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S에는 WAStomcat이 포함되어 있어서 별도로 설치를 하지 않아도 되고 jar 파일을 생성하면 jar 파일내에 tomcat이 들어가기 때문에 개인지 테스트 삼하 작업 하기에는 편리한 툴 입니다.  물록 tomcat으로 서비스를 하는 회사들도 있기때문에 개발하고 바로 서비스를 할 수도 있습니다.  

작업 순서는

 

1. STS 다운로드 및 설치

2. 프로젝트 생성

3. 소스코드 개발

4. jarbuild 및 서비스

 

jar 파일을 만들기 위해 STS를 설치부터 해 봅니다.

 

https://spring.io/tools

 

사이트에 접속해서 OS에 맞는 버전을 다운로드 받습니다.

 

jar 형태의 압축파일을 풀고 contents.zip 압축파일도 풀어주면 sts-4.12.1 폴더를 얻을 수 있습니다.  압축은 zip 파일을 풀드시 일반적인 툴을 이용합니다.

 

여기서 한번더 contents를 풀면 됩니다.

 

SpringToolSuite4를 실행하고

 

작업을 진행할 폴더를 선택해주고 [Launch]를 선택하면

 

개발 툴 화면을 볼 수 있습니다.

 

한번 신규 프로젝트를 생성해 봅니다.

 

File > New > Spring Starter Project

 

Type, Packaging, Java Version, Language4개를 자신의 취향에 맞도록 수정 가능 합니다.  요즘에는 Maven 보다 Gradle을 많이 사용하니 Gradle로 설정을 해서 생성합니다.

 

간단한 확인만 하려는 것이니 [Spring Web]만 선택 합니다.

 

프로젝트가 생성이 되었고 기본적인 소스도 자동으로 만들어 집니다.

 

간단하게 사용할 것이므로 콘솔 버퍼는 나중에 변경시키기로 하고 일단 실행을 해 봅니다.

 

툴의 좌측 하단에서 demo 를 선택 하고 빨간색 네모 둘중 하나를(실행, 디버깅) 클릭하면 embeded tomcat8080으로 잘 실행 되었다고 우측에 표시 됩니다.

 

웹에서 확인해 봅니다.

 

아직 아무것도 만들지 않아서 기본 오류페이지가 잘 나오고 있습니다.  설치는 완료 되었군요.

 

API를 하나 생성 합니다.

 

실행하면

 

잘 되는군요. 이제 jar 파일을 생성해 봅니다.

 

Gradle Tasks를 열고 bootJar를 더블클릭 합니다.  빌드가 완료되면

 

build > libs 폴더에 파일이 생성 되었습니다.

 

생성된 jar 파일을 별도로 띄워 봅니다.  먼저 8080포트가 충돌나지 않도록 STS에 띄워놓은 프로젝트는 중지를 하고 CMD 창을 하나 열어서

Java로 실행을 해 봅니다.

javapath에 등록 했다면

 

java -jar demo-0.0.1-SNAPSHOT.jar

 

그렇지 않다면 java의 전체 위치를 같이 사용하여 실행 합니다.

 

D:\Java\jdk1.8.0_131\bin\java -jar demo-0.0.1-SNAPSHOT.jar

 

실행이 되었다면 웹에서 확인해 봅니다.

 

잘 나오는 군요.  실제 서버에서도 이렇게 jar를 이용해서 서비스 해도 됩니다.

jar에는 내장 톰캣이 있는데 톰캣을 제외하고 외부 톰캣이나 다른 WAS를 사용한 테스트를 하기 위해 조만간 WAR로 배포를 해봐야겠네요.

 

- copy coding -


CentOStomcat을 설치하고 구동하려면 java가 설치되어 있어야 합니다. CentOS 7에는 OpenJDK가 설치되어 있으니 별도로 java를 설치하지 않아도 됩니다.

 

1. 파일 다운로드

 

Tomcat을 설치하기 위해 톰캣 사이트에 들어가 직접 다운로드 받아 사용할 수도 있지만 터미널에서 바로 다운로드 받을 수도 있습니다그러려면 다운받을 파일명을 알고 있어야 하는데 그렇지 못하다면 한번은 톰캣 사이트에 한번 접속해야 합니다.


centos tomcat install


다운로드 페이지에서 자신에게 적합한 버전을 찾아 다운받을 파일을 선택 하고 마우스 우측 버튼을 클릭하여 링크 주소를 복사해 옵니다복사한 주소는 앞에 wget을 붙여주어 명령어를 완성 시키고 실행 합니다.

 

$ wget http://mirror.apache-kr.org/tomcat/tomcat-8/v8.5.51/bin/apache-tomcat-8.5.51.tar.gz


centos tomcat install


명령어를 입력하고 잠시 기다리면 다운로드가 완료 됩니다.

 

2. 설치

 

설치 작업은 먼저 tar 명령을 이용하여 다운받은 파일의 압축을 풀어 줍니다.

$ tar –zxvf apache-tomcat-8.5.51.tar.gz

 

압축이 풀리면 그냥 현재의 폴더에 놓고 사용해도 되지만 혼자 사용 하는게 아니라면 root로 로그인 해서 모두가 사용하고 관리도 일관성 있도록 추가 작업을 진행 합니다.

 

일단 압축을 풀어준 폴더를 이동 합니다물론 개인적인 기호에 따라 다른 폴더로 이동해도 됩니다.

# mv /home/copycoding/apache-tomcat-8.5.51.tar.gz /usr/local/lib


centos tomcat install


/usr/local/lib에 이동이 되었는지 확인 합니다.


centos tomcat install


이렇게 압축을 풀어주는 것으로 설치는 완료 됩니다.

 

 

3. 환경 설정

 

마지막으로 환경 설정만 잡아주면 로그인한 사용자는 어느 폴더에서건 사용이 가능합니다.

/etc/profile을 열고 설정을 추가 합니다.


# vi /etc/profile


centos tomcat install

 

CATALINA_HOME=/usr/local/lib/apache-tomcat-8.5.51

CLASSPATH=.:$JAVA_HOME/lib/tools.jar:$CATALINA_HOME/lib/jsp-api.jar:$CATALINA_HOME/lib/servlet-api.jar

PATH=$PATH:$JAVA_HOME/bin:$JRE_HOME/bin:$CATALINA_HOME/bin

export JAVA_HOME

export JRE_HOME

export CLASSPATH CATALINA_HOME

 

JAVA 설정과 석여있긴 한데 tomcat 설정 부분(CATALINA)만 보시면 됩니다.

profile을 수정 하였으니 source 명령어로 수정사항을 반영 합니다.


# source /etc/profile

설정 작업도 완료가 되었습니다.

 


4. 실행

 

이제 실행을 해 봅니다.

 

# /usr/local/lib/apache-tomcat-8.5.51/bin/startup.sh


centos tomcat install


tomcat이 구동 되었고 포트가 listen 상태인지도 확인 합니다.

 

$ netstat -an | grep 8080


centos tomcat install


잘 떠있군요. 그럼 브라우저로 접속을 해보면


centos tomcat install


연결 오류가 발생 하는군요.  보안을 위한 방화벽이 작동되어 차단이 된것 입니다방화벽 차단을 위해 다음 명령을 입력 합니다.

 

# firewall-cmd --permanent --zone=public --add-port=8080/tcp

# firewall-cmd --reload

 

이제 다시 접속해 볼까요?

 

# /usr/local/lib/apache-tomcat-8.5.51/bin/startup.sh


centos tomcat install


다시 사이트에 접속 합니다.


centos tomcat install


성공 입니다.  tomcat 을 중지하려면 다음 명령을 사용 합니다.

# /usr/local/lib/apache-tomcat-8.5.51/bin/shutdown.sh


- copy coding -


Spring Boot에서 jsp로 화면을 만들고 Controller에서 View로 리턴을 하였는데 jsp 파일을 찾지 못하는 경우 ResourceHttpRequestHandler :Path with "WEB-INF" or "META-INF" 이런 식으로 발생하는 오류입니다브라우저에는 아래와 같은 오류가 발생 하고


spring boot jasper


Console에도 아래 처럼 오류 로그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spring boot jasper


spring boot jasper


2020-02-14 11:54:00.941  INFO 33124 --- [nio-9090-exec-1] com.zaxxer.hikari.HikariDataSource       : HikariPool-1 - Starting...

2020-02-14 11:54:01.089  INFO 33124 --- [nio-9090-exec-1] com.zaxxer.hikari.HikariDataSource       : HikariPool-1 - Start completed.

2020-02-14 11:54:01.151  WARN 33124 --- [nio-9090-exec-1] o.s.w.s.r.ResourceHttpRequestHandler     : Path with "WEB-INF" or "META-INF": [WEB-INF/jsp/board/BoardList.jsp]

2020-02-14 11:54:05.743  WARN 33124 --- [nio-9090-exec-2] o.s.w.s.r.ResourceHttpRequestHandler     : Path with "WEB-INF" or "META-INF": [WEB-INF/jsp/welcome.jsp]


사실 오류라기 보다는 Spring Boot에서 내장된 Tomcat을 사용 하는 경우 JSP를 처리하는 서블릿을 추가하지 않아 발생하는 것으로 pom.xml에 다음을 추가해 주면 해결 됩니다.


 <dependency>

        <groupId>org.apache.tomcat.embed</groupId>

        <artifactId>tomcat-embed-jasper</artifactId>

</dependency>


pom.xml에 추가하고  Maven update 하고 Maveninstall 하고 실행해 보면 이번에는 화면에 출력이 잘 나옵니다.



개인적으로는 좀 생소한 axboot.  생산성이 높다고 해서 한번 설치를 하려는데 eclipse 환경에 익숙해서인지 설치 자체가 부담으로 다가와 두번 설치 하라고 하면 못할 것 같아 몇자 적어둡니다.

사전에 작업해야 하는 부분은 Java, Tomcat, STS, lombok, git, node, bower 등의 프로그램을 설치해야 됩니다.  설치 항목이 너무 많아 중간에 그만 두려고 했을 정도로 좀 지겹습니다(나만 죽을 순 없지, 이걸 맨 마지막으로 옮길까? 올리기 전에 결정할것).  STS를 설치 하면서 왜 Tomcat도 설치 해야 하느냐는 외부에 있는 WAS를 사용하는 테스트를 하려는 것 입니다.( 만들다 보니 너무 길어서 외부 Tomcat 이용은 다음 기회에…)

 


1. JAVA 설치

 

Oracle 사이트에 접속하여 Java1.8.x 버전 이상을 다운받아 설치를 합니다.

Java를 설치하고 환경 변수 설정을 합니다설치 위치에 따라 폴더는 변경하면 됩니다.

 

JAVA_HOME

"F:\project\Java\jdk1.8.0_131"


axboot framework 설치


Path%JAVA_HOME%\bin을 추가 합니다.


자세한 설명은 참조는 아래 링크를 참조 하세요.


Java 설치 환경 설정



2. Tomcat 설치

 

나중에 STS에 있는 WAS를 사용하지 않고 별도의 WAS를 사용 하려면 Apache 사이트에 접속하여 Tomcat를 다운받아 설치 합니다내부 WAS를 이용 하려면 다음으로 Pass 하세요이것도 설치 후에는 환경 변수 설정을 합니다.

 

CATALINA_HOME

"C:\project\apache-tomcat-8.5.39"


axboot framework 설치


Tomcat 설치 관련 설명은 하단 링크 앞부분 참조.

 

eclipse java apache-tomcat 설치 (Windows)



3. STS 설치

 

사이트에 접속하여 설치를 진행 합니다.

 

https://spring.io/tools

 

설치는 파일을 다운로드 받은 후 압축을 풀어주기만 하면 됩니다자세한 사항은 하단 링크를 참조 합니다.

 

Spring Tools 설치 Spring Boot (STS 4.4.2.1)

 


4. lombok 설치

 

도메인 또는 VO로 부르는 class getter, setter 관련 자동화 도구입니다썰렁한 사이트에 접속해서 다운로드를 받습니다.

 

https://projectlombok.org/download


axboot framework 설치


콘솔을 하나 열고 파일이 있는 폴더로 이동하여 다운받은 파일을 실행 합니다.

 

C:\project>java -jar lombok.jar


axboot framework 설치


그러면 다음과 같은 창이 열리는데


axboot framework 설치


여기에서 Specify location… 버튼을 클릭하고


axboot framework 설치


STS 실행 파일을 선택 해주고


axboot framework 설치


Install/Update 버튼을 클릭해 줍니다.


axboot framework 설치


설치가 완료되면 Quit Installer 버튼을 클릭 합니다.

 

SpringToolSuite4.ini 파일을 열어 보면 다음과 같은 라인이 추가 되어있습니다.

-javaagent:C:\project\sts-4.2.1.RELEASE\lombok.jar

 

  

5. Git 설치

 

여기까지 오니 슬슬 질리기 시작하는데 그만둘 수도 없으니 계속 진행 해 봅니다.  Git도 사이트에 접속해서 설치를 합니다.

 

https://git-scm.com

 

설치 방법은 다운 받은 파일을 실행 하고 계속 다음 버튼을 클릭 해 줍니다.

 

자세한 설명은 하단을 참고 합니다.

 

[Git] Git 설치 하기 (Windows - Git-2.20.1-64-bit)

 

 

 

6. Node 설치

 

Node도 사이트에 접속하여 파일을 다운로드 받습니다.


https://nodejs.org/ko/

 

다운로드 받은 파일을 실행하고 계속 다음 버튼을 클릭하고 설치가 완료되면 콘솔 모드에서 버전을 확인해 봅니다.


axboot framework 설치


여기까지 오면 잘 설치가 된 것 입니다자세한 설치 설명은 하단 링크를 참고 합니다.

 

node.js 다운로드 설치하기

 

 

7. Bower 설치

 

화면 단 파일관리 툴인 Bower를 설치 합니다이건 위에서 설치한 node에 포함된 npm을 이용하여 설치를 합니다콘솔을 하나 열고

 

C:\>npm install -g bower


명령을 입력 하면 설치가 진행 됩니다.  –gglobal로 아무 폴더에서나 사용하기 위한 옵션 입니다.


axboot framework 설치


여기 까지 해서 필요한 프로그램 설치는 완료 되었습니다개인적으로는 혹시나 해서 Maven도 설치를 했습니다.

 


8. axboot 소스코드 생성

 

이제 준비작업이 완료 되었으니 본격 적으로 axboot 관련 작업을 시작 합니다.

 

Sample 프로젝트를 하나 생성해 보기 위하여 Initializr 사이트에 접속 합니다


http://start.axboot.com/

 

사이트에 접속해서 필요한 항목을 입력합니다.


axboot framework 설치


잘 안보이나요?


axboot framework 설치


이케 적었습니다별거 없습니다.

 

Generate Project를 클릭 하면 소스가 다운로드 됩니다. webtest_20190527.zip 날짜가 추가 되어 있는데 압축을 풀면 날짜가 없는 폴더가 하단으로 생성 됩니다.

 

Command 창을 하나 열어 추가 작업을 시작 합니다. 작업은 package.json을 이용하여 plug-in download 하는 것으로 압축을 풀어놓은 위치로 이동을 합니다.

 

cd C:\project\webtest_20190527\webtest


이동하였으면


C:\project\webtest_20190527\webtest>npm install


명령을 입력 합니다.


axboot framework 설치


한참 진행을 하다가 오류사항들이 나오는데 phthon2를 찾고 난리도 아닙니다.


axboot framework 설치


axboot framework 설치


설치 매뉴얼에 python 얘기는 없었기 때문에 오류가 나도 무시 하기로 하고 그냥 다음 단계로 진행을 합니다.

 

다음 단계는 실행을 하는 것 입니다콘솔의 동일한 폴더에서 다음 명령을 입력 합니다.

 

C:\project\workspace2\webtest>mvn spring-boot:run


axboot framework 설치


한참 스크롤이 올라가며 다운로드 하고 뭔가 진행을 하다가 동작이 멈춥니다.  웹 페이를 열고 localhost:8080을 입력해 보았습니다


axboot framework 설치


실행이 잘 되었군요. 스키마 및 초기 데이터 생성하기 버튼을 클릭 합니다.


axboot framework 설치


원가 진행이 되고 있고 콘솔에서는 로그가 올라가기 시작 합니다.


axboot framework 설치


현재 브라우저에서 진행되는 상황을 log로 제공하여 볼 수 있습니다.


axboot framework 설치


잠시 후 초기화가 완료 됩니다확인 버튼을 클릭 합니다.


axboot framework 설치


화면이 변경 되었습니다.


axboot framework 설치


로그인 창인데 아이디와 패스워드는 입력이 되어 있습니다로그인 버튼을 클릭 합니다.


axboot framework 설치


설치가 잘 완료 되었습니다.


axboot framework 설치


메뉴를 하나씩 살펴보세요.


12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