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많은 사이트에 회원가입을 하게 되면 가장 힘든게 로그인 비밀 번호 만들기 입니다비밀번호 정책도 자주 바뀌어 기억도 할 수 없을 길이에 숫자, 특수문자까지 추가하다 보면 나중에는 비밀번호 기억해 내느라 로그인을 포기하는 경우도 발생합니다크롬에서 제공하는 비밀번호 저장 기능을 사용해서 중요하지 않은 사이트 비밀번호를 쉽게 관리할 수 있습니다.

 

1. 로그인 비밀번호 저장

 

1.1 최초 로그인 하는 경우


크롬 브라우저에서 사이트에 처음 로그인 하는 경우 비밀번호를 저장하시겠습니까?” 라는 팝업 창을 볼 수 있습니다.

 

chrome_login_save


이때 저장 버튼을 클릭 하면 비밀 번호를 저장하고 사용을 할 수 있습니다.

대부분 사용하지 않음 버튼을 누르게 되는데 나중에 그때 저장할걸 하는 경우가 발생 하는데 간단하게 비밀번호를 저장할 수 있습니다.

 

1.2 로그인시 비밀 번호 저장

 

만약 최초 로그인시 저장 요청에서 사용하지 않음을 선택한 경우에도 다음 번 로그인시에 저장을할 수 있습니다로그인 창에서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상단에 열쇠 모양의 아이콘이 나타나는데 그걸 클릭하면 저장 질문 창이 나타납니다.


chrome_login_save


이때 저장 버튼을 누르면 다음 부터는 비밀번호를 입력하지 않고 로그인을 할 수 있습니다.



2. 비밀번호 관리

 

2.1 비밀번호 리스트


저장된 비밀번호를 확인하고 관리를 해보겠습니다크롬 브라우저가 버전이 변경 되면서 설정 위치가 조금 변경이 되었습니다크롬 브라우저 우측 점세개 아이콘을 클릭하고 설정 메뉴를 선택 합니다.

 


chrome_login_save


설정 창의 자동 완성 메뉴에 비밀번호를 선택 합니다.


chrome_login_save


지금까지 저장한 비밀번호 사이트 리스트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chrome_login_save


2.2 비밀번호 확인


비밀번호를 저장해 놓으면 좋은 점은 비밀번호를 텍스트 형태로 확인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비밀번호 옆에 있는 눈 모양의 아이콘을 클릭하면 컴퓨터 로그인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창이 나타납니다.


chrome_login_save


컴퓨터 로그인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해당 사이트의 비밀번호가 텍스트로 표시 됩니다.편한 것 같은데 위험한 것 같기도 합니다.


chrome_login_save


2.3 비밀번호 정보 및 삭제


눈모양 옆의 점 세개 아이콘을 클릭하면 세부정보와 제거 메뉴가 나타납니다.


chrome_login_save


세부 정보를 선택하면 특별한 정보는 없습니다.


chrome_login_save


제거를 선택 하면 해당 항목이 사라집니다.


chrome_login_save


비밀번호 저장은 편하긴 한데 개인용 컴퓨터이고 타인의 사용에 대해 관리를 잘 할 수 있는 경우에만 추천합니다.



Chrome에서 동기화를 해 놓으면 모든 북마크, 방문 기록, 비밀번호, 설정 등이 구글에 저장되고동기화된 정보를 모든 기기에서 확인하고 업데이트할 수 있습니다비밀번호까지 저장 되기 때문에 로그인 하는 사이트는 자동 로그인도 가능하게 됩니다.

편리한 기능이 있긴 하지만 개인 정보를 모두 구글에 넘겨주게 되고 가끔 구글에서 사용한다는 기사가 나오기도 하지요.

현명하게 사용하면 펀리한 기능이 될 수도 있으니 설정에 대해 상세히 알아 봅니다.

 

 

1. Chrome 동기화 하기

 

1.1 로그인 이름 버튼 사용


동기화를 위해서는 먼저 구글에 로그인을 합니다로그인을 완료하고 크롬 브라우저 우측 상단에 이름을 클릭하면 동기화 버튼이 나타납니다.


chrome_sync


동기화 사용 버튼을 클릭해서 동기화를 시킵니다.  


chrome_sync


이렇게 하면 모든 내용이 동기화가 진행이 됩니다항목을 선택해서 동기화를 하려면 설정을 이용하는 다음 방법을 사용합니다.

 

1.2 설정 사용 동기화

 

크롬 우측에 점세개 아이콘을 선택 합니다.


chrome_sync


 

메뉴에서 설정(S)을 선택합니다.


chrome_sync


우측의 동기화 사용 버튼을 클릭합니다


chrome_sync


그럼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옵니다만약 1.1에서 동기화 버튼을 선택 했어도 동일한 화면을 볼 수 있습니다.


chrome_sync


동기화 메뉴를 클릭하면 필요한 항목만 선택해서 동기화 할 수 있습니다


chrome_sync


필요한 항목만 선택 하려면

1. 모두 동기화 버튼 클릭해서 해제

2. 선별적으로 동기화 차단


chrome_sync



 

2. 크롬 동기화 중지

 

동기화 중지 방법도 두가지 방법이 있는데 결국은 한곳에서 처리가 됩니다.

 

2.1 로그인 이름 버튼 사용


chrome_sync


그러면 설정 화면으로 이동 합니다설정 화면은 아래에서 설명 합니다.

 

2.2 설정 사용 중지

 

크롬 우측 점세개 이미지를 클릭하고 설정 메뉴를 선택 해서 설정 화면으로 이동 합니다.


chrome_sync


사용 중지 버튼을 클릭 합니다.

사용 중지 및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삭제 하려면 체크를 합니다.


chrome_sync


사용중지 버튼을 클릭하면 동기화 기능이 중지 됩니다.



크롬을 사용하다 보면 일부 사이트에서 실명확인, 로그인, 선물하기 등 일부 기능이 레이어가 아닌 팝업을 이용하는 경우가 있어 필요한 사이트에 대한 팝업을 허용하거나 거부하는 방법을 알아 보겠습니다.

 


1. 설정 메뉴 선택


크롬 브라우저의 우측 상단에 로 점세개 아이콘을 클릭 하면 며뉴가 나오는데 하단 설정(S) 메뉴를 클릭 합니다.


google_chrome_팝업허용차단


설정 창으로 이동이 되었습니다.  이제는 좌측 상단 삼선 슬리퍼 모양의 아이콘을 클릭 합니다.


google_chrome_팝업허용차단



2. 고급 메뉴 선택


설정 메뉴 하단에 고급 이라는 메뉴가 있습니다클릭 해야죠.


google_chrome_팝업허용차단



3. 콘텐츠 메뉴 찾기

 

고급의 하부 메뉴 중 제일 처음에 있는 개인정보 및 보안을 선택 합니다. 


google_chrome_팝업허용차단


개인정보 및 보안 상세 항목이 많이 있는데 하단으로 이동을 합니다


google_chrome_팝업허용차단


그러면 끝부분에 콘텐츠 설정이 보이고 이것을 선택 합니다.

 


4. 팝업 설정 화면



google_chrome_팝업허용차단


리스트 중간쯤에 팝업 및 리디렉션 메뉴가 있습니다. 기본은 차단됨으로 설정이 되어있는데 이것을 클릭합니다

이제야 마지막 팝업 설정화면에 도달 했습니다.


google_chrome_팝업허용차단



5. 팝업 설정

 

위에 그림을 보면 설정 방법이 3가지가 있습니다.

1번은 어느 사이트건 무조건 팝업 사용이 가능합니다. 그래서 기본적으로 차단(권장)으로 설정 되어 있습니다.

2번은 1번을 전체 허용 한 경우 차단 하려는 사이트를 추가 하는 항목입니다.

3번은 1번을 전체 차단 한 경우 허용 하려는 사이트를 추가 하는 항목 입니다.

 

저는 3번 버튼을 클릭 했습니다.


google_chrome_팝업허용차단


팝업을 허용할 사이트 주소를 입력하고 추가 버튼을 클릭 합니다.


google_chrome_팝업허용차단


허용이 된 사이트 리스트를 볼 수 있습니다.

 

허용된 사이트를 삭제 하거나 주소를 잘못 기입한 경우에는 리스트 우측의 세로점 세개 아이콘을 클릭 하면 됩니다.


google_chrome_팝업허용차단

 

네이버는 차단을 선택했더니 차단 항목으로 이동이 되었습니다. 전체 차단 상태라 의미는 없습니다이런식으로 귀찮은 팝업이 없도록 잘 사용 하세요.

팝업을 허용하면 일부 사이트에서는 새창 열기 광고가 활성화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꼭 팝업이 필요한 경우 허용해서 사용하고 다시 차단을 해놓으면 됩니다.



크롬을 사용 중 새창이 열리면서 광고가 나타나기 시작합니다.

구글 크롬에서 알려주고 있는 광고 차단방법을 사용해서 치료를 해보았습니다.

 

 

 

1. 멀웨어 설치 확인

 

광고 팝업을 만드는 악성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는지 확인을 합니다.

오른쪽 상단에서

점 세개 아이콘(더보기) > 설정

을 클릭합니다.


google_chrome_멀웨어팝업광고


설정 창으로 이동을 합니다.

여기에는 아무런 메뉴가 보이지 않습니다. 


google_chrome_멀웨어팝업광고


좌측 상단 줄 세개 아이콘을 클릭 해야 메뉴가 보입니다.

 

좌측에 메뉴가 나타나는데 여기에서 하단에 있는 고급을 클릭합니다.


google_chrome_멀웨어팝업광고


고급 메뉴 하단에 새로운 하부 메뉴가 보입니다


google_chrome_멀웨어팝업광고


고급메뉴 하단의 재설정 및 정리하기를 선택 합니다.


google_chrome_멀웨어팝업광고


컴퓨터 정리를 클릭합니다.

 

Google에 세부정보 신고가 활성화 되어 있으면 구글에 작업내용이 제공되는 것인데 저는 비활성화로 해놓고 작업을 진행 합니다.


google_chrome_멀웨어팝업광고


찾기를 클릭해서 멀웨어를 검색합니다.


google_chrome_멀웨어팝업광고


열심히 유해한 소프트웨어를 확인 합니다.


google_chrome_멀웨어팝업광고


이런

 

자꾸 광고 팝업이 나타나는데 왜 발견 못하냐

 

이 방법은 아닌가 봅니다.

 

만약 유해한 소프트웨어가 발견 되면 치 않는 소프트웨어를 삭제하라는 메시지가 표시되고 삭제를 클릭하면 된다는데 아쉽게도 볼 수가 없네요.



2. 크롬 브라우저 초기화

 

팝업 광고 차단 두번째 방법은 크롬을 초기화 시키는 것인데 만약 크롬을 편하게 사용하려고 설정 값을 변경한 부분이 있다면 이것도 초기화 되기 때문에 한번 생각하고 진행 합니다.

 

 

진행 방법은 1번 멀웨어 검색과 동일한 순서로 진행하다 [재설정 및 정리하기]에서 설정을 기본값으로 복원을 클릭합니다.


google_chrome_설정초기화


설정 초기화 창이 나타났습니다.


google_chrome_설정초기화


Chrome 개선에 참여는 본인의 의사를 반영해 주시고 설정 초기화 버튼을 클릭합니다.


google_chrome_설정초기화


초기화가 진행 됩니다.

초기화가 완료되면 이전 화면으로 이동을 합니다.

 

저는 이 두번째 방법이 효과가 있었습니다.


3. 기타


다른사람의 요청으로 광고 팝업을 해결해 보려고 위에 있는 두가지 방법을 다 사용해 보고 백신을 다시 깔아서 바이러스, 멀웨어를 찾아보고 마지막으로 크롬을 다시 설치해도 해결이 되지 않는 경우가 있었습니다.

원인은 인터넷에서 비정상 다운로드를 이용하거나 코덱을 설치하면서 사용자 모르게 광고 프로그램이 설치된 경우로 이런 경우는 광고가 시작된 날짜를 생각하여 날짜별 프로그램 설치 탐색을 이용하여 삭제해야 합니다.


- copy coding -


123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