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ux에서 사용하는 원격지 파일전송 명령어인 SCP 기능을 기반으로 Windows에서도 사용할 수있도록 만든 프로그램으로 FileZilla와 같이 무료로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FTP를 사용하기위한 정보 제공용 화면 구성으로는 FileZilla보다 못한것 같은데 요즘에는 CloudServer를 사용하면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것 같습니다.

 

설치를 위해 검색 사이트에서 winscp로 검색을 합니다.

 

 

링크를 타고 사이트로 이동합니다.

https://winscp.net/eng/index.php

 

 

 

특징이라면 여러 무료 application 사이트들에 비해 광고가 많이 붙어있습니다.

[DOWNLOAD NOW] 버튼을 클릭합니다.

 

https://winscp.net/eng/download.php

 

 

 

다운로드 페이지에 3개의 링크가 있습니다.

여기서는 [DOWNLOAD WINSCP] [OTHER DOWNLOADS] 두개의 버튼에 대해 설명합니다.  중간에있는 Microsoft 이미지는 마이크로소프트 스토어로 이동합니다.

 

 

1. WinSCP 설치버전

 

먼저 첫번재 [DOWNLOAD WINSCP] 다운로드 버튼부터 눌러 파일을 다운받습니다.

그리고 다운받은 파일을 실행 합니다.

 

 

[모든 사용자를 위한 설치] 를 클릭합니다.  개인 컴퓨터가 아닌 공용으로 사용하는 서버의 유저라면 [현재 사용자를 위한 설치]를 하셔야겠죠.

 

 

저작권에대해 [수락] 버튼을 클릭 해줍니다.

 

 

 

특별히 시스템에 영향을 주는 프로그램이 아니니 그냥 [일반 설치]를 선택하고 [다음] 버튼을 클릭해 줍니다.

 

 

 

개인 취향에 따라 화면 구성을 선택해도 되지만 통상적으로 커맨더 형태의 화면이 좋을것 같습니다.

[다음] 버튼을 클릭해 줍니다.

 

 

 

설정을 완료 하였다면 [설치] 버튼을 클릭하고 잘못 선택한 부분이 있으면 [뒤로] 버튼을 클릭해서 설정을 변경합니다.

 

 

 

설치버튼을 클릭하면 바로 설치가 진행 됩니다.

 

 

 

설치가 종료되었습니다. [완료]버튼을 클릭하여 WinSCP를 한번 실행해 봅니다.

 

 

 

처음 시작 화면부터 접속할 서버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팝업을 제공합니다.

 

 

파일 프로토콜에 파일서버용 Amazon S3도 기본으로 제공합니다.

 

 

여기서는 일반적인 SFTP 사용을 위해 접속용 세션 설정정보를 입력 하고 [로그인] 버튼을 클릭합니다.

 

 

 

2. WinSCP 무설치 버전

 

 

이제 처음 다운로드 페이지에서 마지막 Other 다운로드에 관한 설명입니다.

다시 다운로드 페이지로 이동하여

 

 

마지막 [OTHER DOWNLOADS] 버튼을 클릭하면 무설치(portable)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습니다.

 

 

3개의 다운로드가 있는데 첫번 째 Portable executables 에 있는 버튼을 클릭 하여 파일을 다운로드 받습니다.

 

WinSCP-5.21.8-Portable.zip

압축파일이 다운로드 되는데 적당한곳으로 옮기고 압축을 풀어줍니다.

 

 

폴더로 이동하여 여기에서 WinSCP.exe 파일을 실행합니다.

 

 

처음에 설치버전으로 작업한것과 동일한 사용 화면을 볼 수 있습니다.

접속 서버정보를 입력하여 사용하면 됩니다.

 

- copy coding -

 

모든 운영체제(windows, linux)를 설치하기는 귀찮고 잠시 테스트만 해보고 싶은 경우 온라인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곳이 있어서 소개를 할까 합니다.

회원가입 없이 사용가능한 사이트만 모아보았습니다.

물론 무료긴 하지만 광고가 덕지덕지 붙어 있는 사이트도 있고 안그런 곳도 있습니다.

 

제일 많은 운영체제를 사용해볼 수 있는 사이트는 아래 주소입니다.

https://www.onworks.net/os-distributions

 

상단 메뉴에는 리눅스 계열만 있는데 찾아보면 윈도우쪽도 있습니다.

 

사이트 하단에 보시면 페이징처리로 되어 있이니 찾아보면 됩니다.

일단 하나를 테스트 해보기로 하고 CentOS를 선택해 보았습니다.

 

https://www.onworks.net/os-distributions/rpm-based/free-centos-workstation-online

 

페이지가 바뀔때 마다 파란색 버튼을 클릭하면 됩니다.  그리고 페이지마다 광고가 있습니다.

 

한번에 시작을 하지 않고 페이지를 이동하며 광고를 보도록 해놓았네요.

 

한번더 광고를 시청하고

 

이제 시작 합니다.

 

! 이렇게 CentOS를 몇번의 클릭만으로 테스트가 가능합니다.

 

 

 

또다른 사이트로 광고없이 리눅스 테스트가 가능한 사이트 입니다.

 

https://bellard.org/jslinux/vm.html?cpu=riscv64&url=fedora33-riscv.cfg&mem=256

 

처음 로딩부분이 좀 시간이 걸리는 단점이 있습니다.

 

 

 

이번엔 UNIX 계열 사이트입니다.

 

https://www.masswerk.at/jsuix/index.html

 

 

화면에서 [open terminal]을 클릭해야 합니다.  이걸 찾느라 잠시 헤메고 다녔네요.

 

 

마지막으로 하나더 소개합니다.

 

https://linuxcontainers.org/lxd/try-it/

 

여기는 30분 시간제한이 있습니다.

 

 

 

저는 리눅스 콘솔 명령어들을 설명해야하는 상황이 있었는데 다행히 온라인으로 사용할 수 있는 사이트가 있어서 유용하게 사용했습니다.

 

- copy coding -


내가 직접 찍지 않은 이미지를 인터넷에서 사용하다가 무단 사용에 의해 문제가 되지 않으려면 조금 귀찮아도 검색 조건을 조금만 설정 하면 마음대로 사용이 가능 합니다.

 

크롬에서 키워드를 사용해서 검색을 합니다.


chrome free image search


검색 결과에서 이미지를 선택 해 줍니다.


chrome free image search


검색 후 입력 창 우측에 설정이 있는데 이걸 클릭 하고 고급검색을 선택 합니다하단 이미지는 도구를 선택한 것 같은데 설정을 선택한 것 입니다.


chrome free image search


고급 검색 페이지로 이동을 하면 하단에 사용 권한 항목이 있습니다여기서 선택 박스를 클릭 하면 조건들이 나오는데 자신이 사용하고자 하는 용도를 선택 하고


chrome free image search


chrome free image search


고급검색 버튼을 클릭 하면 원하는 이미지를 다운받아 사용 할 수 있습니다.


chrome free image search


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