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내용 아니라 어디에 대충 적어놓으면 되는데 그럼 또 찾아야 하거나 잊어버릴것 같아 몇자 적어놓아야 겠네요.

 

 

오랜만에 테스트하려고 아마존 클라우드에 접속 했더니 root 비밀 번호를 잊어 버렸습니다.

대부분 비밀 번호는 (보안이고 나발이고 관리해야할 패스워드가 한두개냐?) 스티키 메모에 적어놓는데 인스턴스를 새로 만들면서 적어놓은게 없네요.

인스턴스를 새로 만드는건 공짜지만 여러가지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설정하기는 귀찮고...

서론이 길었는데 명령어는 단순합니다.

 

login as: centos
Authenticating with public key "ec2testkey"
Last login: Thu Dec 22 00:29:35 2022 from 58.87.60.225
[centos@ip-172-31-39-131 ~]$ su -
Password:
su: Authentication failure
[centos@ip-172-31-139-131 ~]$ su -
Password:
su: Authentication failure
[centos@ip-172-31-139-131 ~]$
[centos@ip-172-31-139-131 ~]$ su
Password:
su: Authentication failure
[centos@ip-172-31-139-131 ~]$ sudo passwd root
Changing password for user root.
New password:
BAD PASSWORD: The password is shorter than 7 characters
Retype new password:
passwd: all authentication tokens updated successfully.
[centos@ip-172-31-139-131 ~]$ su -
Password:
Last login: Thu Dec 22 00:29:40 UTC 2022 on pts/1
Last failed login: Wed Mar  1 03:01:26 UTC 2023 on pts/0
There were 3 failed login attempts since the last successful login.
[root@ip-172-31-139-131 ~]#

 

위에서 처럼

sudo passwd root

명령어를 사용해서 신규 비번과 비번 확인을 입력해서 비밀번호를 재설정하면 됩니다.

 

- copy coding -

 

지난번에 Windows 10docker를 설치 하였고 오늘은 도커에 centos를 설치해 보려고 합니다.

작업 순서는

1. CentOS 설치 버전 확인

2. CentOS Docker로 가져오기

3. CentOS Container 설치

4. CentOS start와 접속

입니다.

 

 

1. CentOS 설치 버전 확인

 

 

제일 중요한 문제는 docker에 설치 가능한 CentOS 버전이 무엇무엇이 있는가 알아야 하는데 저는 cmd 창에서 [docker search centos] 명령어로 찾아보는 건 직관적이지 않아서 docker 사이트에서 검색 해보기로 했습니다.

 

https://hub.docker.com/

 

사이트에 접속해서 docker hub 글씨 옆의 입력 칸에 원하는 검색 키워드를 입력하고 엔터를 누르면 결과 리스트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

 

 

검색 결과에서 CentOS를 다시 한번 클릭 해주면 새 창에서 좀더 자세한 내용을 볼 수 있습니다.

 

 

최신 버전을 받을 수 있는 스크립트가 제공되고 그외에 설치 가능한 공식적인 버전 정보들도 리스트 되어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저는 최신 버전을 설치하려는게 아니기 때문에 원하는 버전 정보를 추가해서 CentOS를 제 컴퓨터에 가지고 오도록 했습니다.

 

 

2. CentOS Docker로 가져오기

 

명령은 간단하게 docker pull centos:7.9.2009  이런 형태가 됩니다.

 

C:\>docker pull centos:7.9.2009
7.9.2009: Pulling from library/centos
2d473b07cdd5: Pull complete
Digest: sha256:9d4bcbbb213dfd745b58be38b13b996ebb5ac315fe75711bd618426a630e0987
Status: Downloaded newer image for centos:7.9.2009
docker.io/library/centos:7.9.2009
 
C:\>

 

 

3. CentOS Container 설치

 

그리고 Container를 생성해 줍니다.

 

docker create -i -t --name centos centos:7.9.2009

 

C:\>docker create -i -t --name centos centos:7.9.2009
6cdda13ce533857880df029cfbd36f3adc46bf849ef028491568c734bf00cefa
 
C:\>

 

여기까지가 CentOS 설치 과정입니다.  pull로 가져오고 create로 생성하면 됩니다.

 

 

4. CentOS start와 접속

 

생성된 CentOS 컨테이너를 실행하고 접속하는 명령어도 간단 합니다.

 

docker start [컨테이너 이름]

docker attach [컨테이너 이름]

 

C:\>docker start centos
centos
 
C:\>docker attach centos
[root@6cdda13ce533 /]# ls
anaconda-post.log  bin  dev  etc  home  lib  lib64  media  mnt  opt  proc  root  run  sbin  srv  sys  tmp  usr  var
[root@6cdda13ce533 /]#

 

ls 명령을 테스트 해보았는데 잘 되는군요.

 

새로운 CentOS 컨테이너가 생성된 후에는 Docker에 어떻게 보이는지 확인해 봅니다.

 

 

컨테이너를 create 할때 name 속성을 centos라고 해서 centos 입니다.  마음에 들지 않으면 생성할 때 다른 이름으로 만드시면 됩니다.  아니면 다른 이름으로 여러개 만들어서 사용해도 되겠군요.

웹서버 테스트를 해야 하는데 이제 슬슬 시작해 봐야겠습니다.

 

도커 설치는 아래 링크를 참고하세요.
Docker 4.3.2 WSL 2 설치 (Windows 10)  https://copycoding.tistory.com/399

 

- copy coding -


CentOS 7 PoatgreSQL을 설치하려면 먼저 운영체제 종류와 버전 별로 제품의 어떤 버전이 지원 되고 있는지 확인을 해야 합니다.


centos postgresql install


PostgreSQL도 홈페이지에 들어가 보면 202005월 현재 지원 하는 상황을

PostgreSQL Version

64 Bit Platforms

32 Bit Platforms

10

RHEL / CentOS / OEL 7.x & 6.x

RHEL / CentOS / OEL 6.x

9.6

RHEL / CentOS / OEL 7.x & 6.x

RHEL / CentOS / OEL 6.x

9.5

RHEL / CentOS / OEL 7.x & 6.x

RHEL / CentOS / OEL 6.x

이렇게 알려주고 있습니다.

 

지원하는 패키지가 많이 있지만 주요 패키지 구성은

postgresql-client

libraries and client binaries

postgresql-server

core database server

postgresql-contrib

additional supplied modules

postgresql-devel

libraries and headers for C language development

 

이런거라네요당연히 server는 설치를 해야 하는 거고 나머지는 필요하면 같이 설치 해도 되고 나중에 따로 설치를 하면 됩니다이제 설치를 진행 합니다.

 

1. PostgreSQL 설치

 

설치하기 전에 yum을 업데이트 합니다.

$ sudo yum update -y

 

현재 상태에서 어떤 버전이 설치 가능 한지 확인 해 봅니다.

$ yum list | grep ^postgresql



centos postgresql install


현재는 재가 설치한 CentOS에서는 9.2 버전을 설치 할 수 있군요저는 다른 버전을 설치 하고 싶은데 그러려면 먼저 rpminstall 해야 합니다.  다운로드 사이트에 접속해서

https://download.postgresql.org/pub/repos/yum/srpms/


centos postgresql install


원하는 버전 별로 찾아 들어가 rpm 주소를 복사해서 설치를 하면 됩니다꼭 아래처럼 하지 않아도 본인이 원하는 파일을 찾아서 설치 하세요.

$ sudo yum install https://yum.postgresql.org/9.6/redhat/rhel-8-x86_64/pgdg-redhat-repo-latest.noarch.rpm


centos postgresql install


설치를 완료하고 다시 $ yum list | grep ^postgresql  명령을 실행해보면


centos postgresql install


이제는 9.4, 9.5, 9.6, 10, 11, 12등 설치할 수 있는 버전이 많아졌습니다.

이중 설치하려는 버전 번호를 붙여서 명령어를 생성하면 됩니다.

$ sudo yum install postgresql96 postgresql96-server


centos postgresql install


설치가 완료되면 자동으로 postgres라는 계정이 하나 생성 됩니다.  /etc/passwd에 추가되고 /var/lib/pgsql/에 설치 됩니다.

 

2. PostgreSQL 초기화

 

initdb 명령으로 초기화를 진행 합니다.

 

$ sudo /usr/pgsql-9.6/bin/postgresql96-setup initdb


centos postgresql install


PostgreSQL을 등록하고 서버 재시작 후에도 자동으로 실행되도록 합니다.

$ sudo systemctl start postgresql-9.6

$ sudo systemctl enable postgresql-9.6


centos postgresql install


초기화 작업과 등록 작업이 완료 되었습니다.

 

3. PostgreSQL 설치 확인

 

다음 명령으로 설치를 확인해 봅니다.

 

$ ps -ef | grep post


centos postgresql install


데이터 베이스에 접속해 봅니다.

$ sudo -u postgres psql


centos postgresql install


설치 작업이 잘 되었습니다.


- copy coding -


CentOStomcat을 설치하고 구동하려면 java가 설치되어 있어야 합니다. CentOS 7에는 OpenJDK가 설치되어 있으니 별도로 java를 설치하지 않아도 됩니다.

 

1. 파일 다운로드

 

Tomcat을 설치하기 위해 톰캣 사이트에 들어가 직접 다운로드 받아 사용할 수도 있지만 터미널에서 바로 다운로드 받을 수도 있습니다그러려면 다운받을 파일명을 알고 있어야 하는데 그렇지 못하다면 한번은 톰캣 사이트에 한번 접속해야 합니다.


centos tomcat install


다운로드 페이지에서 자신에게 적합한 버전을 찾아 다운받을 파일을 선택 하고 마우스 우측 버튼을 클릭하여 링크 주소를 복사해 옵니다복사한 주소는 앞에 wget을 붙여주어 명령어를 완성 시키고 실행 합니다.

 

$ wget http://mirror.apache-kr.org/tomcat/tomcat-8/v8.5.51/bin/apache-tomcat-8.5.51.tar.gz


centos tomcat install


명령어를 입력하고 잠시 기다리면 다운로드가 완료 됩니다.

 

2. 설치

 

설치 작업은 먼저 tar 명령을 이용하여 다운받은 파일의 압축을 풀어 줍니다.

$ tar –zxvf apache-tomcat-8.5.51.tar.gz

 

압축이 풀리면 그냥 현재의 폴더에 놓고 사용해도 되지만 혼자 사용 하는게 아니라면 root로 로그인 해서 모두가 사용하고 관리도 일관성 있도록 추가 작업을 진행 합니다.

 

일단 압축을 풀어준 폴더를 이동 합니다물론 개인적인 기호에 따라 다른 폴더로 이동해도 됩니다.

# mv /home/copycoding/apache-tomcat-8.5.51.tar.gz /usr/local/lib


centos tomcat install


/usr/local/lib에 이동이 되었는지 확인 합니다.


centos tomcat install


이렇게 압축을 풀어주는 것으로 설치는 완료 됩니다.

 

 

3. 환경 설정

 

마지막으로 환경 설정만 잡아주면 로그인한 사용자는 어느 폴더에서건 사용이 가능합니다.

/etc/profile을 열고 설정을 추가 합니다.


# vi /etc/profile


centos tomcat install

 

CATALINA_HOME=/usr/local/lib/apache-tomcat-8.5.51

CLASSPATH=.:$JAVA_HOME/lib/tools.jar:$CATALINA_HOME/lib/jsp-api.jar:$CATALINA_HOME/lib/servlet-api.jar

PATH=$PATH:$JAVA_HOME/bin:$JRE_HOME/bin:$CATALINA_HOME/bin

export JAVA_HOME

export JRE_HOME

export CLASSPATH CATALINA_HOME

 

JAVA 설정과 석여있긴 한데 tomcat 설정 부분(CATALINA)만 보시면 됩니다.

profile을 수정 하였으니 source 명령어로 수정사항을 반영 합니다.


# source /etc/profile

설정 작업도 완료가 되었습니다.

 


4. 실행

 

이제 실행을 해 봅니다.

 

# /usr/local/lib/apache-tomcat-8.5.51/bin/startup.sh


centos tomcat install


tomcat이 구동 되었고 포트가 listen 상태인지도 확인 합니다.

 

$ netstat -an | grep 8080


centos tomcat install


잘 떠있군요. 그럼 브라우저로 접속을 해보면


centos tomcat install


연결 오류가 발생 하는군요.  보안을 위한 방화벽이 작동되어 차단이 된것 입니다방화벽 차단을 위해 다음 명령을 입력 합니다.

 

# firewall-cmd --permanent --zone=public --add-port=8080/tcp

# firewall-cmd --reload

 

이제 다시 접속해 볼까요?

 

# /usr/local/lib/apache-tomcat-8.5.51/bin/startup.sh


centos tomcat install


다시 사이트에 접속 합니다.


centos tomcat install


성공 입니다.  tomcat 을 중지하려면 다음 명령을 사용 합니다.

# /usr/local/lib/apache-tomcat-8.5.51/bin/shutdown.sh


- copy coding -


12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