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elliJ에서 SVN을 연결하여 프로젝트 파일을 관리하고 공유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봅니다.

IntelliJ 설치와 프로젝트 생성 그리고 VisualSVN 설치와 관리 방법은 이전에 작성한 글을 참고하고

IntelliJ IDEA 2023.3
설치 프로젝트 생성


VisualSVN Server 5.3.1 Repository
생성 및 User Group 관리

 

여기서는 IntelliJ에서 SVN에 연결하여 프로젝트들을 Share하고 Commit 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합니다.

 

 

1. IntelliJ SVN 프로그램 연결

 

IntelliJ에서 svn 프로그램을 사용할 수 있도록 연결해 주어야 별도의 SVN 프로그램을 사용하지 않고 바로 CommitUpdate를 할 수 있습니다.

먼저 IntelliJ를 실행합니다.

 

 

IntelliJ 설치를 설명할 때 생성해 놓은 Sample 프로젝트가 보이는군요.

 

SVN 프로그램을 연결하려면 먼저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어야겠죠.

VisualSVN에는 Apache Subversion이 포함되어 있다고 VisualSVN 설치할 때 설명 드렸는데 진짜인지 확인을 해볼까요?

 

 

 

VisualSVN이 설치된 폴더(C:\Program Files\VisualSVN Server\bin)에 가보면 svn.exe 파일이 있는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IntelliJsvn.exe 파일을 등록해주면 이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파일을 관리하게 됩니다.

svn 파일은 기존에 Tortoise SVN등 다른 프로그램을 설치하였으면 그것을 이용해도 됩니다.

 

등록을 진행해봅니다.

 

 

 

상위 메뉴에서 File > Settings... 메뉴를 선택하여 Settings 팝업을 오픈합니다.

 

 

 

Settings 팝업 좌측에서 Version Control > Subversion 메뉴를 선택 하면 우측에 Path to Subversion executable 항목이 보입니다.

입력란 끝에 있는 폴더 모양 아이콘을 클릭하여 Subversion 팝업을 오픈합니다.

 

 

 

Subversion 팝업 창 화면이 나타나면 여기서 svn.exe 파일을 선택하고 [OK] 버튼을 클릭해 줍니다.

 

 

 

하단에 있는 [Apply] 버튼과 [OK] 버튼을 클릭하여 설정을 반영하면 등록이 완료됩니다.

 

 

2. SVN Repository 연결

 

이제 프로젝트를 저장할 SVN Repository를 연결합니다.

VisualSVN에서 Repository를 생성할 때 위치 접속 정보를 알려주는데 이 주소를 사용하면 됩니다.

저장소 생성시 나오는 화면을 잠시 보면

 

 

 

Repository URL 항목에 주소와 Repository 명칭의 조합으로 되어있습니다.

URL을 등록하면 연결이 됩니다.

 

 

 

IntelliJ 상단 메뉴에서 VSC > Browse VCS Repository > Browse Subversion Repository... 를 선택하면 IntelliJ 하단에 SVN Repositories 창이 나타납니다.

 

 

 

여기서 좌측에 있는 [+] 모양을 클릭하면 Repository 주소를 입력할 수 있는 창이 나타납니다.

 

 

 

팝업 창에 Repository 주소를 입력하고 [OK] 버튼을 클릭합니다.

 

 

 

주소가 하나 추가되었습니다.

 

 

3. Project Share

 

 

이제 연결된 Repository에 테스트로 생성한 Sample1 프로젝트를 처음으로 share 해보도록 합니다.

 

 

 

상단 메뉴에서 VCS > Share Project (Subversion)... 을 선택하면 창이 하나 나타납니다.

 

 

 

프로젝트를 Share할 레포지토리를 선택하고 하단 입력 창(commit comment)에 간단한 내용를 작성하고 [Share] 버튼을 클릭합니다.

 

 

 

Subversion 포맷은 가장 최신 것으로 선택 하는게 좋겠죠.  [OK] 버튼을 클릭합니다.

 

 

 

VisualSVN에서 User 생성시 사용한 ID와 비밀번호를 입력해 줍니다.

[Save credentials] 체크하고 [OK] 버튼을 클릭합니다.

 

 

 

Share Directory 작업이 진행됩니다.

 

 

 

Sample1 프로젝트 Share Directory 작업이 완료 되었습니다.

 

 

 

vcs.xml에 등록을 하라고 하는데 [Add] 버튼을 클릭합니다.

 

 

4. File Commit

 

이제 파일을 commit 합니다.

위에서 작업한건 Share Directory이지 file을 올린건 아닙니다.

 

 

Sample1 Project에 마우스를 대고 우클릭 해서 Subversion > Commit Directory... 를 클릭하면 Commit Changes 팝업 창이 나타납니다.

 

 

 

이 창에서 commit 하려는 파일을 선택 또는 취소하고 변경된 부분을 확인하는 등의 작업을 할 수 있습니다.  처음 commit 작업이므로 모든 파일을 선택 합니다.

간단하게 Commit Message를 입력하고 [Commit] 버튼을 클릭하면 commit이 진행됩니다.

 

 

 

commit 완료 후 하단 SVN Repositories를 보면 Project 파일이 올라가 있는걸 볼 수 있습니다.

 

 

여러 개의 Project를 올리면 어떤 모습인지 보기위해 프로젝트를 하나 더 생성해서 동일한 작업을 진행해봅니다.

 

Sample2 라는 프로젝트를 생성해서 동일한 작업을 반복하여 중간 과정은 생략하고 Share 하는 단계부터 설명 합니다.

 

 

 

Repository를 선택하고 간단한 Comment를 작성한 후 Sample2 프로젝트를 Share 합니다.

 

 

 

포맷을 정하고

 

 

 

Share Directory가 진행됩니다.

 

 

 

SVN Repositories 에서 Share Directory 후의 모습입니다.

commit을 하지 않아 trunk 폴더에 소스가 올라가있지 않습니다.

 

commit을 진행합니다.

 

 

 

Commit Message를 입력하고 Commit 버튼을 클릭합니다.

 

 

 

Commit이 완료되고 하단의 SVN Repositories 영역에서 마우스를 우클릭하여 리프레쉬 해보면

 

 

 

Sample2 프로젝트에도 파일이 올라간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VisualSVN 프로그램을 실행해서 지금까지 진행한 작업이 잘 되었는지 확인해봅니다.

모든 작업이 잘 완료되었습니다.

 

- copy coding -

 

 

오랬 동안 Eclipse를 사용하여 개발을 해왔는데 최근에 IntellJ를 사용할 기회가 되어 설치부터 차근차근 정리를 해보려고 합니다.

 

JetBrains 사이트에 접속하여 설치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합니다.

 

https://www.jetbrains.com/ko-kr/idea/download/?section=windows

 

 

다운로드 페이지에 접속해서 처음에 보이는 IntelliJ IDEA Ultimate는 유료 버전으로 30일 평가판이고 아래쪽으로 내려가면 IntelliJ IDEA Community Edition이 보입니다.

 

 

 

[다운로드]를 클릭하여 IntelliJ IDEA Community Edition 설치파일을 다운로드 받습니다.

 

다운받은 설치파일(ideaIC-2023.3.exe)을 실행하여 설치를 위한 설정 작업을 시작합니다.

설정 및 설치 작업은 간단 합니다.

 

 

[Next] 버튼을 클릭합니다.

 

 

설치 위치를 선택하거나 기본 값을 그대로 사용하여 [Next] 버튼을 클릭합니다.

 

 

 

설치 옵션 선택입니다.

 

Create Desktop Shortcut : 바탕화면에 바로가기 생성 여부입니다.

Update PATH variable(restart needed) : 윈도우 환경변수에 자동으로 추가해 줍니다.

Update Context menu : 프로젝트 폴더를 선택해서 바로 작업 가능하도록 설정합니다.

Create Association : 사용 언어와 환경을 선택하는 것으로 복수선택이 가능합니다.

 

필요한 항목을 체크하고 [Next] 버튼을 클릭합니다.

 

 

여기까지 환경 설정 작업이었습니다.

[Install] 버튼을 클릭하여 설치를 진행합니다.

 

 

 

설치가 진행되고 잠시 후 완료됩니다.

 

 

 

컴퓨터를 새로 시작해서 바로 환경설정을 적용하거나 나중에 재부팅을 선택합니다.

일단 나중에 재부팅 하기로 하고 [Finish] 버튼을 클릭하여 설치된 Intellij 프로그램을 실행해 봅니다.

 

 

 

사용전에 라이센스 동의를 해야 합니다.  체크박스에 체크하면 [Continue] 버튼이 활성화됩니다.

[Continue] 버튼을 클릭합니다.

 

 

 

인텔리제이를 사용하면서 사용환경 등 여러가지 정보를 보내달라고 하는데 [Don’t Send]를 클릭해서 거절합니다.

 

 

 

드디어 Intellij를 사용할 수 있는 화면에 도달했습니다.

 

좌측에 환경설정을 할 수 있는 메뉴들이 있는데 필요에 따라 하나씩 설정을 하면 됩니다.

간단하게 한번씩 클릭을 해봅니다.

 

 

 

[Customize]를 클릭하면 우측에서 테마는 검은색 그대로 놔두고 디스플레이가 1920x1080인 경우는 글자가 너무 크게 보여서 폰트는 13.0에서 조금 작게 선택했습니다.

 

 

 

[Plugins]에서 Marketplace에는 설치할 수 있는 플러그인이 있고 Installed에는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Plugin들을 볼 수 있습니다.

 

[Learn]은 사용법에 대한 학습을 할 수 있는 새로운 팝업 창이 나타납니다.

 

다시 좌측메뉴에서 [Projects]를 선택하고 우측에서  [New Project]를 선택해서 신규로 프로젝트를 하나 생성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대부분 알아서 입력 또는 선택하면 되는데 JDK는 기존에 설치한 프로그램이 없으면 바로 다운로드 가능 합니다.

 

 

 

여러 버전 중 하나를 선택하고 설치 위치도 설정해서 [Download] 버튼을 클릭합니다.

 

 

 

바로 설치가 진행됩니다.

 

 

 

[Advanced Settings]를 확장하면 기본값이 설정되어 있는데 필요한 내용으로 수정합니다.

 

[Create] 버튼을 클릭하면 프로젝트가 생성됩니다.

 

 

 

프로젝트가 생성된 모습입니다.

Pom.xml 파일을 보니 너무 심플하네요.  한참을 채워 넣어야 할 것 같습니다.

상단에 있는 실행 버튼을 클릭해서 프로젝트를 실행해 봅니다.

 

 

 

Java도 잘 실행이 되는군요.

 

 

 

선택한 폴더에 프로젝트 파일도 생성되었습니다.

사용해 보면서 하나씩 추가적인 기능 설명도 정리를 해보겠습니다.

 

- copy coding -


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