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라클 클라우드에 서버 인스턴스를 생성하고 FTP로 접속을 하는 방법입니다.

OCI에 서버 인스턴스 생성하기를 보시려면 전에 작성한 글을 참고 하세요.


[OCI] Oracle Cloud 평생 무료 서버 만들기

 

 

FTP로 접속을 위해서는 인스턴스의 Public IP를 확인해야 합니다.

오라클 클라우드에 접속해서 인스턴스 페이지로 이동 합니다.

 

 

좌측 하단 Compartment에서 root를 선택하여 실행중인 인스턴스를 확인 합니다.

root 이외에 다른 이름으로 생성하였다면 접속할 compartment를 선택하면 됩니다.

 

 

저는 아직 하나만 생성해서 리스트에 하나만 나옵니다.

여기서 Public IP가 외부에서 서버로 FTP 접속할때 사용하는 IP 입니다.

IP는 확인 했으니 WindowsFTP Client에서 접속하는 방법을 알아 봅니다.

 

 

1. FileZilla 접속 설정

 

먼저 FileZilla를 이용한 접속 설정 방법입니다.

윈도우에서 FileZilla를 실행합니다.

 

 

메뉴에서 [파일 > 사이트 관리자]를 선택 합니다.

 

 

그리고 사이트 관리자 팝업 창에서 New Site 버튼을 클릭하고 접속 정보를 입력 합니다.

저는 기존에 생성해놓고 사용하지 않는 접속정보가 있어서 새 사이트2를 그냥 이용했습니다.

 

프로토콜 : SFTP 선택

호스트 : OCI에서 확인한 Public IP를 입력해 줍니다.

포트 : 22 (입력 안해도 SFTP 기본으로 접속합니다)

로그온 유형 : 키 파일 선택

사용자 : opc (최초 사용자는 opc 입니다)

키 파일 : 찾아보기 버튼을 클릭해서

 

 

인스턴스를 만들때 저장해 놓은 키 xxx(각자 저장할때 만든 파일명).key를 선택 합니다.

 

 

모든 접속정보를 입력 했으면 [연결] 버튼을 클릭 합니다.

 

 

새로 접속하려는 사이트 연결 정보가 나오면 [확인] 버튼을 클릭 합니다.

 

 

접속이 완료되었습니다.

 

 

2. WinSCP 접속 방법

 

이번에는 WinSCP를 이용하여 Oracle Cloud Server에 접속하는 방법입니다.

FileZilla와 동일하고 키 설정하는 부분만 차이가 있습니다.

WinSCP를 실행 합니다.

 

 

실행하면서 바로 Login 팝업 창이 나타납니다.

Login 팝업 창이 안보이면 New Session 탭을 클릭해 줍니다.

 

 

FileZilla와 동일하게 Public IPopc 등 접속정보를 입력합니다.

 

키를 등록하는데 기존에 저장한 키(확장자 key)를 인식하지 못하여 ppk로 변경하는 작업을 진행하고 키를 등록해야 합니다.  그냥 아래 순서대로 진행하면 됩니다.

 

키를 등록하기 위하여 [Advanced] 버튼을 클릭 하고 Advanced를 선택해 줍니다.

 

 

Advanced Site Settings 팝업 창이 나타납니다.

좌측 메뉴에서 SSH > Authentication을 선택하고

우측에서 Private key file:에서 찾기 버튼(...)을 클릭 합니다.

 

 

WinSCPkey 확장자 파일은 안보이기 때문에 All Files를 선택해야 합니다.

그리고 xxxx.key 파일을 선택해 주는데 WinSCPPuTTY에서 생성하는 키 형태를 지원하므로 변경을 하겠다고 합니다.

 

 

파일을 PuTTY 형태로 변경을 위하여 [OK] 버튼을 클릭 합니다. 

 

 

그럼 변경된 파일을 저장할 위치를 물어보는데 그냥 동일한 위치를 선택하고 [저장] 버튼을 클릭합니다.  확장자가 달라 기존파일을 덥어쓰지는 않습니다.

 

 

파일이 저장 되었습니다. [OK] 버튼을 클릭 합니다.

 

다시 파일 찾기를 선택해서 변경된 xxx.ppk 파일을 선택해 줍니다.

 

 

키 선택이 완료 되었습니다.  [OK] 버튼을 클릭 합니다.

 

 

선택한 키 정보가 보이지는 않지만 모든 설정이 완료 되었습니다.

이제 [Login] 버튼을 클릭 하면

 

접속하려는 서버에 대한 확인을 하고

 

 

접속이 완료 됩니다.

많은 FTP Client 프로그램이 있지만 많이 사용하는 2개만 알아보았습니다.  다른 프로그램도 비슷하게 설정하면 됩니다.

 

- copy coding -

 

Linux에서 사용하는 원격지 파일전송 명령어인 SCP 기능을 기반으로 Windows에서도 사용할 수있도록 만든 프로그램으로 FileZilla와 같이 무료로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FTP를 사용하기위한 정보 제공용 화면 구성으로는 FileZilla보다 못한것 같은데 요즘에는 CloudServer를 사용하면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것 같습니다.

 

설치를 위해 검색 사이트에서 winscp로 검색을 합니다.

 

 

링크를 타고 사이트로 이동합니다.

https://winscp.net/eng/index.php

 

 

 

특징이라면 여러 무료 application 사이트들에 비해 광고가 많이 붙어있습니다.

[DOWNLOAD NOW] 버튼을 클릭합니다.

 

https://winscp.net/eng/download.php

 

 

 

다운로드 페이지에 3개의 링크가 있습니다.

여기서는 [DOWNLOAD WINSCP] [OTHER DOWNLOADS] 두개의 버튼에 대해 설명합니다.  중간에있는 Microsoft 이미지는 마이크로소프트 스토어로 이동합니다.

 

 

1. WinSCP 설치버전

 

먼저 첫번재 [DOWNLOAD WINSCP] 다운로드 버튼부터 눌러 파일을 다운받습니다.

그리고 다운받은 파일을 실행 합니다.

 

 

[모든 사용자를 위한 설치] 를 클릭합니다.  개인 컴퓨터가 아닌 공용으로 사용하는 서버의 유저라면 [현재 사용자를 위한 설치]를 하셔야겠죠.

 

 

저작권에대해 [수락] 버튼을 클릭 해줍니다.

 

 

 

특별히 시스템에 영향을 주는 프로그램이 아니니 그냥 [일반 설치]를 선택하고 [다음] 버튼을 클릭해 줍니다.

 

 

 

개인 취향에 따라 화면 구성을 선택해도 되지만 통상적으로 커맨더 형태의 화면이 좋을것 같습니다.

[다음] 버튼을 클릭해 줍니다.

 

 

 

설정을 완료 하였다면 [설치] 버튼을 클릭하고 잘못 선택한 부분이 있으면 [뒤로] 버튼을 클릭해서 설정을 변경합니다.

 

 

 

설치버튼을 클릭하면 바로 설치가 진행 됩니다.

 

 

 

설치가 종료되었습니다. [완료]버튼을 클릭하여 WinSCP를 한번 실행해 봅니다.

 

 

 

처음 시작 화면부터 접속할 서버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팝업을 제공합니다.

 

 

파일 프로토콜에 파일서버용 Amazon S3도 기본으로 제공합니다.

 

 

여기서는 일반적인 SFTP 사용을 위해 접속용 세션 설정정보를 입력 하고 [로그인] 버튼을 클릭합니다.

 

 

 

2. WinSCP 무설치 버전

 

 

이제 처음 다운로드 페이지에서 마지막 Other 다운로드에 관한 설명입니다.

다시 다운로드 페이지로 이동하여

 

 

마지막 [OTHER DOWNLOADS] 버튼을 클릭하면 무설치(portable)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습니다.

 

 

3개의 다운로드가 있는데 첫번 째 Portable executables 에 있는 버튼을 클릭 하여 파일을 다운로드 받습니다.

 

WinSCP-5.21.8-Portable.zip

압축파일이 다운로드 되는데 적당한곳으로 옮기고 압축을 풀어줍니다.

 

 

폴더로 이동하여 여기에서 WinSCP.exe 파일을 실행합니다.

 

 

처음에 설치버전으로 작업한것과 동일한 사용 화면을 볼 수 있습니다.

접속 서버정보를 입력하여 사용하면 됩니다.

 

- copy coding -

 

Server에 파일을 전송하기위해 저작권 없이 많이 사용하는 FTP Client 중 하나인 filezilla 어플리케이션 설치 방법입니다.

설치하는 방법이 간단해서 그냥 한번 아래로 스크롤 하면 보면 됩니다.

 

포털 사이트에서 filezilla로 검색을 하면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FileZilla 사이크 링크입니다.

https://filezilla-project.org/

 

FileZilla client Server 프로그램을 모두 지원하고 있습니다.

 

 

 

여기서는 Client 설치를 하는 것으로 왼쪽의 Client를 클릭하여 Client 다운로드 페이지로 이동 합니다.

 

아래가 client 프로그램 다운로드 페이지 링크 입니다.

https://filezilla-project.org/download.php?type=client

 

 

 

FileZilla Client는 윈도우용 프로그램과 다른 운영체제에서 사용 가능한 프로그램도 있는데 여기서는 윈도우에 설치하는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합니다.

윈도우 이외의 프로그램은 [More download options]를 클릭해서 참고하면 됩니다.

 

[Download FileZilla Client] 큼지막한 버튼을 클릭 합니다.

 

 

 

팝업이 나타나며 상세 기능에 따른 제품군이 준비되어 있습니다.

첫번재 download를 제외하고 select가 되어있는건 유료 제품입니다.

파일 업로드만 하면 되기 때문에 무료버전을 다운받아 사용하면 됩니다.

표에서 보는것 처럼 Amazon S3에는 사용할 수 없다고 되어있는데 EC2에는 사용 가능 합니다.

Amazon S3가 지원되는 무료 FTP 프로그램은 다음에 소개하겠습니다.

 

[Download] 버튼을 클릭 하여 파일을 다운로드 받고 파일을 실행하여 설치를 진행 합니다.

설치 진행은 간단합니다.

 

 

저작권을 승인하는 화면으로 [I Agree] 버튼을 클릭 합니다.

 

 

Opera 브라우져를 설치해준다는데 지금 크롬으로 만족하므로 [Decline] 을 선택하고 [Next] 버튼을 클릭 합니다. 

오페라를 한번 사용해 보고 싶으시면 설치를 하면 됩니다.

 

 

개인 컴퓨터라면 별 의미 없지만 아무나 사용가능으로 선택 하고 [Next] 버튼을 클릭 합니다.

여러명이 유저로 사용하는 서버급이면 Only for me를 선택 합니다.

 

 

설치할 컴포넌트항목 입니다.  [Next] 버튼을 클릭 합니다.

 

 

설치위치인데 C: 드라이브 용량이 없거나 별도로 관리하지 않는다면 [Next] 버튼을 클릭 합니다.

 

 

시작 버튼에 보여지는 명칭인데 그냥 [Install] 버튼을 클릭하여 설치를 진행 합니다.

 

 

선택한 설정값을 이용하여 설치가 진행 됩니다.

 

 

설치가 완료 되었습니다.

Start Fileilla now가 선택된 채로 [Finish] 버튼을 클릭하여 어떻게 생겼나 구경 합니다.

 

 

접속할 서버를 하나 추가해 봅니다. 

메뉴에서 파일 > 사이트 관리자 를 선택 하거나 메뉴바 하단의 첫번째 아이콘을 선택 합니다.

 

 

팝업이 나타나면 여기서는 입력이 안되고 왼쪽 하단의 [새 사이트] 버튼을 클릭해서 오른쪽 입력란을 활성화 하여 접속하려는 서버를 추가 합니다.

 

 

프로토콜, 호스트, 암호화, 로그온 유형등을 추가해 줍니다.

[연결] 버튼을 클릭하여 서버에 연결하여 사용하면 됩니다.

 

 

기본적으로 왼쪽이 local 컴퓨터 이고 오른쪽이 Server 입니다.

파일 탐색기처럼 사용하면 됩니다.

 

- copy coding -

 

 

 

 

AWS에서 Linux Server 인스턴스를 설치하고 접속해서 사용하는 방법을 알아 보려고 합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먼저 인스턴스를 생성할 때 키를 putty 접속을 선택해서 만들어야 합니다.

 

 

 

그리고 [키 페어 생성] 버튼을 클릭하여 만들어진 키는 잘 저장하고 있어야 합니다.

 

인스턴스가 생성되었다면 EC2 목록을 확인 하고 작업을 시작 합니다.

 

 

인스턴스 ID를 클릭 하여 상세 페이지를 확인 합니다.

IP는 뒷자리를 삭제하고 보여드립니다.

 

 

여기에 접속에 필요한 정보들이 있습니다.

[퍼블릭 IPv4 주소]가 접속할 IP로 사용되고 아래 [보안] 탭에 포트 범위가 22인 항목이 보이면 외부에서 putty FileZilla로 접속이 가능한 상태 입니다.

 

먼저 PuTTY 를 연결하기 위해 실행을 하고 좌측 메뉴에서 Connection > SSH > Auth를 선택 합니다.   그리고 우측에서 [Browse..] 버튼을 클릭하여

 

 

저장해둔 키 파일을 선택해 줍니다.

 

 

 

이렇게 키 선택을 완료 하였으면 좌측 메뉴를 상단으로 올려서

 

 

좌측 메뉴의 Session을 선택한 상태에서 필요한 정보를 모두 입력 하고 [Save] 버튼을 이용하여 저장을 합니다.  물론 저장을 하지 않고 매번 동일한 설정 작업을 해서 접속을 해도 됩니다.

저장된 Session을 더블 클릭 하거나 [Load] 버튼과 [Open] 버튼을 클릭 해서 접속 합니다.

 

 

초기 접속시에 원격 접속 허용여부 팝업에서 [Accept]를 선택 하면 바로 접속 됩니다.

 

 

ID를 입력해야 하는데 만든 기억이 없죠.

login idcentos 입력하고 enter key를 치면 바로 접속이 됩니다.

저는 CentOS라 그렇고 Ubuntu 운영체제를 선택해서 인스턴스를 만들었다면 ubuntu를 입력해 주면 계정 로그인이 됩니다.

 

가장 중요한 root 비밀번호는 최초에 생성이 되어있지 않기 때문에 생성을 해야 합니다.

아래 명령어를 이용하여 root의 비밀번호를 생성해 줍니다.

$ sudo passwd root

 

 

putty 접속은 이렇게 해서 완료가 되었습니다.

 

 

이제 FileZilla로 접속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FileZilla는 메뉴 아래에 있는 첫번째 아이콘[사이트 관리자 열기]을 클릭 합니다.

 

 

여기에서 EC2 인스턴스의 정보를 입력 합니다.

프로토콜은 SFTP를 선택하고 EC2 IP를 입력한 후 로그인 유형은 키 파일을 선택 합니다.

사용자는 centos (Ubuntu 운영체제를 선택해서 인스턴스를 만들었다면 ubuntu)를 입력하고  키 파일도 [찾아보기]로 선택해 줍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연결] 버튼을 클릭 하면 접속이 완료 됩니다.

 

 

이렇게 해서 EC2 Server를 사용하여 작업할 준비가 완료 되었습니다.

  

- copy coding -


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