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전에는 UNIX, Linux Server에 접속하려면 텔넷을 사용하였으나 보안이 강화되면서 대부분 SSH 접속으로 변경이 되어 자주 사용하는 putty와 멀티 탭 기능이 있는 mtputty에 대해 알아 봅니다. 

 

 

1. PuTTY 사용 방법

 

개발자라면 하나씩은 있거나 파일서버에 다운로드 해놓은게 있겠지만 버전이 변경되었을 수 있으니 사이트에 들어가 봅니다.

 

 

https://www.putty.org/

 

putty 사이트에 접속하면 open source라는 것과 source code도 제공한다는 간단한 소개글이 있습니다.

 

 

하단에 있는 [Download PuTTY]를 클릭하여 다운로드 페이지에 가면 처음에 Package files 라는 항목에 확장자가 msi 파일들이 있습니다.  이건 Windows 설치용 파일이고 설치하지 않고 바로 사용하기 위해 바로 아래로 스크롤하면 binary files 항목이 나옵니다.

 

 

이곳에서 필요한 파일을 받으면 됩니다.

putty telnet뿐 아니고 scp, sftp등의 제품군도 있습니다.  여기서는 64-bit x86: putty.exe를 다운받아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설치버전이 아니기 때문에 다운받은 putty.exe를 그냥 실행하기만 하면 됩니다.

  

처음에는 설청 창이 나타나는데 입력해야 항목은 몇개 없습니다.

 

 

접속하려는 Host 정보와 다음에 다시 접속하기 위해 설정정보를 저장하려는 Sessions 명칭(여기서는 test로 입력)을 입력하고 [Save] 버튼으로 저장을 합니다.

그리고 하단에 있는 [Open] 버튼을 클릭하면

 

 

서버에 로그인할 수 있는 창이 나타납니다.

IDPassword를 이용하여 로그인하고 작업을 하면 됩니다.

 

 

다음에 test로 저장한 서버에 접속하여 사용하려면 Saved Sessions에서 test를 클릭하고 우측의 [Load] 버튼을 클릭한 후 아래에 있는 [Open] 버튼을 클릭하면 됩니다.

 

 

2. Multi Putty 사용 방법

 

일반 putty는 창을 하나만 지원하기 때문에 여러 서버에 작업이 필요하면 계속 마우스를 이용해서 창을 옮겨다니거나 뒤에 숨어버린 창을 불러내야 하는 불편함이 있습니다.

 

하나의 창에 탭으로 구분해서 여러 서버를 접속하려면 다른 프로그램을 사용해야 하는데 개인적으로는 사용하기에는 Xshell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Xshell은 개인적인 용도로만 사용 가능하고 기업용은 구매를 해야 합니다.

1년에 2번 이상 회사를 옮겨다니는 개인적인 생각은 집에서도 회사에서 사용하게될 제품에 익숙해지는게 업무 효울이 증대되는것 같습니다.

MTPutty를 사용하기위해 multi putty 등으로 검색 합니다.

 

 

https://ttyplus.com/multi-tabbed-putty/

 

 

사이트에 들어가면 우측에 보이는것 처럼 라이센스가 freeware로 되어 있습니다.

아래에 있는 [Download] 버튼을 클릭 합니다.

 

 

이 제품도 putty 처럼 설치 버전과 무설치(Portable) 버전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대부분 무설치를 선택 하겠죠?

둘 중 어느것을 사용하든 설치 또는 압축을 풀어준 폴더에 들어가서 mtputty.exe 파일을 실행 합니다.

 

 

프로그램이 실행되고 간단한 프로그램에 대한 설명들이 나와 있습니다.

좌측에 트리모양의 Server쪽에 서버들을 등록해서 리스트로 볼 수도 있고 폴더를 만들어 서버들을 종류별로 묶어서 관리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폴더를 만들어서 서버를 추가하는 방법을 사용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메뉴에서 Server > Create Folder 를 선택 합니다.

Create Folder 창이나오면

 

 

서버들에 공통되는 특징을 골라 폴더명을 적당하게 입력해 줍니다.

 

 

팝업 창에 입력한 Cloud 라는 이름의 폴더가 생성 되었습니다.

 

이제 생성한 폴더에 서버를 하나 등록해 봅니다.

 

 

생성된 Cloud 폴더를 선택 하고 메뉴에서 Server > Add Server 를 선택 합니다.

이번에도 접속하려는 Server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는 창이 하나 나타납니다.

 

 

팝업 창에 접속하려는 Server 정보를 입력합니다.

Server name : 접속하려는 서버 주소

Protocol : 접속 프로토콜로  SSH

Port : 22 (SSH port)

Display name : Cloud 폴더 하단에 생성되는 이름

 

입력이 완료되면 [OK] 버튼을 클릭해주면 정보가 추가 됩니다.

 

 

처음에 기본적으로 보이는 PuTTY sessions 폴더는 putty 사용자라면 기존에 putty에 입력해놓은 Server 리스트가 나오는것 입니다.  , 기존에 putty를 사용하고 접속 서버들을 등록 했다면 그정보를 mtputty가 불러와서 트리 구조에 추가를 해주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합니다.

MTPuTTY는 기존 PuTTY를 예쁘게 포장한 툴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 copy coding -

 

 

Linux에서 사용하는 원격지 파일전송 명령어인 SCP 기능을 기반으로 Windows에서도 사용할 수있도록 만든 프로그램으로 FileZilla와 같이 무료로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FTP를 사용하기위한 정보 제공용 화면 구성으로는 FileZilla보다 못한것 같은데 요즘에는 CloudServer를 사용하면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것 같습니다.

 

설치를 위해 검색 사이트에서 winscp로 검색을 합니다.

 

 

링크를 타고 사이트로 이동합니다.

https://winscp.net/eng/index.php

 

 

 

특징이라면 여러 무료 application 사이트들에 비해 광고가 많이 붙어있습니다.

[DOWNLOAD NOW] 버튼을 클릭합니다.

 

https://winscp.net/eng/download.php

 

 

 

다운로드 페이지에 3개의 링크가 있습니다.

여기서는 [DOWNLOAD WINSCP] [OTHER DOWNLOADS] 두개의 버튼에 대해 설명합니다.  중간에있는 Microsoft 이미지는 마이크로소프트 스토어로 이동합니다.

 

 

1. WinSCP 설치버전

 

먼저 첫번재 [DOWNLOAD WINSCP] 다운로드 버튼부터 눌러 파일을 다운받습니다.

그리고 다운받은 파일을 실행 합니다.

 

 

[모든 사용자를 위한 설치] 를 클릭합니다.  개인 컴퓨터가 아닌 공용으로 사용하는 서버의 유저라면 [현재 사용자를 위한 설치]를 하셔야겠죠.

 

 

저작권에대해 [수락] 버튼을 클릭 해줍니다.

 

 

 

특별히 시스템에 영향을 주는 프로그램이 아니니 그냥 [일반 설치]를 선택하고 [다음] 버튼을 클릭해 줍니다.

 

 

 

개인 취향에 따라 화면 구성을 선택해도 되지만 통상적으로 커맨더 형태의 화면이 좋을것 같습니다.

[다음] 버튼을 클릭해 줍니다.

 

 

 

설정을 완료 하였다면 [설치] 버튼을 클릭하고 잘못 선택한 부분이 있으면 [뒤로] 버튼을 클릭해서 설정을 변경합니다.

 

 

 

설치버튼을 클릭하면 바로 설치가 진행 됩니다.

 

 

 

설치가 종료되었습니다. [완료]버튼을 클릭하여 WinSCP를 한번 실행해 봅니다.

 

 

 

처음 시작 화면부터 접속할 서버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팝업을 제공합니다.

 

 

파일 프로토콜에 파일서버용 Amazon S3도 기본으로 제공합니다.

 

 

여기서는 일반적인 SFTP 사용을 위해 접속용 세션 설정정보를 입력 하고 [로그인] 버튼을 클릭합니다.

 

 

 

2. WinSCP 무설치 버전

 

 

이제 처음 다운로드 페이지에서 마지막 Other 다운로드에 관한 설명입니다.

다시 다운로드 페이지로 이동하여

 

 

마지막 [OTHER DOWNLOADS] 버튼을 클릭하면 무설치(portable)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습니다.

 

 

3개의 다운로드가 있는데 첫번 째 Portable executables 에 있는 버튼을 클릭 하여 파일을 다운로드 받습니다.

 

WinSCP-5.21.8-Portable.zip

압축파일이 다운로드 되는데 적당한곳으로 옮기고 압축을 풀어줍니다.

 

 

폴더로 이동하여 여기에서 WinSCP.exe 파일을 실행합니다.

 

 

처음에 설치버전으로 작업한것과 동일한 사용 화면을 볼 수 있습니다.

접속 서버정보를 입력하여 사용하면 됩니다.

 

- copy coding -

 

USB에 윈도우 10을 설치하고 아무 컴퓨터에나 꽂으면 자신만의 작업 환경으로 작업이 가능하며 이동하며 작업을 해야 하는 경우에는 컴퓨터를 가지고 다니지 않아도 개인 컴퓨터 처럼 사용이 가능 합니다

 

Windows 10은 마이크로소프트에서 무료로 다운받아 설치가 가능 합니다, 시리얼 번호는 구매를 하던가 개인적으로 해결을 해야 합니다.

 

 

1. Windows 10 다운로드

 

 

Windows 10을 다운 받으려면 마이크로소프트 사이트에 접속 합니다.

 

 

https://www.microsoft.com/ko-kr/software-download/windows10

 

USB Windows 10 설치

 

지금 도구 다운로드를 클릭 하면 작은 용량의 파일을 하나 다운로드 합니다.

 

USB Windows 10 설치

 

windows 10을 바로 다운로드 하는 것이 아니라 조건에 맞게 제공 하기 위한 설치 안내 파일이라고 이해 하시면 됩니다다운로드 받은 MediaCreationTool1809.exe 파일을 실행 합니다.

 

 

잠시 서버와 연결을 준비 하고 사용권 동의 화면이 나옵니다.

 

USB Windows 10 설치

 

동의 버튼을 클릭 하면 다음으로 넘어 갑니다.

 

USB Windows 10 설치

 

원하는 작업은 다른 PC용 설치 미디어 만들기를 선택 하고 다음을 클릭 합니다.

 

USB Windows 10 설치

 

처음 화면에서는 각 선택 값을 변경할 수 없도록 되어 있습니다.  아래 이 PC에 권장 옵션 사용 체크를 해제 하면 위에 있는 조건들을 수정할 수 있습니다.  선택이 완료 되면 다음 버튼을 클릭 합니다.  저는 그냥 다음 버튼.

 

USB Windows 10 설치

 

temp 파일용 C: 폴더에 용량이 부족하면 진행 하다가 중단이 됩니다.  C: 용량을 체크 하고 진행하세요용량이 충분하면 아래 화면이 나옵니다.

 

USB Windows 10 설치

 

ISO 파일을 선택 하고 다음 버튼을 클릭 합니다.

 

USB Windows 10 설치

 

다운받을 폴더를 선택 하고 저장 버튼을 클릭 합니다.

 

USB Windows 10 설치

 

드디어 다운로드가 진행 됩니다.

 

 

몇 분 후

 

USB Windows 10 설치

 

다운로드가 완료 되었습니다.

 

 

2. WinToUSB 설치

 

2021년 12월 05일 수정

작동이 안된다고 하시는 분들을 위하여 최신(6.5) free 버전을 사용하에 테스트를 진행 하였고 잘 작동됨을 확인 하였습니다.  
한가지 기록이 안된 부분은 메인 보드 부팅시 BIOS가 예전 컴퓨터는 MBR(Legacy)을 지원하였는데 최근에는 UEFI를 지원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두가지 모드를 BIOS에서 선택이 가능한 메인보드도 있으니 UEFI이외의 모드로 선택이 되었는지 확인 후 사용 하세요.
WinToUSB는 MBR은 무료이고 UEFI는 유료 입니다.

 

이제 Windows 10USB에 설치 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다운받습니다여기서는 WinToUSB를 이용 합니다.   

 

https://www.easyuefi.com/wintousb/index.html

 

 

https://wintousb.kr.uptodown.com/windows/download

 

 

다운로드한 wintousb-3-9.exe 파일을 실행 하여 설치 합니다설치 방법은 다음 버튼만 클릭하는 간단한 수준 입니다그냥 이미지만 보시면 알 수 있습니다.

 

USB Windows 10 설치

 

. 여긴 확인 버튼을 선택 합니다.

 

USB Windows 10 설치

 

사용권 계약에 동의하고 다음을 선택 합니다.

 

USB Windows 10 설치

 

다음을 선택 합니다.

 

USB Windows 10 설치

 

또 다음을 선택 합니다.

 

USB Windows 10 설치

 

한번 더 다음을 선택 합니다.

 

USB Windows 10 설치

 

이젠 설치를 선택 합니다.

 

USB Windows 10 설치

 

그냥 구경만 합니다.

 

USB Windows 10 설치

 

설치가 완료 되었습니다이제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USBWindows 10을 설치하도록 하겠습니다설치도 클릭 몇 번만 해주면 완료 됩니다.

 

 

3. Windows 10 설치

 

설치한 wintousb 파일을 실행 합니다.

 

USB Windows 10 설치

 

프로그램을 시작 하면 업데이트 확인 창이 나오는데 확인 버튼을 클릭 합니다.

 

USB Windows 10 설치

 

다운받은 Windows 10.iso 파일 위치를 설정 하고 설치할 운영체제를 선택 합니다.  windows.iso의 출처에 따라 운영체제의 종류가 다르게 보일 텐데 그 중에 하나를 선택 하면 됩니다. 그리고 다음을 선택 합니다.

 

USB Windows 10 설치

 

팝업 창에서 파티션 포맷은 MBR을 선택 하고 예를 누르고 메인 창에서 다음 버튼을 클릭 합니다.

 

USB Windows 10 설치

 

USB를 포맷합니다.

 

USB Windows 10 설치

 

레거시를 선택 하고 다음 버튼을 클릭하여 설치를 진행 합니다.

 

USB Windows 10 설치

 

설치가 진행 됩니다.

 

USB Windows 10 설치

 

설치가 완료 되었습니다이제 BIOS에서 USB 부팅을 선택 하고 사용하면 됩니다.


git 무설치 버전을 사용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설치를 하지 않기 때문에 압축을 푸는 수준입니다.


git install portable windows

git 사이트에 접속합니다.

https://git-scm.com/


다운로드 경로는 2개가 있는데 우측 모니터 모양을 클릭하면 바로 갑니다.



좌측 [Downloads]를 클릭하면 운영체제 별 다운로드 창이 나오는데 Windows를 선택 합니다.



두개 중 어떤걸 선택 해도 아래와 같은 페이지에 도달 합니다


아니면 처음부터 바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주로로 접속 합니다.


https://git-scm.com/download/win



여기에서 하단 Portable에 있는 링크를 자신의 운영체제 bit에 맞게 다운로드 받습니다.

설치를 위해 다운로드 받은 파일을 실행합니다.

PortableGit-2.19.1-64-bit.7z.exe



압축을 풀어줄 위치를 선택 합니다.

각자 자신의 컴퓨터에 Path를 잡아주고 [OK] 버튼을 클릭 합니다.



압축이 풀립니다.



MinTTY(git-bash.exe)를 실행해 봅니다.



Windows command(git-cmd.exe) 용을 실행해 봅니다.



무설치 버전 설치가 완료 되었습니다.


- copy coding -


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