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cv를 설치하고 테스트 하는 방법은 아주 다양 합니다저는 anaconda를 설치했기 때문에 그냥 숟가락 하나 더 놓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anaconda에서 테스트를 해보았습니다.


아나콘다 설치는 아래 링크를 참조 하세요.

아나콘다 설치 윈도우즈 7, 10 (Anaconda Version 5.2.0) - 201812



1. opencv 설치

 

Anaconda Prompt를 열고 명령어를 실행 합니다.  


anaconda_opencv_jupyter


 

설치는 명령어 하나면 완료 됩니다.

명령어도 다양한데 저는

 

conda install -c menpo opencv3

동일한데 설치 오류나면 이거

conda install --channel https://conda.anaconda.org/menpo opencv3

 

아니면

pip install opencv-python

또는 

pip install opencv-contrib-python

이것으로 설치를 진행 합니다.


anaconda_opencv_jupyter


중간에 진행 여부를 물어보면


anaconda_opencv_jupyter


y 하고 엔터


anaconda_opencv_jupyter


opencv가 설치 완료 되었습니다.

 

 

2. jupyter notebook 실행

 

시작 버튼에서 아나콘다 메뉴를 선택하고 jupyter notebook을 클릭 합니다.


anaconda_opencv_jupyter


주피터 노트북이 열리면 파일을 하나 새로 만들어 줍니다설치 버전에 따라 Python 3이 아니고 Python 2인 경우도 있을 텐데 관계 없습니다.


anaconda_opencv_jupyter


코딩을 하고 상단 Run을 클릭 합니다.


anaconda_opencv_jupyter


소스는 글씨가 너무 작나요? 인터넷에 바글바글하게 있긴 한데 아래와 같습니다.


import cv2

 

img = cv2.imread('F:/tensordata/number/num3.png')

cv2.imshow('image',img)

cv2.waitKey(0) 

cv2.destroyAllWindows() 


실행을 하면 새 창이 뜨면서 이미지를 볼 수 있습니다.


anaconda_opencv_jupyter


아래 내용은 이전에 설명한 Tensorflow 개발환경 구성과 연결된 내용입니다. 혼란을 주고 있어 안내드립니다.

[텐서플로우] Windows 용 Tensorflow 개발환경 구성 (Version 1.12.0)

 

그리고 최신 Tensorflow2 관련 해서는 다음 링크를 참고 하세요.

[텐서플로우] 아나콘다(Anaconda)에 TensorFlow2 설치

 

아나콘다를 설치 하면 주피터 노트북(Jupyter Notebook)도 같이 설치가 됩니다.

 

주피터 노트북은 프로그램을 작성하면서 주석도 기입하고 codeline 별로 실행도 할 수 있는

유용한 툴이라고 하는데 기본적인 파일 생성, 실행, 편집, 삭제 기능을 알아 보겠습니다.

 

 

 

 

1. Jupyter Notebook 실행

 

 

 

 

시작버튼에서 주피터 노트북을 찾아 선택합니다.

 

 

 

 

검은색 콘솔 창이 나타나고 잠시 후 웹 브라우저에 주피터 노트북이 나옵니다.

 

 

 

 

자세히 보면 하단에 리스트된 내용이 [내 컴퓨터(PC)]의 디렉토리 정보가 나타나는걸 알 수 있습니다.

 

 

2. 파일 생성

 

주피터 노트북 화면의 우측 상단에 있는 [New] 버튼을 선택하면 메뉴 창이 열립니다.

 

 

 

 

실제 프로젝트라면 폴더를 만들고 그 안에 파일을 만들어야 겠지만

여기서는 간단히 설명만 하기 때문에 그냥 [Python 3]을 선택 합니다.

 

 

 

 

현재는 파일명이 Untitled1으로 되어있는데 [Untitled1]라고 쓰인 이름 선택하면 파일명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그냥 Test라고 적고 [Rename] 버튼을 선택 했습니다.

 

 

 

 

파일명이 Test로 변경 되어 있습니다.

 

 

3. 코딩

 

코딩을 시작 하는데 라인이 하나밖에 없습니다.

 

 

 

 

[+] 표시를 클릭해서 라인을 하나씩 추가해주며 코딩을 진행 합니다.

 

 

 

 

라인 하나에 한문장만 기입 하는게 아니라 부분별 테스트를 진행할 블록 단위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4. 실행

 

첫번째 블록을 선택하고 [Run]을 클릭하면서 실행 테스트를 진행 합니다.

 

 

 

 

 

[Run]을 클릭 할때 마다 한 블럭씩 실행을 진행 됩니다.

 

 

 

마지막 라인을 넘어가면 결과 확인이 가능 합니다.

 

 

5. 기타

 

5.1 이동

 

이동할 라인을 선택하고 화살표를 이용해서 코드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다른 기능들은 아이콘을 보면 아시겠지만

저장, 삭제, 복사, 붙여넣기 등등의 기능들 입니다.

 

5.2 편집

 

저장 후 다음에 다시 편집을 하려면 주피터 노트북 메인 화면에서 파일을 찾습니다.

 

 

 

 

 

찾았으면 선택을 해야겠죠?

그럼 상단에 안보이던 버튼들이 나타납니다.

상단으로 가볼까요?

 

 

jupyter notebook

 

 

여기서 [View]를 선택해야 편집화면으로 이동이 됩니다.

삭제는 당연히 쓰레기통을 누르면 파일이 삭제 됩니다.

 

지금까지 기본적인 사용법이었습니다.

 

좀더 많은 기능은 사용하시면서 익히시기 바랍니다.

 

 

- copy coding -


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