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 영화, 웹 브라우져는 개인별로 좋아하는 응용 프로그램이 있습니다.

설치할 때 기본프로그램으로 설정하면 되는데 그렇게 하지 못했거나 중간에 변경이 되는 경우도 있어 수작업을 해줘야 합니다.


Microsoft Internet Explorer로 연결되어 있는 html 파일이 있습니다.

이 파일의 연결 프로그램을 Google Chrome으로 변경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1. 연결 프로그램 변경 이용

 

마우스 우측 버튼을 클릭하고 [연결 프로그램] 메뉴를 선택 합니다.



바로 위쪽에 Google Chrome이 있긴 하지만 그걸 선택 하면 한번만 열 수 있습니다.


하단에 밑줄 그은 [속성(R)] 메뉴는 2번에서 설명 합니다.


어째든 [기본 프로그램 선택(C)]을 선택하면 연결 프로그램 팝업 창이 나옵니다.

그럼 3번 설명으로 넘어가서 설정을 합니다.(1, 2번 모두 동일한 팝업 창으로 연결됩니다.)

 

2. 속성을 이용


마우스 우측 버튼을 클릭 하고



메뉴들 중 하단 [속성]을 선택 합니다.

속성 파업 창에 연결 프로그램이 익스플로러로 되어있습니다.



[변경] 버튼을 선택 합니다.

 

3. 연결 프로그램 선택

 

html 파일을 열어볼 수 있는 프로그램들이 리스트 되어 있습니다.



 

여기에서 변경하려는 Google Chrome을 선택하고 [확인] 버튼을 누르면 기본 연결프로그램이 변경 됩니다.

 

만일 리스트에 없다면 [찾아보기] 버튼을 선택하여 직접 파일을 설정해 줄 수 도 있습니다.

 

 


연결프로그램이 Google Chrome 으로 변경되었습니다.


[적용] 버튼을 눌러주고 [확인] 버튼으로 창을 닫습니다.


파일 탐색기에도 적용이 되었는지 확인해 봅니다.



연결프로그램이 Google Chrome으로 잘 변경 되었습니다.

 

음악, 사진, 동영상 파일들도 연결 프로그램이 마음에 들지 않으면 동일한 방법으로 변경해서 사용하면 됩니다.

 

4. . 잠깐.

 

찾아보기 버튼을 선택한 경우를 한번 보겠습니다.

연결 프로그램 탐색기가 나타나는데요.



디렉토리를 뒤적거리다가 eclipse를 선택해 보았습니다.



[확인] 버튼을 클릭 합니다.




연결 프로그램이 이클립스로 변경이 되었습니다.


 

윈도우즈 뿐 아니라 모든 운영 체제는 시스템에서 사용하거나 중요하다고 판단되는 파일 및 폴더는 개인이 실수로 수정, 삭제 하지 못하도록 일반적으로는 볼 수 없게 되어 있습니다.

그렇지만 사용하다 보면 시스템 파일을 수정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 합니다.


설정창을 오픈하는 방법만 다를뿐 윈도우즈 7과 모두 설정 방법은 비슷 합니다.

Windows 7은 다음을 참고하세요.

[윈도우즈] Windows7 파일 탐색기 숨김 파일, 폴더보기 방법

 


1. 설치 위치 찾기

파일 탐색기를 열어 C:\ 드라이브의 내용을 찾아 봅니다.



기본설정 탐색기에서는 아직은 어떤 파일이 숨겨져 있는지 잘 모릅니다.

 


2. 폴더 옵션 창 열기

 

파일 탐색기 설정을 변경 해보도록 합니다.

Windows 10은 파일 탐색기 창의 상단에 처음부터 메뉴 바가 있습니다.


여기서

보기 > 옵션 > 폴더 및 검색 옵션 변경

을 선택 합니다.

 


폴더 옵션 창이 나옵니다.

처음에 일반 탭이 활성화 되어 있습니다.

 


[보기] 탭을 선택 합니다.



보기 탭에 있는 항목을 2가지를 수정하면 숨김 파일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3. 파일 탐색기 설정 변경

 

설정을 변경 합니다.

 

windows hidden file


1) 보호된 운영 체제 파일 숨기기(권장)의 체크를 제거 합니다.

경고 팝업이 나타나는데



[]를 선택 합니다.


2) 숨김 파일, 폴더 및 드라이브 표시 라디오 버튼을 선택 합니다.


3) [적용]버튼을 선택 하면 현재 탐색기에 나타난 폴더에 설정이 적용 됩니다.


4)현재 선택된 폴더 이외의 모든 폴더에 설정을 적용하려면 선택을 합니다.



4. 결과 확인

 

설정이 어떻게 적용 되었는지 확인해 봅니다.

여기서는 3)번 까지만 적용을 했습니다.



안보이던 폴더와 파일이 나타나서 탐색기 창을 좀더 키워야 했습니다.

숨김 파일은 그만한 이유가 있으니 가능하면 변경, 삭제는 하지 않는게 좋습니다.


- copy coding -


윈도우즈 뿐 아니라 모든 운영 체제는 시스템에서 사용하거나 중요하다고 판단되는 파일 및 폴더는 개인이 실수로 수정, 삭제 하지 못하도록 일반적으로는 볼 수 없게 되어 있습니다.

그렇지만 사용하다 보면 시스템 파일을 수정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 합니다.


Windows 10은 다음을 참고하세요
[윈도우즈] Windows 10 파일 탐색기 숨김파일 폴더보기 방법

 


1. 설치 위치 찾기


파일 탐색기를 열어 C:\ 드라이브의 폴더와 파일을 찾아 봅니다.



 

기본설정 탐색기에서는 아직은 어떤 파일이 숨겨져 있는지 알 수 없습니다.

 

2. 폴더 옵션 창 열기

 

파일 탐색기 설정을 변경 해보도록 합니다.


Windows7은 파일 탐색기 창이 선택된 상태에서 키보드의 Alt키를 누르면 상단에 메뉴 바가 나타나는데 여기서

도구 > 폴더옵션(O)

을 선택 합니다.



폴더 옵션창은 처음에 일반 탭이 활성화 되어 있습니다.



 두번재 탭인 [보기]를 선택 합니다.


 

보기 탭에 있는 항목을 수정해서 숨김 파일 및 폴더를 보이도록 설정 합니다.


 

3. 파일 탐색기 설정 변경


이제 설정을 변경해 봅니다.

 


변경 방법은 그림의 번호 순서를 따라 아래 설명대로 진행 합니다.


1) 보호된 운영 체제 파일 숨기기(권장)의 체크를 제거 합니다.

체크를 제거하면 바로 경고 팝업이 나타나는데



[]를 선택 합니다.


2) 숨김 파일, 폴더 및 드라이브 표시 라디오 버튼을 선택 합니다.


3) [적용]버튼을 선택 합니다.

그러면 현재 탐색기에 보이는 폴더에 대해서만 설정이 적용 됩니다.


4) 모든폴더에 적용 버튼 클릭

이 버튼은 현재 선택된 폴더 이외의 모든 폴더에도 동일한 설정한 값을 적용합니다.

 


4. 결과 확인

 

설정이 어떻게 적용 되었는지 확인해 봅니다.

여기서는 3)번 까지만 적용을 했습니다.



안보이던 폴더와 파일이 나타나서 탐색기 창을 좀더 키워야 했습니다.

C:\ 폴더의 파일은 잘못 수정하면 부팅이 안될 수도 있으니 가능하면 그냥 구경만 하시길 바랍니다..



새로운 언어나 새로운 tool들을 설치할 때마다 환경변수에 등록을 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 합니다.

운영체제 별, 버전 별로 조금씩 화면은 다르겠지만 비슷한 방법으로 진행이 되기 때문에 한번 몰아서 정리 합니다.

여기서는 Windows 7, 10만 설명 합니다.

 

Windows 10

 

1. 탐색기에서 시작

 

이 방법이 제일 간단 합니다.

내 컴퓨터에 마우스를 놓고 우측 버튼을 클릭합니다.

그럼 회색 빛 메뉴 팝업이 나오는데 메뉴에서 [속성(R)]을 선택 합니다.



 

시스템 팝업 창이 열리면 좌측 [고급시스템 설정]을 선택 합니다.



 

다음에 진행되는 내용은 동일 하기 때문에 하단 4번에서 설명 합니다.

 

2. Window + x 버튼으로 시작


키보드에서 윈도우 버튼과 x 버튼을 같이 누르면 메뉴 창이 나타납니다.

 


 

여기서 시스템을 선택 합니다.

 

모양은 다를 수 있지만 정보 팝업 창이 나타납니다.

 


여기서 좌측에 있는 [시스템 정보]를 찾아 선택 합니다.


그러면 시스템 정보 팝업 창이 나옵니다.



 

여기서 [고급시스템 설정]을 선택 합니다.


다음에 진행되는 내용은 동일 하기 때문에 하단 4번에서 설명 합니다.

 

 

3. 설정에서 시작

 

윈도우 좌측 하단 시작 버튼누르거나 키보드에서 윈도우 키를 선택 합니다.



톱니같이 생긴 [설정]을 클릭 합니다.




설정 창이 나타나고 [시스템]을 선택 합니다.



시스템 창이 나오면 좌측 하단으로 내려가서 [정보]를 선택 합니다.



우측에서 정보 관련 메뉴가 나오는데 [시스템 정보]를 선택 합니다.

 

시스템 팝업 창이 나왔습니다.


 

여기서 [고급시스템 설정]을 선택 합니다.


다음 내용은 하단 4에 있습니다.

 

 

4. 환경 변수를 설정

 

4.1 변수 생성

 

[고급 시스템 설정]을 누러면 나오는 창입니다.


 

이곳에서 [환경 변수(N)]을 선택 합니다.


아주 많이 보아온 변수를 새로 만들거나 Path에 추가 할 때 사용하는 창 입니다.

 

 

신규 변수를 생성하려면 [새로 만들기]를 선택 합니다.


JAVA_HOME등을 설정 할 때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이런식으로 합니다.


 


 


Path에 추가를 하려면 Path를 선택 하고 [편집] 버튼을 클릭 합니다.




빈곳에 추가를 해주면 됩니다.


%JAVA_HOME%\bin 머 이런 식으로 추가 합니다.




 

windows 7

 

 

1. 탐색기에서 시작

 

windows 10과 동일한 방법입니다.



컴퓨터에서 마우스 우측 클릭 후 [속성]선택



[고급시스템 설정]을 선택합니다.


다음 내용은 하단에 있습니다.


2. 제어판에서 시작

 

시작버튼을 눌러 제어판을 선택 합니다.


 

여기도 화면 구성은 버전 별로 조름 다를 수 있습니다.



[시스템 및 보안]을 선택 합니다.



[시스템]을 선택 합니다.



[고급시스템 설정]을 선택 합니다.



환경 변수도 windows 10과 비슷한데 한가지만 다르죠.



Path는 한줄로 나오기 때문에 뒤에 추가를 해주는 방식입니다.

;%JAVA_HOME%\bin 이런 식으로 추가 합니다.

세미콜론을 붙여야 하지요.



각 프로그램, tool을 설치할 때 마지막 부분은 다시 설명 합니다.



1···34567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