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 컴퓨터를 어디에서나 원격으로 접속하여 사용하면 편리한점이 많이 있습니다.  물론 일반적으로는 그렇게 까지 사용할 이유가 없지만 집에 있는 컴퓨터를 원격접속하는 방법을 알아봅니다.

 

 

1. Windows 10 Pro 정품인증

 

Windows 10인 경우 원격접속을 하려면 버전이 Pro 이상이어야 합니다.  그리고 정품 인증이 되어 있어야 기능이 작동 하도록 설정할 수 있습니다.  Windows 10 Pro는 마이크로소프트사 홈페이지에서 받으면 되고 정품 인증은 싸게 파는곳에서 구매를 하던가 어둠에서 찾던가 해야겠죠.

 

 

2. 원격 데스크톱 설정

 

준비가 되었으면 설정 팝업을 이용하여 활성화를 진행 합니다.

 

설정 팝업 창에서 [시스템]을 클릭 하고

 

 

좌측메뉴에서 [원격 데스크톱]을 선택 합니다.

 

 

 

우측에서 [원격 데스크톱 활성화]를 찾아 켬으로 선택 합니다.

 

 

3. 전원 설정

 

 

원격 작업을 하려고 밖에 나가서 사용하려는데 컴이 잠자고 있으면 안되겠죠.

좌측메뉴에서 [전원 및 절전]을 선택 합니다.

 

 

우측에서 [화면]과 [절전] 모드를 모두 사용 안함으로 변경 합니다.

편한 만큼 전기세가 들어가는데 요즘 컴은 별로 전기를 먹지 않습니다.  모니터는 나갈때 파워를 아예 뽑아놓가 나가면 대기전력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4. 비밀번호 설정

 

이제 컴에 비밀번호를 만들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설정 팝업 창 첫화면으로 돌아가 [계정] 메뉴를 찾아 선택 합니다.

 

 

좌측 메뉴에서 [로그인 옵션]을 선택하고

 

 

 

우측 화면을 스크롤 하여 [비밀번호]를 찾아 봅니다.

 

 

 

아직 비밀번호가 없는 경우의 화면입니다.

[추가] 버튼을 클릭 합니다.

 

 

 

그리고 비밀번호를 입력 하고 [다음] 버튼을 클릭 합니다.

 

 

 

비밀번호가 생성 되었습니다. 

하단의 [마침] 버튼을 클릭해 다시 설정 창으로 이동합니다.

 

 

 

 

비밀번호가 마음에 안들면 변경버튼으로 수정 합니다.

이제 컴퓨터가 원격으로 접속할 수 있는 환경이 구축 되었습니다

 

 

5. 공유기 설정

 

 

아직 한가지 문제가 남아있습니다.

집에서 인터넷 전용선을 사용하고 공용 IP가 있다면 괜찮지만 공유기를 사용한다면 포트포워딩으로 외부IP와 컴퓨터IP를 맵핑해 놓아야 합니다.

여기서는 ipTIME을 사용해서 설정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전에 올린 글 [집에서 공유기로 Server 운용하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작업을 하면 되는데 포스설정 부분만 추가해주면 됩니다.

 

 

인터넷 정보에서 [외부 IP 주소]가 집 밖에서 집으로 접속할때 사용하는 IP이고 [포트포워드 설정]에서 각각의 Port에 대응하는 컴퓨터를 연결하는 작업을 하면 됩니다.  , 외부 IP에서 어떤 Port를 사용해 접속하느냐에 따라 집에 있는 컴퓨터들(웹서버용, 개인 업무용, NAS, DAS)을 연결하는 방법입니다.

 

 

 

여기서는 원격접속연결이니 Port 3389를 내 컴퓨터의 IP에 연결해 주면 됩니다.

위의 사진을 설정 부분만 좀 확대해서 보면

 

이렇게 적고 [적용]버튼을 클릭하고 완료 합니다.

 

이제 남은건 원격 접속을 해보는것으로 다른 컴퓨터를 이용해서 밖에 나가서 테스트 해봅니다.

귀찮으면 집에서 진행해도 됩니다.

 

 

 

이렇게 하고 [연결] 버튼을 클릭하면 잠시 후 자신의 컴퓨터 화면으로 로그인 할 수 있습니다.

로그인 하면 이제 편하게 자신의 컴퓨터로 작업을 하면 됩니다.

 

- copy codiing -


파일 탐색기에서 바로 가기를 선택하면 자주 사용하는 폴더와 최근에 사용한 파일을 볼 수 있습니다


windows history erase


여기서 개별 폴더나 파일을 리스트에서 제거 하려면 마우스를 대고 우측 버튼 클릭 해서  


windows history erase


windows history erase


바로 가기에서 제거를 선택 하면 됩니다.


만일 전체 리스트를 삭제 하려면 파일 탐색기 상단에 있는 파일 메뉴에서 옵션을 선택합니다.


windows history erase


폴더 옵션 창의 일반 탭 하단 개인정보 보호 항목에 최근에 사용한 파일 표시와 폴더 표시가 있습니다.


windows history erase


기본적으로 두개 다 선택이 되어 있는데 삭제하려는 항목을 체크표시로 두고 지우기 버튼을 클릭 합니다.


windows history erase


자주 사용하는 폴더에 있는 기본 4개 이외의 폴더와 최근 사용한 파일 목록이 삭제되었습니다.   이건 실제 파일을 삭제하는 것이 아니고 그냥 최근에 사용한 기록만 지워지는 것 입니다.


windows history erase


사진 폴더에 pic.png 하나가 있고 이걸 열어봐서 최근에 사용한 파일 목록에 기록이 되었습니다그럼 실제 pic.png 파일을 삭제 해 봅니다.


windows history erase


실제로 파일을 삭제하면 최근에 사용한 파일 리스트 에서도 자동으로 삭제가 됩니다불필요한 파일은 리스트에서만 지우지 말고 실제 파일도 삭제하거나 중요한 파일 이라면 암호를 걸어서 관리 하는 것도 좋은 방법 입니다



Windows 10에는 Docker Desktop을 설치해서 사용해야 하며 Hyper-V를 켜놓지 않는 경우 설치 중에 체크를 하는 단계가 있습니다. Docker Desktop은 계정이 있어야 다운로드가 가능 합니다.

 

https://hub.docker.com/editions/community/docker-ce-desktop-windows


docker desktop install


Please Login To Download를 클릭해서 로그인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docker desktop install


회원가입이 되어 있으면 로그인을 하고 그렇지 않다면 Create Account를 클릭해서 계정을 생성 합니다.


docker desktop install


ID, PW, email을 입력하고 Continue를 클릭 해서 계정 생성을 시작 합니다.


docker desktop install


계정 생성을 하려면 입력한 메일로 본인 확인 메일이 발송 되는데 받은 mail을 확인해 봅니다.


docker desktop install


본인에게 보내온 메일을 열어 보면 위와 같이 나오는데 중간에 있는 Confirm Your Email With Docker을 클릭 하면 본인 확인이 완료 됩니다그럼 다시 다운로드 페이지로 이동 합니다.


docker desktop install


다시 다운로드 페이지에 가보면 Please Login To DownloadGet Docker로 변경이 되었습니다클릭해서 다운로드를 하면 Docker for Windows Installer.exe 파일을 얻을 수 있습니다.

설치 파일을 다운 받았으니 설치를 해 봅니다.


docker desktop install


package를 다운 받고 설정 창이 나옵니다.


docker desktop install


선택은 설치 후 변경이 가능 하다고 하니 기본값으로 그냥 진행합니다.


docker desktop install


이제 설치가 진행 됩니다.


docker desktop install


설치가 완료 되고 반영을 하기 위해 운영체제를 다시 시작 해야 합니다. Close and log out 버튼을 클릭 하면 윈도우를 바로 로그아웃 합니다. 저장 하지 않은 내용이 있는지 확인 하고 버튼을 클릭 하면 윈도우가 재시작 합니다.

 

다시 로그인을 할때 Hyper-V를 해놓지 않은 경우 안내 창이 나타 납니다.


docker desktop install


Ok를 선택 하면 자동으로 Hyper-V를 작동 시키고 윈도우를 다시 시작 한다고 하니 저장, 저장...

윈도우가 업데이트 되고 다시 시작을 하면 Docker Desktop이 자동 실행 됩니다.


docker desktop install


윈도우가 다시 시작하고 로그인 창이 나오면 다운 받을 때 생성한 계정으로 로그인을 합니다여기서 끝. 로그인 하고 끝 입니다난 뭔가 창이 나타날 줄 알았는데 아무것도 없습니다뭐가 잘못 됬나?


docker desktop install


시작 메뉴에서 다시 Docker Desktop을 선택해도 역시 아무것도 나타나지 않습니다. 모니터 우측의 숨겨진 아이콘 표시에서 마우스를 가져가면 Docker Desktop is running이라고 나옵니다살아 있는 거네요.


docker desktop install


윈도우에서 콘솔 창을 하나 열어서 docker version을 입력해 봅니다.


docker desktop install


Docker Desktop은 설치가 잘 되었고 command 모드에서 작업을 해야 합니다윈도우에 설치한 이유가 뭔데 이렇게 답답하게 작업을 해야 하나.  GUI Tool이 있느니 그걸 설치 해야 겠습니다.


Docker Desktop 아이콘에 마우스를 대고 우측 버튼을 클릭하고


docker desktop install


팝업메뉴에서 Kitematic을 선택 합니다.


docker desktop install


Download 버튼을 클릭 합니다그럼 Kitematic-Windows.zip 압축 파일을 다운 받게 되는데 이걸 적당한 곳에서 압축을 풀고 Kitematic.exe를 실행 합니다로그인 창이 나타나는데 Windows 7에 서 설명할 때 봤던 친숙한 이미지 입니다.


docker desktop install


로그인을 해도 되고 잠시 살펴 보려면 SKIP FOR NOW를 클릭합니다.


docker desktop install


Docker 이미지들이 보입니다. 이제 편한하게 필요한 이미지를 설치하고 사용하면 됩니다.



Windows 10 연결 프로그램을 변경하는 방법은 Windows 7과 비슷하고

설정 창에서도 간단하게 변경이 가능 합니다.


Windows 7 다음을 참조 하세요.

[윈도우즈] Windows 7 연결 프로그램(기본 앱) 변경 방법


1. 먼저 설정 창에서 변경하는 방법을 소개하고

2. 파일 탐색기에서 변경하는 방법을 소개하겠습니다.

 

windows 10Microsoft Edge가 기본 웹 브라우져라서 개인적으로 맘에 안들기에 변경을 해보겠습니다.




1. 설정 창 이용

 

1.1 설정 창 열기


설정 창을 여는 방법 중 가장 간단한 방법은 키보드에서 단축키(윈도우 키 + I)를 선택 합니다.

또는 시작버튼을 클릭하고 나타나는 톱니바퀴 모양을 클릭 하거나



메뉴에서 설정을 선택 합니다.

 

또다른 방법은 시작버튼에 마우스를 놓고 우측 버튼을 클릭하면 메뉴창이 나오는데 여기에서



[설정]을 선택하면 설정 창이 나타 납니다.



1.2 설정 창 메뉴 선택

 

설정 창에서 []을 선택 합니다.



앱을 선택하면 좌측에 메뉴들이 있는데

여기에서 [기본 앱]을 선택 합니다.



1.3 기본 앱 변경

 

[기본 앱]을 선택하면 우측에 앱 관련 기본 프로그램 설정 값이 나옵니다.

웹 프라우져도 나와 있네요.



웹 프라우저의 Microsoft Edge를 클릭 합니다.



컴퓨터에 설치된 웹 브라우저들이 나타나는데 여기에서 Chrome을 선택 합니다.



변경을 하겠는냐고 물어보는데 [전환하기]를 선택 합니다.



기본 웹 브라우저가 Edge에서 Chrome으로 변경이 되었습니다.



파일 탐색기 에서도 변경이 되었음을 확인 가능 합니다.




2. 파일 탐색기 이용


파일 탐색기를 이용하는 방법은 윈도우즈 7에서 설명한 방법과 비슷합니다.

파일 탐색기에서 html 파일을 하나 선택 합니다.



파일에 마우스를 대고 우측 버튼을 클릭 합니다.

 

2.1 연결 프로그램 변경 이용

 

마우스 우측 버튼을 클릭하고 [연결 프로그램] 메뉴를 선택 합니다.



[연결 프로그램] 하부 메뉴에 Chrome이 보이긴 하지만 그걸 선택 하면 한번만 열 수 있습니다.

[다른 앱 선택(C)]을 선택하면 연결 프로그램을 변경할 수 있는 팝업 창이 나옵니다.



 

이곳에서 Chrome을 선택하고 [확인] 버튼을 클릭하면 완료 됩니다.

만약에 리스트에 찾는 프로그램이 없다면 우측 스크롤을 아래로 내립니다.



그리고 하단의 [추가 앱]을 선택 해서 좀더 많은 html과 관련된 프로그램 리스트를 확인하고 선택 할 수 있습니다.



만일 추가 리스트에도 없다면 [ PC에서 다른 앱 찾기]를 선택 하면 더 직접 앱을 선택해서 연결할 수 있습니다.



이런 식으로 파일을 찾아 연결 합니다.

 

여기서는 Chrome으로 설정하는게 목적 이므로



Chrome 을 선택 하고 항상 이 앱으로 사용한다고 체크 한 후 확인을 합니다.



잘 변경 되었습니다.


2.2 속성 이용


파일에 마우스를 놓고 우측 버튼을 클릭 하면 메뉴가 나오는데 이번에는 [속성]을 선택 합니다.



속성 창이 나오면 [변경] 버튼을 선택 합니다.



그러면 연결 앱을 변경 하는 창이 나오게 됩니다.



앞에서 보던 화면 이군요.

Chrome을 선택하고 [확인] 버튼을 누르면 됩니다.

 

여기에 원하는 프로그램이 없다고요?

그럼 어떻게 하라고요?

바로 전에 설명한 방법과 동일 합니다.

우측 스크롤을 내리고 선택을 합니다.


 

추가 앱에도 없으면



[ PC에서 다른 앱 찾기]를 선택 하면 더 직접 앱을 선택해서 연결할 수 있습니다.



. 바로 전 설명과 결국은 동일한 기능을 사용합니다.



12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