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clipse에서 Oracle 데이터베이스 연결을 테스트 하기 위해 Data Source Explorer를 이용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 봅니다프로젝트에서 환경 설정 값을 이용하여 테스트 하는 방법도 있지만 DB 접속을 위한 프로그램을 완성 하고 나서 디버깅을 해야만 데이터베이스에 접속이 되는지 아닌지 확인할 수 있지만 Data Source Explorer를 사용하면 설정 값만 사용하여 접속이 잘 되었는지 확인이 가능하고 테스트한 설정 값을 Project에 그대로 적용하기만 하면 별도로 접속 테스트 없이 DB 작업이 가능합니다.

 

먼저 이클립스 네비게이터 영역에 Data Source Explorer를 포함해 봅니다.

Window > Show View > Data Source Explorer

메뉴를 선택 합니다.



Eclipse Data Source Explorer Oracle


만약 Show View 메뉴에서 Data Source Explorer가 보이지 않는다면 하단의 Other...를 선택하여 팝업 메뉴 창을 오픈 합니다.


Eclipse Data Source Explorer Oracle


이곳에서 Data Source Explorer를 찾아 클릭 하면 됩니다.


Eclipse Data Source Explorer Oracle


그러면 좌측 네비게이터 창에 탭으로 추가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이제 Database를 추가하기 위해 Database Connections에 마우스를 대고 우측 버튼 클릭을 합니다.


Eclipse Data Source Explorer Oracle


팝업 메뉴에서 New...를 선택해 줍니다.


Eclipse Data Source Explorer Oracle


Oracle을 사용하려고 하기 때문에 Oracle을 선택 하고 Name은 임의대로 입력 해도 됩니다이름을 입력 했다면 Next 버튼을 클릭 합니다.


Eclipse Data Source Explorer Oracle


아직 연결을 위한 드라이버가 하나도 생성되어 있지 않아 콤보박스에 선택을 할 수 없고 Drivers 입력란 우측에 있는 원안의 별표를 클릭 합니다.


Eclipse Data Source Explorer Oracle


Name/Type 탭에서 사용하려는 오라클 버전을 선택 합니다저는 사용하려는 버전이 11g이므로11을 선택 했습니다다음으로 JAR List 탭을 선택 합니다.


Eclipse Data Source Explorer Oracle


기본값이 설정되어 있지만 자신이 설치한 오라클에 적합한 jar 파일을 선택해야 합니다. 저는 11g XE 버전을 사용 중 이고 Add JAR/Zip... 버튼을 클릭해서 설치한 oracle 폴더로 이동 해보면

 

C:\oraclexe\app\oracle\product\11.2.0\server\jdbc\lib

 

이 폴더에 드라이버 파일이 있습니다


Eclipse Data Source Explorer Oracle


여기서는 ojdbc6.jar를 선택 합니다.  그리고 기존에 있던 ojdbc14.jar는 Remove JAR/Zip 버튼을 클릭하여 리스트에서 삭제처리 합니다.


Eclipse Data Source Explorer Oracle


이제 OK 버튼이 활성화 되어 클릭 할 수 있습니다. 클릭 하면 profile 입력 창이 보입니다.


Eclipse Data Source Explorer Oracle


database에 접속을 위한 정보를 입력하고 Test Connection 버튼을 클릭하여 접속 테스트를 진행 합니다.


Eclipse Data Source Explorer Oracle


설정 값에 이상이 없고 연결도 잘 되었습니다. Finish 버튼을 클릭하여 연결 테스트를 종료 합니다만일 설정된 정보를 확인하려면 Next 버튼을 클릭하면 됩니다.


Eclipse Data Source Explorer Oracle


현재 설정된 상세 정보를 볼 수 있고 수정이 필요하면 Back 버튼으로 수정을 하고 테스트를 종료 하려면 Finish 버튼을 클릭 합니다.


Eclipse Data Source Explorer Oracle


데이터베이스 접속 테스트가 성공 하였으니 접속 정보를 위와 같이 프로젝트 설정에 사용하면 DB 접속은 오류 없이 진행 됩니다.


- copy coding -


MBTIPv32는 인터넷 익스플로러에서 팝업 광고를 띄우는 프로그램으로 알려져 있습니다작업관리자 프로세트 탭을 열어보면 MBTIPv32.exe가 보이고 iexplore.exe도 하나만 실행 시켰는데 광고가 여러 개 뜨면서 프로세스도 많이 생성이 되었습니다


MBTIPv32


MBTIPv32를 삭제하려면 먼저 프로세스를 중지 시켜야 합니다. 작업 관리자에서 MBTIPv32.exe를 선택하고 프로세스 끝내기 버튼을 클릭하여 MBTIPv32 프로세스를 종료 합니다.


MBTIPv32


프로그램을 제거하기 위해 제어판을 실행 합니다.


MBTIPv32


제어판에서 프로그램 제거를 선택 합니다그러면 우측에 설치된 프로그램 목록이 나타나는데 거기에서 Windows Desktop MBT Icons Ver 6.1.1.4를 찾습니다.


MBTIPv32


리스트를 더블 클릭하면 삭제가 진행됩니다.


MBTIPv32


브라우저 설정을 변경하기 위해 열려있는 브라우저를 모두 닫고 삭제를 진행 합니다.


MBTIPv32


삭제가 되었지만 아직 프로그램이 남아 있습니다. 설치 파일을 보려면 숨김 파일 폴더 보기를 설정하고 위치로 이동 합니다.


MBTIPv32


남아있는 디렉토리도 삭제 합니다. 이제 리부팅을 해서 사용 하면 됩니다.



DtsMainProcDreanTong이라는 곳에서 만든 인터넷 익스플로러 광고 팝업을 발생시키는 프로그램으로 알려져 있습니다새창이 계속 한번에 몇 개씩 생성이 되어 인터넷 검색을 방해하고 자원도 갉아먹는 프로그램으로 삭제를 권장 합니다.

 

 

1. DtsMainProc 설치 확인

 

DtsMainProc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는지 확인 하기 위하여 Windows 작업 관리자를 실행 합니다마우스를 모니터 하단 작업 표시줄에 놓고 우측 버튼을 클릭한 후 작업 관리자 시작(K)을 선택 합니다.


DtsMainProc_delete


Windows 작업 관리자에서 프로세스 탭을 클릭 하여 DtsMainProc가 실행 중인지 확인해 봅니다.


DtsMainProc_delete


설치가 잘 되어 있군요.


DtsMainProc_delete


DtsMainProc.exe에 마우스를 대고 우측 버튼을 클릭하면 팝업 메뉴가 나오는데 여기서 파일 위치 열기(O)를 선택 합니다.


DtsMainProc_delete


폴더에 프로그램이 있군요. 그리고 Uninstall 폴더가 보이는데 이곳으로 이동을 해볼까요?


DtsMainProc_delete


Unistatll.exe도 있습니다. 실행해서 삭제를 시도해 봅니다.


DtsMainProc_delete


얘는 쉽게 물러서지 않을 것 같습니다.

 

다른 방법을 찾아야 겠습니다. 다시 Windows 작업 관리자로 돌아갑니다.


DtsMainProc_delete


DtsMainProc.exe를 선택 하고 프로세스 끝내기 버튼을 클릭 합니다.



2. 레지스트리 삭제

 

이제 레지스트리 내용을 지워야 합니다.

시작버튼을 눌러 프로그램 및 파일 검색에서 검색을 합니다.


DtsMainProc_delete


regedit을 입력해서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실행 시킵니다.


DtsMainProc_delete


상단 메뉴

편집 > 찾기

를 이용하여 DreamTong 검색 키워드를 입력 하고 검색 합니다


DtsMainProc_delete


DtsMainProc_delete


검색이 되었습니다.


DtsMainProc_delete


키보드 Delete 키를 이용하여 좌측에 있는 DreamTong 폴더를 삭제 합니다.


DtsMainProc_delete


하나를 삭제하는 것으로 끝나는게 아니고 레지스트리에는 여러 곳에 등록이 되기 때문에 F3키를 눌러 다른 곳에 있는 DreanTong 관련 등록 정보를 찾아 줍니다.


DtsMainProc_delete


이런식으로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찾기와 삭제를 반복 해줍니다.


DtsMainProc_delete


F3를 이용해 지우다 보면 Windows Internet Explorer Smart Service가 나오는데 이것도 지워버립니다.


DtsMainProc_delete


이런식으로 디렉토리 또는 키값들을 삭제하고 F3(찾기)에서 검색이 안될 때 까지 진행합니다.

 


3. 폴더 삭제


레지스트리 작업이 완료 되면 DtsMainProc.exe파일과 uninstall 폴더가 있었던 DreamTong 폴더를 삭제해 줍니다.


DtsMainProc_delete


다른 광고 프로그램이 없다면 이제 팝업 광고도 사라졌을 것 입니다.



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