장치에 연결한 USB가 나타나는데 만일 자료가 들어있는 다른 USB가 있다면 혼동을 일으켜 포맷될 수 있으니 제거를 하는게 좋습니다선택 버튼을 눌러 운영체제 iso 파일을 선택 합니다.


windows_install_usb_Rufus


부트선택에 iso 파일명이 나타나는걸 확인하고 USB 볼륨 레이블을 적당한 이름으로 수정 합니다.

설정이 완료 되었으니 시작 버튼을 클릭하기만 하면 됩니다.

 

모든걸 기본값으로 하는데 파티션 방식만 설명 드리면

- MBR(Master Boot Recorder) : 예전 방식. HDD 2TB 까지 인식. 4개 파티션 가능

- GPT(GUID Partition Table) : HDD 8ZB 까지 인식. 128개 파티션 가능.

 

파일 시스템은 USB에 2GB이상 되는 파일을 저장 하려면 NTFS로 변경하고 작업을 진행 합니다.


설치를 하기 전에 USB에 있는 데이터가 모두 삭제 된다는 안내를 하게 됩니다작업하려는 USB가 맞는지 다시 한번 잘 보고 진행을 합니다.


windows_install_usb_Rufus


확인 버튼을 클릭하면 작업이 시작 됩니다.


windows_install_usb_Rufus


설치 USB 생성이 완료되면 특별한 완료 메시지가 나오지 않습니다.  장치 명이 설정한 값으로 변경이 되고 프로그래스 바가 완료로 표시 되면 완료되었구나 하시면 됩니다.


windows_install_usb_Rufus


이제 USB를 사용하여 Windows 7을 설치 할 수 있습니다그런데 USB 용량이 16BG인데 윈도우즈 설치로는 4GB 정도 사용하였습니다.


windows_install_usb_Rufus


10GB정도 여유가 있으니 Win7(G) 폴더로 이동해서 디렉토리를 생성하고 자료들을 저장해서 USB 본연의 데이터 저장 기능으로도 사용 합니다


windows_install_usb_Rufus


저는 OS 설치 후 필요한 util들을 저장해놓고 설치하자 마자 바로 장치 드라이버나 필요한 프로그램들을 설치 합니다.



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