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S에 회원 가입을 하였다면 가장 기본적인 EC2 인스턴스를 생성해서 무엇인가 Server 작업을 해봐야 겠죠?  Hardware 사양이 조금 낮기는 하겠지만 사용하는데는 지장이 없는 Server를 무료로 만들어 보겠습니다.

Free Tier는 만드는 방법은 너무 간단해서 한번 해보고 나면 다음번에는 1분이면 생성이 가능 합니다.   예전에는  Server를 잘못 설치 하거나 프로그램을 잘못 설치하면 다시 설치하느라 회사에서 퇴근을 못했는데 이제는 클릭 몇번으로 테스트 서버를 그것도 공짜로 몇번이고 만들어볼 수 있는 시대가 되었네요.

 

AWS에 로그인을 하고 EC2에서 [인스턴스 new]를 클릭 하면 우측에 [인스턴스 시작] 버튼이 보입니다.  만일 인스턴스를 생성 했다면 인스턴스 리스트가 나오겠지요.

 

 

신규 인스턴스를 생성하기 위해 우측에서 [인스턴스 시작] 버튼 클릭합니다.

 

 

 

이름은 편한대로 적어주고

애플리케이션 및 OS 이미지(Amazon Machine Image) 에서 어떤 운영체제의 서버를 생성할 것인가 생각을 하였을테니 검색 창에 필요로 하는 OS 명을 입력하여 검색 합니다. 

 

 

 

좀더 검색된 결과의 개수를 줄이려면 좌측 [좌측 결과 구체화]에서 검색하려는 설정 항목을 체크하면 우측에 검색 결과가 나오고 체크하는 항목에 따라 상단에 검색된 숫자가 변경되는것을 볼 수 있습니다.

사진에 요금 모델은 Free로 하고 운영체제는 CentOS를 체크한 결과가 나왔습니다.

 

CentOS7Free Tier라는 내용은 안보이지만 가능하기 때문에 검색 결과에 나온것입니다.

상단에 나온 CentOS 7[선택] 버튼을 클릭 하거나 버튼 이외의 영역을 클릭해서 상세 정보를 살펴보고 선택할 수 있습니다.

 

 

 

상세 내용에서는 Free Tier라는 내용이 나오고 t2.micro 라는 사양을 사용해야 한다는군요.  계속을 선택하고 이제 아래쪽 상세 설정으로 너어 갑니다.

 

 

 

상단의 요약정보를 확인하고

인스턴스 유형은 Free Tier로 사용하기 위해 Server 사양을 t2.micro를 선택 했습니다.

실제 운영서버를 만드는 거라면 가격표를 보고 좀더 높은 사양을 선택하기만 하면 됩니다.

 

 

 

키 페어는 원격에서 공개키 방식으로 Server에 접속하기 위한 키를 생성하는 작업 입니다.  Google같은 경우는 사용자가 키쌍을(공개키, 개인키) 생성해서 Server에 등록하는 방식으로 되어있는데 AWS에서는 서버 생성시 키를 만들 수 있도록 기능이 되어 있습니다.

 

키 페어 이름은 기억하기 편하게 입력 하는데 나중에 생성된 키의 파일명으로 사용됩니다.

그리고 어떤식으로 접속할것인가 생각한 후 아래 라디오 버튼도 선택을 해 줍니다.  저는 putty로 접속하고 RSA 공개키 방식을 선택 했습니다.

 

이름을 입력하고 사용할 내용을 선택 한 후 [키 페어 생서] 버튼을 클릭 합니다.

키가 생성되었고 공개키는 저장할 위치를 선택하여 잘 저장해 놓습니다.  다음에 puttyFTP로 접속할 때 키를 사용해야 합니다.

 

 

 

네트워크 설정에서 방화벽 규칙을 위한 보안그룹을 생성 하는데 신규 인스턴스인 경우 보안 그룹 생성을 클릭하고 원격 접속을 위해 SSH 트래픽 허용도 체크를 해줍니다.

위치 무관은 아무곳에서나 Server에 접속 할 수 있다는 설정이고 특정한 IP만 접속을 허가하려면 IP 설정을 하면 됩니다.

 

 

 

나머지 고급 세부 정보 설정은 돈이 들 수 있으니 그냥 놔두고 [인스턴스 시작]버튼을 클릭 합니다.

 

 

 

인스턴스를 생성하기 시작 하는데 시간이 소요됩니다.  잠시 휴식...

 

 

 

인스턴스를 생성하는 동안 휴식 보다는 [결제 알림 생성]을 설정 합니다.

 

 

 

저는 두개만 선택하고 [기본 설정 저장] 클릭했습니다.  화면 캡처를 하기위해 이메일 주소를 입력하지 않았는데 꼭 입력 하세요.

 

 

얼마의 시간이 지나고 드디어 인스턴스가 생성 되었습니다.

 

인스턴스 ID를 클릭하면 상세 내용을 확인 할 수 있는데 잠깐 살펴 보겠습니다.

 

여기서 중요한건 자동 할당된 IP 주소입니다.  이것이 외부에 공개된 Server IP 입니다.

그리고 보안 탭에서 인바운드는 외부에서 서버에 접속 할 수 있는 포트를 설정한 것이고 아웃바운드는 서버에서 아무곳으로나 접속이 가능하도록 설정 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제 인스턴스를 삭제하고 새로 만들어 보세요.  동시에 인스턴스가 2개만 되지 않도록 하면 공짜이니 서너번 생성 해보고나면 좀더 이해가 가고 얼마나 간단하게 서버 구성이 되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 copy coding -


크롬 구글 검색 메인 페이지에 이미지나 본인이 찍은 사진을 바탕 화면으로 변경하는 방법 입니다.  구글 검색 페이지가 아래 처럼 됩니다.


google chrome background picture


작업은 Theme Creator 응용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crx 파일로 만들어 적용하는 방식 입니다.

먼저 프로그램을 설치 하도록 합니다설치는 크롬에 추가해주면 됩니다.


https://chrome.google.com/webstore/detail/theme-creator/akpelnjfckgfiplcikojhomllgombffc?hl=ko

 

URL을 클릭 해서 사이트에 들어가면


google chrome background picture


간단한 설명이 나오구 우측 상단에 있는[Chrome에 추가]를 클릭 합니다.


google chrome background picture


확인 창에서 [앱 추가] 버튼을 클릭해 주면 크롬 브라우저에 앱이 추가됩니다추가된걸 확인 하려면 크롬 주소창에 chrome://apps를 입력하고 Enter 키를 누릅니다.


google chrome background picture


마지막 부분에 앱이 추가된걸 확인 할 수 있습니다. Theme Creator를 클릭해서 실행 합니다.


google chrome background picture


웹 페이지가 Theme Creator 편집 페이지로 변환이 되었고 좌측에 사진을 간단하게 조절할 수 있는 메뉴 들이 보입니다.

 

1. Upload an Image

먼저 사진을 추가하기 위해 1번을 클릭 하여 파일 탐색기를 오픈 합니다.


google chrome background picture


탐색기에서 기존 이미지나 자신이 찍은 사진등을 선택해 주면 사진이 편집 창에 업로드 됩니다.


google chrome background picture


우측 미리보기 있는 이미지를 어떤 식으로 배치를 하는 게 좋을지 테스트 해볼 수 있습니다우측 아래 부분에 사진의 위치 등을 설정하는 메뉴가 있습니다좀 손을 볼까요?


google chrome background picture


top fit to screen 을 적용해 보았습니다설정을 하니 좀 나아 보이네요.

 

3. Pack and Install을 클릭하면 현재 설정된 화면이 테마로 되어 crx 파일로 저장 됩니다파일이 생성 되었으니 이제 크롬에 반영을 하도록 합니다.(2번과 4번은 필요하면 사용해보시고)


google chrome background picture


크롬 상단 더보기(점세계)를 클릭 하여 도구 더보기>확장 프로그램 을 선택 합니다.


google chrome background picture


확장 프로그램 페이지의 우측 상단 [개발자 모드]가 잠겨져 있는데 클릭해서 켜줍니다그리고 다운받은 테마 파일을 확장프로그램 페이지에 드래그해서 가져다 놓습니다.


google chrome background picture


"계속하시겠습니까?" 라는 질문에 [계속] 버튼을 클릭 합니다.


google chrome background picture


테마를 추가 하시겠습니까?”라고 하는데 당연히 [테마 추가]를 클릭해 줍니다.


google chrome background picture


테마가 설치 되었다고 합니다이제 크롬의 메인인 구글 검색 페이지에 들어가 볼까요?


google chrome background picture


시작 페이지에 사진이 잘 들어갔습니다이렇게 크롬 첫 화면을 개인의 사진으로 변경을 하거나 다른 사람이 많들어 놓은 테마를 적용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내가 만든 테마를 다른 사람에게 배포도 가능 합니다.


- copy coding -


데이터를 생성 하고 웹과 앱에서 동시에 사용하기 좋은 장소로 cloud가 딱인것 같아 한번 구성을 해보았습니다.  Firebase 뿐만 아니라 google에서 제공하는 cloud 관련 서비스를 사용 하려면 구글 계정이 있어야 합니다.




https://firebase.google.com/


firebase project create delete


처음부터 크롬 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로그인을 클릭 하던가 아니면 그림 속 [시작하기] 버튼을 클릭 하면 구글 로그인 페이지로 이동하니 로그인을 합니다그리고 다시 파이어베이스 페이지로 돌아와 시작하기 버튼을 클릭 하여 Firebase에 들어오면 아무것도 없습니다.

 

Firebase 프로젝트 생성


firebase project create delete


[프로젝트 만들기] 버튼을 클릭해서 새로운 프로젝트를 생성해서 사용하면 되는데 프로젝트는 여러개 생성 가능 합니다그럼 프로젝트 생성을 시작해 봅니다.


firebase project create delete


적당한 프로젝트 이름을 입력해 줍니다. 그리고 [계속하다] 버튼을 클릭 합니다.


firebase project create delete


로그 분석 설정입니다필요 없으면 하단의 설정을 취소하고 [계속하다] 버튼을 클릭 합니다.


firebase project create delete


계정을 설정 하거나 신규로 생성 합니다. 신규로 생성하는 경우


firebase project create delete


체크박스를 모두 선택 해야 프로젝트 만들기 버튼이 활성화 됩니다계정을 선택 또는 만들기를 하고 최종적으로 [프로젝트 만들기] 버튼을 클릭 합니다.


firebase project create delete


프로젝트가 생성중입니다.


firebase project create delete


프로젝트가 생성 되었습니다.  [계속하다] 버튼을 클릭하면 콘솔 화면으로 이동 합니다.


firebase project create delete


프로젝트는 여러개 생성이 가능 합니다.  Firebase 메인 페이지로 이동하면


firebase project create delete


다음과 같이 새로 생성된 프로젝트가 보이고 추가 버튼도 있습니다프로젝트 추가를 누르면 앞에서 했던 새로운 프로젝트 생성이 진행 됩니다.

 

 

Firebase 프로젝트 삭제

 

물건을 구매하고 단순 변심에 의한 환불은 안되지만 firebase로 생성한 프로젝트가 마음에 들지 않거나 필요 없는 경우에는 언제든지 삭제가 가능 합니다.


firebase project create delete


삭제 하려면 일단 삭제 하려는 프로젝트를 클릭 하여 firebase console로 이동 합니다


firebase project create delete


해당 파이어베이스 프로젝트 콘솔로 이동을 하고 나서 프로젝트 개요의 우측에 설정 아이콘을 클릭하면 팝업 메뉴가 나타납니다.  [프로젝트 설정] 메뉴를 선택 합니다.


firebase project create delete


설정 화면에서 [프로젝트 삭제]를 클릭 합니다.


firebase project create delete


경고 프로젝트 삭제 팝업 창에서 모든 체크박스를 선택하면 [프로젝트 삭제] 버튼이 빨간색으로 활성화 됩니다이제 [프로젝트 삭제] 버튼을 클릭하면 프로젝트가 삭제 됩니다.


- copy coding -


LinuxPostgreSQL가 설치 되어 있는데 신규 프로젝트를 위한 DB를 생성할 일이 발생했습니다.

PostgreSQL에 사용자 계정을 생성하고 신규 Database를 만들어 외부에서 접속 가능하도록 설정을 하려고 합니다작업 순서도 계정 생성, DB생성, 접속 설정 순으로 진행 합니다.


postgresql user database create


작업시 주의사항은 root 권한으로 하는 작업과 postgres 권한으로 하는 작업 그리고 DB에 접속해서 하는 작업이 섞여 있습니다.

 

우선 postgresql에 접속을 합니다.

$ sudo -u postgres psql

 

접속이 성공하면 계정 생성과 디비 생성을 진행 합니다.

 

- 계정 및 권한

postgres=# CREATE USER copycoding SUPERUSER;


- 비번 생성

postgres=# ALTER USER copycoding WITH PASSWORD 'copycopy';


- DB 생성

postgres=# create database copycodingdb with owner copycoding encoding 'UTF8';

postgresql user database create


이제 postgresql을 재시작 해주는데 설치를 어떻게 했냐에 따라 뒤에 버전 정보가 붙을 수도 있습니다저는 9.6을 설치하며 버전정보를 그냥 사용했습니다.

 

$ sudo systemctl restart postgresql-9.6

 

DB가 잘 생성이 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해 다시 DB에서 명령어로 확인합니다.

postgres=# \l


postgresql user database create


상단에 생성된 DB가 보이니 잘 만들어 졌습니다

 

이제 외부에서 접속 할 수 있도록 설정 합니다설정 파일 위치를 확인 하고

postgres=# show hba_file;

              hba_file              

-------------------------------------

 /var/lib/pgsql/9.6/data/pg_hba.conf

(1 row)

 

 

계정을 postgres로 변경 합니다.

[root@localhost copycoding]# su postgres

 

그리고 검색한 파일을 수정 합니다.

$ vi /var/lib/pgsql/9.6/data/pg_hba.conf


파일을 열고 IPv4 부분을 찾아 라인을 하나 추가 합니다.

host    all             copycoding      0.0.0.0/0               md5


postgresql user database create


신규 User 정보를 추가가 끝나면 저장하고

 

postgres=# pg_ctl reload

 

디비를 재시작 합니다.

# sudo systemctl restart postgresql-9.6

 

아직 설정이 하나 더 남아 있습니다.  postgres 계정으로 conf 파일을 수정 합니다.


bash-4.2$ vi /var/lib/pgsql/9.6/data/postgresql.conf

 

파일에서 주석이 되어 있으면 주석을 풀고 다음처럼 수정 합니다.

 

listen_addresses = '*'

port = 5432


postgresql user database create


방화벽도 설정을 합니다.

$ firewall-cmd --permanent --add-port=5432/tcp

$ firewall-cmd --reload

 

설정이 모두 완료 되었습니다.

Windows에서 pgAdmin III를 이용하여 접속을 해 봅니다.


postgresql user database create


서버에서 디비를 생성할때 기록한 정보를 입력하고 OK 버튼을 클릭 합니다.


postgresql user database create


9.6을 설치해서 pgAdmin III는 지원이 잘 안될 수 있다고 하는데 무시하고 확인버튼을 클릭 합니다.


postgresql user database create


접속이 잘 되는 군요아직 Table 작업은 안되어있긴 하지만 성공입니다.


- copy coding -


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