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엔 한국으로 직접 배송되는 제품들도 많아지고 있다고 하여

아마존에서 한국으로 직접 배송하기 위한 회원 가입을 해보았습니다.

직접 구매하면 얼마나 싸려나 궁금하기도 하네요.

 

배송이 안되는 물건들은 배대지를 이용하면 되는데

그냥 주소추가를 누르고 배송지 주소를 미국 배대지로 추가해 주기만 하면 됩니다.


1. 회원가입

 

아마존에 접속을 합니다

아미존 홈페이지


메인 페이지 상단 우측의 [Account & Lists]에 마우스를 가져가면



하단에 메뉴 창이 나타납니다.


여기에서 노란색 [Sign in] 버튼은 회원가입이 되어 있는 경우 로그인 하는 거고

회원가입이 안되어 있다면 하단의 [Start here]를 선택 하여 회원 가입을 진행 합니다.


amazon member registry



이름과 이메일, 비밀번호, 비밀번호 재입력을 하고 [Create your Amazon account]

클릭하면 회원 가입이 완료 됩니다.


그리고 다시 우측의 [Account & Lists]를 보면 변경이 되어 있습니다.



우측의 [Account & Lists]에 마우스를 가져가면 나오던 [Sign in]이 사라져 있고

상단에 회원 가입할 때 입력한 이름도 적혀 있습니다.

 


2. 배송지 주소 입력

 

물건을 받을 주소를 입력 하려면 우측의 [Account & Lists]를 클릭 하거나 하단의 [Your Account]를 클릭 합니다.



화면이 바뀌면

좌측 하단에 [Your Addresses]를 클릭 합니다.



2.1   주소 입력

 

아직 입력된 주소가 하나도 없어서 [Add Address] 박스만 보입니다.



 

[Add Address]를 클릭 하면 주소입력 창이 나옵니다.

 

미국식으로 주소를 입력 합니다.



 

주소는 한국 주소를 반대 순서로 기입하면 되고 영문주소 변환은

인터넷을 검색하면 영문변환 사이트를 찾을 수 있습니다.

City만 빼고 나머지는 대충 순서만 미국식으로 적으면 됩니다.

어차피 결과는 입력한 주소를 합쳐서 하나로 만듬니다.

City 뻬고 그냥 한줄에 다 써도 됩니다.

 

국가를 한국으로 선택 하면 Customs ID Number 입력란이 나타나는데

개인통관고유부호를 입력하면 됩니다.

 

개인통관고유부호가 없으시면 발급 설명은 아래 설명을 참고 하세요.

 

[해외직구] 해외 쇼핑몰 직구용 개인통관고유부호 모바일 발급

 

개인통관고유부호는 모바일이나 인터넷이나 동일 합니다.

 

모든 항목을 입력 하였으면 [Add address] 버튼을 클릭 합니다.



입력한 한국 배송지 정보가 보입니다.

주소를 왜 한줄에 다 써도 되는지 알겠죠?

 


미국 배대지도 하나 추가해봤습니다.

배대지 주소는 진짜 한줄에 끝나네요.



오늘은 요기까지 입니다.


- copy coding -


아마존에서 쇼핑할 때 영어를 몰라도 사진이 잘 나와 있어서 제품과 가격만 보면 되기 때문에

번역의 필요성이 그리 크지 않지만 사용법이 간단해 잠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영어 번역하기

 

아마존 사이트에 들어가서

 


페이지 아무 곳에서나 마우스 우측 버튼을 클릭 합니다.

그럼 메뉴 창이 나타 나는데

 


[한국어()로 번역]을 선택 합니다.

그럼 바로 번역됨 창이 나타나고 상세 설정을 할 수 있는 메뉴가 있습니다.

 


여기서 [원본보기]를 선택하면 다시 영문으로 설정 하는거고

[옵션]을 선택하면 상세 설정 창이 하단에 나타납니다.

여기서 [영어 항상 번역]을 클릭하고 한글로 쇼핑을 합니다.

 

 

2. 영어 번역 취소

 

번역 취소는 브라우저의 url 입력란 뒤에 있는 조그마한 아이콘을 클릭하면 메뉴 창이 나타납니다.

 


여기에서 [원본보기]를 선택하면 해당 페이지만 영문 원본으로 볼 수 있습니다.

[옵션] 메뉴를 클릭해서 나오는 하단 메뉴 중 [영어 번역 안함]을 선택 하면 번역이 완전 취소 됩니다.



123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