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드로이드 어플을 테스트 하다 보면 Virtual Device로 테스트 하기 어려운 부분들이 있습니다.

지금 사용하는 핸드폰으로 테스트 하긴 아깝고 이럴 때는 집에 사용하지 않는 핸드폰을 연결을 해서 테스트 해야 겠지요.

그런데 탐색기로 핸드폰 폴더는 보이는데 안드로이드 스튜디오에서는 안잡히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런 경우 해결 방법을 알아 봅니다.



Virtual Device는 보이는데 위쪽에 핸드폰은 보이지 않는 상태 입니다.

Troubleshoot를 클릭해 봅니다.



G2가 목록에 보이지만 인식을 못하고 있네요.

하단에 있는 online documentation 을 클릭 합니다.

그럼 안드로이드 개발자 사이트에 접속이 됩니다.


https://developer.android.com/studio/run/oem-usb



LGE 라고 엘지 드라이버 사이트가 링크 되어 있네요.

그냥 제조사 홈페이지에 들어가서 검색해서 찾은 드라이버와 조금 다른 경우도 있습니다.

클릭을 합니다.



검색 창에 키워드를 입력하면 관련 기종이 검색 됩니다.



정확한 기종을 찾아 선택합니다.



Windows 용과 Mac 용이 있는데 해당 되는 운영체제용 USB Driver를 선택해 설치 진행 합니다.





드라이버 설치가 완료 되었습니다.


이제 다시 안드로이드 스튜디오로 돌아가 테스트를 진행해 봅니다.



OFFLINE 이라고 하네요.

디버깅을 허용하지 않은 것 같습니다.



이 컴퓨터에서 항상 허용을 체크 하고 확인을 선택 합니다.



이제 OFFLINE이 사라졌습니다.

 

지금부터 핸드폰을 이용해 좋은 앱을 만들어 봅니다.



Python 코딩을 하려면 일반 텍스트 에디터도 가능 하지만 통합 개발환경에서 하는게 좀더 편합니다.

PyCharm은 기능이 다양하고 유료, 무료 버전이 있어 선택을 해서 사용하면 됩니다.

무료 버전도 학습용으로는 충분합니다.


설치는 매우 간단 합니다. 기본설정에 버튼만 클릭 하면 됩니다.


다운로드 페이지에 접속 합니다.


https://www.jetbrains.com/pycharm/download/#section=windows


사이트 중간에 운영체제 별로 선택 할 수 있는 타원형 버튼이 있습니다.

자신에 맞는 운영체제를 선택하고 무료버전인 Community를 다운로드 받습니다.


pycharm install


화면이 바뀌면서 자동으로 다운로드가 진행 됩니다.

학습 정보 제공을 위한 email을 입력하라고 나오는데 그냥 무시하시고 다운받은 파일을 이용해 설치를 진행 합니다.

 

pycharm-community-2018.3.1.exe


현재 버전은 2018.3.1 입니다.



[Next]를 클릭 합니다.


 

설치 위치를 결정 합니다. 그냥 설치를 하려면 [Next]를 선택 합니다.



위치를 변경 하려면 [Browse…] 버튼을 클릭 해서 설치 위치를 변경 합니다.



운영체제가 64 이므로 66-bit launcher 를 클릭 하고 [Next] 버튼을 클릭 합니다.



설치를 위한 설정이 완료 되었습니다.

[Install] 버튼을 선택 하여 설치를 진행 합니다.



선택한 디렉토리 위치에 설치가 진행 됩니다.



설치가 완료 되었습니다.

PyCharm 화면을 띄워봅니다.

 


- copy coding -


예전에 python이 나왔을 때 php를 한참 하고 있을 때라 잠시 보니 별거 아닌 것 같아 신경도 안썼는데 이제는 php보다 많이 사용하는 언어가 되었네요.

Python을 사용할 일이 발생하여 설치를 하면서 매뉴얼을 만들어 봅니다.



1. 다운로드


다운 받기 위해 사이트에 접속을 합니다.


https://www.python.org/


색상이 예전 php학교 사이트하고 비슷해서 이질감은 없어 보이니 잘될 것 같은 느낌.



상단 메뉴 중 Downloads에 마우스를 가져가면 layer가 하나 나타납니다.

거기서 바로 다운로드를 하시면 됩니다. 잠깐. 여기서 받으면 32-bit 설치 파일입니다.

현재 버전은 3.7.1이네요.



bit와 버전이 맘에 안들거나 사용하려는 라이브러리가 2.x 이면 좌측 메뉴에 [All releases]가 있습니다.

클릭하면 리스트가 나오는데 순서가 버전이 아니라 날짜 순으로 정리가 되어 있으니 잘 찾아서 다운 받습니다.


 

저는 python 3.6 버전을 선택 했습니다.



 

그리고 중간쯤에 있는 64-bit를 선택해서 다운 받았습니다.



2. 설치

 

python-3.6.7-amd64.exe

 

3.6.7 버전이고 파일을 실행 합니다.

 

팝업 창에 버전이 나타납니다. 32-bit는 상단에 (32-bit)라고 써있습니다.


python install


64-bit는 당연히 64-bit라고 써있고요.


 

설치는 중앙에 있는 Install Now를 클릭 합니다.


하단 [Add Python 3.6 to PATH]를 클릭하면 자동 Path가 잡힙니다.



저는 설치되는 디렉토리가 너무 길어서 다른 곳에 설치 하기 위해 [Customize installation]을 선택 했습니다.



[Next]를 선택 합니다.



[Browse] 버튼을 눌러 F:\Python을 선택 했습니다.


설치 위치 이외에는 수정을 하지 않았습니다.


[Install] 버튼을 눌러 설치를 진행 합니다.



설치가 진행 되고 잠시 후 완료가 되었습니다.



[Close]를 눌러 설치를 완료 합니다.

설치가 잘 되었는지 확인 들어 갑니다.

console창을 하나 열고 실행해 봅니다.



C:\>python  하면 뭔말인지 모르겠다는 군요.


설치 할 때 설정해준 Python 디렉토리로 이동해서 다시 해보면 잘 됩니다.

F:\Python>python

 

설치는 잘 되었고 Path만 잡으면 됩니다.

설치 전에 Path에 체크할걸 하는 후회가 밀려오는 군요.

좀 귀찮을 뿐 어려운게 아니니 조금 움직여 봅니다.


환경변수 수정 방법은 기존 글을 찾아 보시면 자세히 나와 있습니다.


환경변수 수정하는 방법



여기서는 path 만 잡아주면 되기 때문에

환경변수에서 Path를 선택 하고 [편집] 버튼을 누릅니다.


 

빈칸에 F:\Python 를 입력하고 [확인]을 선택 합니다.

열린 창들을 모두 [확인]을 눌러줍니다.



? 안되네.

새로 console 창을 띄워야 환경설정 값을 읽어오죠.

기존 console 창을 닫고 새로 열어서 다시 확인 합니다.



. 잘 되는 군요.

이제 설치가 완료 되었습니다.


- copy coding -


새로운 언어나 새로운 tool들을 설치할 때마다 환경변수에 등록을 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 합니다.

운영체제 별, 버전 별로 조금씩 화면은 다르겠지만 비슷한 방법으로 진행이 되기 때문에 한번 몰아서 정리 합니다.

여기서는 Windows 7, 10만 설명 합니다.

 

Windows 10

 

1. 탐색기에서 시작

 

이 방법이 제일 간단 합니다.

내 컴퓨터에 마우스를 놓고 우측 버튼을 클릭합니다.

그럼 회색 빛 메뉴 팝업이 나오는데 메뉴에서 [속성(R)]을 선택 합니다.



 

시스템 팝업 창이 열리면 좌측 [고급시스템 설정]을 선택 합니다.



 

다음에 진행되는 내용은 동일 하기 때문에 하단 4번에서 설명 합니다.

 

2. Window + x 버튼으로 시작


키보드에서 윈도우 버튼과 x 버튼을 같이 누르면 메뉴 창이 나타납니다.

 


 

여기서 시스템을 선택 합니다.

 

모양은 다를 수 있지만 정보 팝업 창이 나타납니다.

 


여기서 좌측에 있는 [시스템 정보]를 찾아 선택 합니다.


그러면 시스템 정보 팝업 창이 나옵니다.



 

여기서 [고급시스템 설정]을 선택 합니다.


다음에 진행되는 내용은 동일 하기 때문에 하단 4번에서 설명 합니다.

 

 

3. 설정에서 시작

 

윈도우 좌측 하단 시작 버튼누르거나 키보드에서 윈도우 키를 선택 합니다.



톱니같이 생긴 [설정]을 클릭 합니다.




설정 창이 나타나고 [시스템]을 선택 합니다.



시스템 창이 나오면 좌측 하단으로 내려가서 [정보]를 선택 합니다.



우측에서 정보 관련 메뉴가 나오는데 [시스템 정보]를 선택 합니다.

 

시스템 팝업 창이 나왔습니다.


 

여기서 [고급시스템 설정]을 선택 합니다.


다음 내용은 하단 4에 있습니다.

 

 

4. 환경 변수를 설정

 

4.1 변수 생성

 

[고급 시스템 설정]을 누러면 나오는 창입니다.


 

이곳에서 [환경 변수(N)]을 선택 합니다.


아주 많이 보아온 변수를 새로 만들거나 Path에 추가 할 때 사용하는 창 입니다.

 

 

신규 변수를 생성하려면 [새로 만들기]를 선택 합니다.


JAVA_HOME등을 설정 할 때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이런식으로 합니다.


 


 


Path에 추가를 하려면 Path를 선택 하고 [편집] 버튼을 클릭 합니다.




빈곳에 추가를 해주면 됩니다.


%JAVA_HOME%\bin 머 이런 식으로 추가 합니다.




 

windows 7

 

 

1. 탐색기에서 시작

 

windows 10과 동일한 방법입니다.



컴퓨터에서 마우스 우측 클릭 후 [속성]선택



[고급시스템 설정]을 선택합니다.


다음 내용은 하단에 있습니다.


2. 제어판에서 시작

 

시작버튼을 눌러 제어판을 선택 합니다.


 

여기도 화면 구성은 버전 별로 조름 다를 수 있습니다.



[시스템 및 보안]을 선택 합니다.



[시스템]을 선택 합니다.



[고급시스템 설정]을 선택 합니다.



환경 변수도 windows 10과 비슷한데 한가지만 다르죠.



Path는 한줄로 나오기 때문에 뒤에 추가를 해주는 방식입니다.

;%JAVA_HOME%\bin 이런 식으로 추가 합니다.

세미콜론을 붙여야 하지요.



각 프로그램, tool을 설치할 때 마지막 부분은 다시 설명 합니다.



1···103104105106107108109···118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