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전에 구글에서 제공하는 소스를 이용하여 구글 맵에 현재의 위치를 표시하는 앱을 만들었는데 최근에 다시 가보니 현재의 Android Studio 버전에 적용되는 library들로 source code가 변경이 되어 있네요오랜만에 다시 구현을 해보았습니다.

Android Studio 4.0을 사용해서 구현한 화면 입니다.


android place not authorized


 

모든 동작은 예전처럼 잘 되는데 이상하게 우측 [GET PLACE]를 누르면 아무런 동작도 하지 않습니다.  logcat을 살펴 보니 오류가 발생 하는 군요

 

21814-21814/copycoding.tistory.mylocation E/MainActivity: Exception: %s

 com.google.android.gms.common.api.ApiException: 9011: This API project is not authorized to use this API.

at com.google.android.libraries.places.internal.zzce.then(com.google.android.libraries.places:places@@2.3.0:6)

 

com.google.android.libraries.places를 사용할 권한이 없다는 건데 예전 소스코드에서 library의 변화가 있었나 봅니다권한이 없다고 하니 문제를 해결하러 API 관리 페이지에서 답을 찾아봅니다.


Google API 관리 사이트로 가보면 사용 설정된 API 목록을 볼 수 있습니다.


android place not authorized


현재 2개의 API를 사용하고 있다고 나오는 군요.

바로 아래쪽에 추가 API 목록이 있습니다.


android place not authorized


아무래도 여기에 있는 Places API가 원인인 것 같은데 선택을 합니다.


android place not authorized


[사용설정] 버튼을 클릭하면 권한을 받아오고 상단의 사용 설정된 API에 추가 됩니다.


android place not authorized


잘 추가가 되었군요.

이제 다시 앱을 실행해 볼까요?


android place not authorized


위치정보도 잘 가져오고 있습니다그 전에도 여기까지만 하고 손을 놓았는데 이번에는 꼭 뭔가를 만들어 보고 싶군요.


- copy coding -

작업 환경


eGovFramework Version : 3.8

Eclipse Version: Oxygen.3a Release (4.7.3a)

JDK Version : 1.8


오류 내용


전자정부프레임워크 Project에서 common component 설치 Maven install 하는 경우 package egovframework.com.uss.ion.pwm.web does not exist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ERROR] COMPILATION ERROR : 

[INFO] -------------------------------------------------------------

[ERROR] /C:/eGovFrameDev/workspace5/CopyCoding/src/main/java/egovframework/com/cop/cmy/web/EgovCommuManageController.java:[34,41] package egovframework.com.uss.ion.pwm.web does not exist

[INFO] 1 error

[INFO] -------------------------------------------------------------

[INFO] ------------------------------------------------------------------------

[INFO] BUILD FAILURE

[INFO] ------------------------------------------------------------------------


common component 자동 설치 하는 동안 파일이 제대로 설치가 되지 않아 발생하는 오류입니다. All in One Template 버전을 하나 설치해서 참조 하거나 common component 소스를 다운받아 압축을 풀어 놓고 참조하면서 작업을 해야 합니다.

해결 방법은 간단 합니다소스가 설치되니 않은 것이니 빠진 파일을 찾아 복사 하면 됩니다


package 생성


먼저 package 생성 합니다. egovframework.com.uss.ion.pwm


uss.ion.pwm.web does not exist



파일 복사

그리고 파일을 복사 합니다. 파일을 복사한 후의 모습 입니다.


uss.ion.pwm.web does not exist


다시 한번 Maven install 실행 합니다.


uss.ion.pwm.web does not exist


오류가 나지 않고 성공 입니다.


단일 응용 프로그램이 아닌 경우에는 환경 설정이 제일 어려운 일입니다.

동일한 방법으로 했는데 왜 난 안될까?

포기했다가 다시 설치하면 되는 경우도 있고

이것 저것 다 따라해서 뭐때문에 된건지 모를는 경우도 있고...

어째든 오류환경을 구성하고 테스트를 진행해 보았습니다.

Windows 10에서는 오류환경 구성이 잘 안되서 Windows 7을 기준으로 설명 합니다.

 

1. 오류 발생

 

jupyter notebook을 실행하고 tensorflow import해서 코딩을 하면


ModuleNotFoundError: No module named 'tensorflow'


오류가 발생 합니다.


tensorflow module not found error



2. 문제 해결

 

몇가지 작업들을 해보았는데 방법도 복잡하고 해결이 안되기도 했습니다.

해결된 방법만 소개를 합니다.

 

anaconda prompt를 관리자 권한으로 오픈 합니다.



tensorflow가 설치된 가상환경(저는 tensorflow로 했습니다.)으로 이동합니다.

>activate tensorflow

 

conda 커널을 설치 합니다.

>conda install nb_conda





설치가 완료 되었습니다.


 

3. 실행


콘다커널을 설치하고 나면 가상환경 이름으로 Jupyter Notebook(tensorflow)이 생성 됩니다.



새로 생성된 주피터 노트북을 이용하여 코딩을 진행 합니다.



모두들 좋은 결과 얻기를 바랍니다.


- copy coding -


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