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story에서 구글 서치 콘솔에 사이트 맵을 올리기 위해 대부분 sitemap.xml을 만들어 주는 사이트에 들어가서 본인의 티스토리 주소를 입력 하고 몇 십분 또는 몇 시간씩 기다렸다가 사이트 맵 파일잉 만들어 지면 파일을 다시 등록하고 google search console에 들어가서 위치를 입력하여야 하는 작업들을 하는 경우가 많은데 티스토리에는 자체적으로 구글 서치 콘솔로 사이트 맵을 등록할 수 있는 플러그인이 있습니다


tistory sitemap google search console


이미 아시는 분들은 잘 사용을 하고 있겠지만 모르는 분들이 있다면 얼마나 쉬운지 한번 보세요.

먼저 Tistory에 로그인을 하고 관리 페이지에서 좌측 메뉴에서 [플러그인]을 클릭 하면 


tistory sitemap google search console


우측에서 [Google Search Console] 을 찾을 수 있습니다클릭 해야겠죠.


tistory sitemap google search console


팝업창이 나타나면 Google에 로그인 하기 위한 [계정 연결하기] 버튼을 클릭 합니다


tistory sitemap google search console


본인의 계정을 선택 하고 로그인을 진행 합니다.


tistory sitemap google search console


Tistory에서 Google에 접속을 요청하게 되고 [허용] 버튼 클릭하면 사이트가 연결이 됩니다.


tistory sitemap google search console


 연결이 성공 했다는 팝업을 볼 수 있습니다.


tistory sitemap google search console


티스토리와 구글 서치 곤솔을 연결 하였으니 [적용] 버튼 클릭해서 계속 사용할 수 있도록 해 줍니다이것으로 연결 작업이 완료 되었습니다.


그럼 Tistory 에서 제출한 SitemapSitemap을 생성하는 사이트에서 만들어준 Sitemap을 제출한 경우는 어떤 차이가 있을 까요?


tistory sitemap google search console


상단이 Tistory에서 제출한 Sitemap URL 수 이고 하단이 사이트를 이용해서 생성한 Sitemap을 제출한 경우의 URL 수 입니다. 티스토리에서는 필요한 링크만 제출을 하고 사이트에서 만든 sitemap에는 자동으로 추출하다 보니 불필요한 폴더 정보등이 다수 들어 있어서 차이가 납니다물론 어느 것을 사용 할지는 본인들의 선택 사항이겠지만 참고 삼아 비교해 보았습니다.


- copy coding -


 

검색 엔진에 자신의 site를 등록 하는건 주소만 등록이 된 것 이고 root 하위에 있는 많은 파일들도 등록을 해야 하는데

이러한 사이트 내부의 파일들을 등록하는 단계를 sitemap 등록이라고 합니다.

 

사이트 맵은 xml 형태로 작성이 되는데 수작업으로 해도 되지만 자동으로 생성을 해주는 사이트가 있으니

편안하게 주소만 적어주고 기다리기만 하면 됩니다.

 

꼭 수작업으로 작성하고 싶으신 분들은 다음과 같은 형식으로 작성을 합니다.


<?xml version="1.0" encoding="UTF-8"?>
<urlset xmlns="http://www.sitemaps.org/schemas/sitemap/0.9" xmlns:xsi="http://www.w3.org/2001/XMLSchema-instance" xsi:schemaLocation="http://www.sitemaps.org/schemas/sitemap/0.9 http://www.sitemaps.org/schemas/sitemap/0.9/sitemap.xsd">
<!-- Generated by Web-Site-Map.com -->
<url><loc>http://copycoding.tistory.com/</loc><changefreq>daily</changefreq><priority>1.00</priority></url>
<url><loc>http://copycoding.tistory.com/category</loc><changefreq>daily</changefreq><priority>0.85</priority></url>
<url><loc>http://copycoding.tistory.com/category/Android</loc><changefreq>daily</changefreq><priority>0.85</priority></url>
<url><loc>http://copycoding.tistory.com/category/Android/Device</loc><changefreq>daily</changefreq><priority>0.85</priority></url>
<url><loc>http://copycoding.tistory.com/category/nodejs</loc><changefreq>daily</changefreq><priority>0.85</priority></url>
<url><loc>http://copycoding.tistory.com/category/Angular</loc><changefreq>daily</changefreq><priority>0.85</priority></url>
<url><loc>http://copycoding.tistory.com/category/Setting</loc><changefreq>daily</changefreq><priority>0.85</priority></url>
<url><loc>http://copycoding.tistory.com/category/MFC</loc><changefreq>daily</changefreq><priority>0.85</priority></url>
<url><loc>http://copycoding.tistory.com/tag</loc><changefreq>daily</changefreq><priority>0.85</priority></url>
<url><loc>http://copycoding.tistory.com/media</loc><changefreq>daily</changefreq><priority>0.85</priority></url>
<url><loc>http://copycoding.tistory.com/location</loc><changefreq>daily</changefreq><priority>0.85</priority></url>
<url><loc>http://copycoding.tistory.com/guestbook</loc><changefreq>daily</changefreq><priority>0.85</priority></url>
<url><loc>http://copycoding.tistory.com/26</loc><changefreq>daily</changefreq><priority>0.85</priority></url>
<url><loc>http://copycoding.tistory.com/tag/Express</loc><changefreq>daily</changefreq><priority>0.85</priority></url>
<url><loc>http://copycoding.tistory.com/tag/Project</loc><changefreq>daily</changefreq><priority>0.85</priority></url>
<url><loc>http://copycoding.tistory.com/tag/%EA%B5%AC%EC%A1%B0</loc><changefreq>daily</changefreq><priority>0.85</priority></url>
<url><loc>http://copycoding.tistory.com/tag/%EB%94%94%EB%A0%89%ED%86%A0%EB%A6%AC</loc><changefreq>daily</changefreq><priority>0.85</priority></url>
<url><loc>http://copycoding.tistory.com/25?category=1019376</loc><changefreq>daily</changefreq><priority>0.85</priority></url>
<url><loc>http://copycoding.tistory.com/24?category=1019376</loc><changefreq>daily</changefreq><priority>0.85</priority></url>
<url><loc>http://copycoding.tistory.com/21?category=1019376</loc><changefreq>daily</changefreq><priority>0.85</priority></url>
<url><loc>http://copycoding.tistory.com/16?category=1019376</loc><changefreq>daily</changefreq><priority>0.85</priority></url>
<url><loc>http://copycoding.tistory.com/15?category=1019376</loc><changefreq>daily</changefreq><priority>0.85</priority></url>
<url><loc>http://copycoding.tistory.com/?page=2</loc><changefreq>daily</changefreq><priority>0.85</priority></url>
<url><loc>http://copycoding.tistory.com/?page=3</loc><changefreq>daily</changefreq><priority>0.85</priority></url>


1. sitemap  생성


자동으로 생성 하실 분들은 인터넷에서 sitemap 생성 등으로 검색을 하면 여러 개의 검색 결과를

얻으실 수 있고 그 중에 하나를 선택 하여 사이트 맵을 작성하면 됩니다.


여기서는 아래 주소 사이트를 이용 합니다.

http://www.web-site-map.com


메인 페이지가 아래와 같은 형태로 구성 되어 있고 우측의 입력란에 본인의 사이트 주소를 기입 합니다



그리고 하단의 노란색 [Get Free XML Sitemap] 버튼을 클릭 합니다.


그러면 다음 페이지로 이동을 하고 상세 설정을 진행 합니다.



1번에서 사이트 주소가 정확한지 확인해 주고


2번에서 그림에 있는 글씨를 적어주고


나머지는 그냥 두어도 됩니다.


아래로 내려오면 하단에 역시 노란색 [Create free XML Sitemap] 버튼을 선택 합니다.



한참을 Status에서 진행을 합니다.

그리고 sitemap 완성이 되면 3번과 같이 다운로드를 받으라고 합니다.



download your sitemap 클릭하면 화면이 이동되고 파일에 대한 간략한 정보가 나옵니다.



 

download 클릭하여 파일을 다운받습니다.

 

이제 다운로드 받은 sitemap.xml 파일을 검색 사이트에 등록하는 방법은 두가지가 있습니다.

 

하나는 sitemap.xml 파일을 본인의 홈페이지에 ftp등으로 업로드 하고 주소를 가지고 등록하는 방법이있고

여기서는 게시글에 첨부파일로 업로드 하여 참조하는 방식으로 등록 합니다.

두가지 방법 편한방법을 이용 하시면 됩니다.



2. 붙여 넣기 용 Sitemap.xml 주소 만들기



먼저 내용이 없으니 비공개로 글쓰기를 합니다.

다른 사람에게 파일만 공개하려면 공개로 하셔도 무방합니다.

 

그리고 파일을 첨부 합니다.



첨부가 되었군요.  우측 HTML 체크박스를 체크 합니다.



sitemap.xml 파일에 대해 어떤 값으로 참조되는지 알 수 있습니다.



 

대충 이런식으로 나옵니다. 일부분을 ‘x’로 처리 했습니다.

<p>sitemap.xml</p>

<p><br /></p>

 

그럼 이중에 일부분을 떼어서 다음처럼 url을 만듭니다.

http://copycoding.tistory.com/attachment/cfilex.xx@99XXXXXXXXXXXXXXXX5AB.xml|filename=sitemap.xml


이게 붙여넣기를 해야 하는 최종 모습 입니다.



3. google search console에 등록


 

먼저 구글에 등록을 해보겠습니다.

로그인을 하고 google search console에 가면 좌측에 sitemap 메뉴가 있습니다.

 


 

준비 해놓은 주소를 복사하고 [submit] 버튼을 클릭 합니다.

주소나 파일에 이상이 없으면 하단에 success 로 표시됩니다.



그럼 끝.



4. Naver 웹마스터 도구


이번에는 Naver 웹마스터 도구에 sitemap을 등록 하겠습니다.

 

여기서도 로그인을 하고 좌측 메뉴에서 사이트맵 제출을 선택 합니다.

그리고 주소를 복사하고 [확인]버튼을 클릭 합니다.

 

naver google sitemap


 

네이버도 오류가 없으면 하단에 리스트로 나타납니다.



이제 완료가 되었습니다.


- copy coding -


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