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매일 하루 종일 밤늦게까지 코딩을 하려면 자동완성처럼 고마운게 없습니다.

eclipse는 처음부터 자동 완성을 default로 해놓으면 좋을텐데

아쉬운 내가 직접 하는 수 밖에 없죠.


처음 eclipse를 설치하고 몇자 뚜둘겨 보면


eclipse auto activation


역시, 자동완성이 안되는 군요.

설정을 하겠습니다. 작업 내용은 JavaJavaScript나 동일하게 설정하면 됩니다.


상단메뉴에서


Window > Preferences를 선택하면 팝업이 나옵니다.



팝업에서


JavaScript > Content Assist를 확장하고


Enale auto activation 을 체크 해줍니다.



어떤 항목이 설정 되었는지 확인해 봅니다.


JavaScript > Content Assist > Advanced 를 확장하고 클릭 합니다.


 


nodeclipse Proposals가 선택이 되어있네요

[Apply] 버튼을 누르고 나옵니다.

 

Java 라면 아래처럼 합니다.




. 자동완성이 되는지 확인해 볼까요?




잘 되는 군요.

 

이게 끝일까요?

 

다시 설정에 가보겠습니다.(다시한번 JavaJavaScript나 동일 하다는거)

 


이게 뭐조?


점하나 있는.


. 점 찍으면 자동완성이 나오라는겁니다.


그럼 a도 치면 나오게 해볼까요?



이케 하고



되는 군요.


b를 처볼까요?

 


b 는 안되는 군요.

 

그럼 모든 알파벳과 점(.) 밑줄(_)이 다 되도록 해볼까요?


Auto Activation trigegrs for JavaScript


abcdefghijklmnopqrstuvwxyzABCDEFGHIJKLMNOPQRSTUVWXYZ._

 

를 입력합니다.





이제 b 가 됩니다.



글자 중간도 되고.


밑줄도 잘 되는군요.



코딩 하는데 자꾸 떠서 귀찮을 수도 있지만


초보자들 에게는 좀 도움이 되지 않을까 해서


- copy coding -


eclipsejava를 처음 설치하고 실행 하거나


개발 중에 여러가지 이유로 Java 또는 eclipse를 재 설치하고 실행할 때


Java was started but returned exit code=13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eclipsejava를 처음 설치하고 실행 하거나

개발 중에 여러가지 이유로 Java 또는 eclipse를 재 설치하고 실행할 때

Java was started but returned exit code=13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 재설치 후 오류

 

재설치 후 오류가 발생한다면 path를 잘못 잡아서 입니다.

 

우선 Windows 변수 설정을 확인 해보시고



 변수 설정에 이상이 없다면



eclipse에서 java 설정을 확인 합니다.




이게 아닌가요?



- Java version 이 다름


그러면 eclipsejavabyte가 맞지 않아서 발생합니다.

 

새로 설치한 버전이 32bit인지 64bit인지 확인해서 하나로 통일 합니다.

 

java 버전은 console에서 확인 하고




eclipse.ini 파일을 열어 eclipse 버전을 확인 합니다.



이건 32bit 이고요




이건 64 bit인 경우 입니다.



java eclipse나 개발하고 있는 프로그램 소스에는 영향이 없으니

편하게 둘다 새로 다운받아서 사용 하시면 됩니다.


물론 java 버전을 변경하려면 개발 소스가 너무 옛날거면 버전에 따라 다를 수 있으니

테스트를 한번 해봐야 겠지요.







 

eclipse를 다운받아 압축을 풀어주고 java도 다운받아 설치를 하였는데


eclipse를 실행하면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Failed to load the JNI shared library


java shared lib error


이 오류는 java patheclipse.ini 파일에 설정한 경우에 발생합니다.



발생 원인은 javaeclipse 설치 버전의 bit가 서로 달라서 입니다.

 

버전들을 확인해 볼까요?

 

java 버전 확인은 콘솔 창을 하나 열고


java –version


명령을 실행하면 확인이 가능 합니다.



실행이 안되는 eclipse는 어떻게 버전을 확인할까요?


eclipse.ini 파일을 열어보면 몇 bit인지 알 수 있습니다.



x86만 있다면 32bit 버전 입니다.



 x86_64가 있군요. 64bit 버전 입니다.

 

이렇게 java eclipse를 설치한 버전이 32bit인지 64bit인지 확인해서 하나로 통일 합니다.


이제 eclipse를 실행하면 됩니다.


- copy coding -


java를 오라클 사이트에 가서 다운로드 받아 설치합니다.

예전엔 java.oracle.com 이었는데 지금은 오라클 메인으로 가서 분기를 타게 해놓았네요.

귀찮게 쿠키 허용을 하라고 하는군요.

공짜는 없으니 agree 해줍니다.




 

벌써 버전이 11까지 나왔네요.


oracle java install




자신의 컴퓨터가 32bit 인지 64bit 인지 잘 확인하고 다운로드 합니다.

물론 64bit32를 사용해도 됩니다.

그보다는 eclipse를 사용하려면 eclipse와 버전을 동일하게 맞추는게 더 중요합니다.




다운로드한 파일을 설치 합니다. 그냥 계속 [Next]

 

설치가 완료되면 환경설정을 해야 합니다.

 

환경설정에 JAVA_HOME을 등록합니다.

저는 탐색기에서 > 컴퓨터를 선택하고 > 마우스 우클릭 > 속성 선택합니다.



그럼 제어판 창이 오픈 됩니다.



이번에는 [고급시스템설정] 을 선택하면 [시스템 속성] 창이 나옵니다.




[환경변수] 버튼을 눌러주면  [환경변수] 창이 나오고, 아! 창이 끊임없니 나오는군요.



이제 [새로만들기] 버튼을 눌러 [시스템 변수 편집] 창을 띄웁니다.




JAVA_HOME

D:\Java\jdk1.8.0_131

이곳에서 자신이 설치한 내용을 설정 해줍니다.

 

 Path에도 추가를 해주면 아무 디렉토리 에서나 실행을 할 수 있겠죠.



Path를 선택 하고 [편집] 버튼을 누른 후 Path 값을 추가해 줍니다.


;%JAVA_HOME%\bin




 

Java 를 설치버전이 아닌 경우에 eclipse를 사용하여 개발을 한다면

위에서 열심히 한 작업은 필요가 없습니다.

단순히 eclipse.ini 에 설정만 하면 됩니다.


버전별 Java  파일을 한곳에 몰아 놓습니다.




그리고 eclipse.ini 파일에 설정을 합니다.



-vm

C:\jdk1.7.0_21\bin\javaw.exe

 

프로젝트마다 java 버전이 달라서 개인적으로는 이런식으로 java path를 잡아주고 사용하는 것을 선호합니다.


- copy coding -


1···111112113114115116117118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