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크롬이 설치되는 시스템은 서로 원격관리가 가능합니다.  잘 만들기는 했는데 처음 설정하는 사람들에게는 조금 복잡하게 보일 수 있습니다. 그 이유는 두가지라고 생각 됩니다.

1. 프로그램 설치

설치가 2회 이루어집니다. 최초 원격 데스크톱 한번, 중간에 호스트 설치 한번.

2. 화면

- 프로그램이 두번 설치되면서 호스트 프로그램 설치 전과 설치 후 화면이 달라집니다.

한번에 프로그램을 설치하면 참 간단한데 설명하기도 복잡해 졌습니다.



1. 다운로드 및 설치

 

Chrome 웹 브라우저에서 원격 데스크톱을 키워드로 검색을 하거나 아래 주소 다운로드 사이트로 이동 합니다.

https://chrome.google.com/webstore/detail/chrome-remote-desktop/gbchcmhmhahfdphkhkmpfmihenigjmpp?hl=ko


chrome_remote_desktop


Chrome에 추가 버튼을 클릭하면 추가 유무를 물어 봅니다..


chrome_remote_desktop


당연히 앱 추가 버튼을 클릭 해야지요그러면 크롬에 설치가 되고 자동으로 chrome://apps 사이트로 이동을 해서 현재 설치되어 있는 앱을 보여줍니다. 이것이 첫번째 설치 입니다.


chrome_remote_desktop


설치는 다른 프로그램처럼 창이 여러 번 나오고 Next를 계속 누르는 불편함은 없습니다.

  

앱 아이콘에서 Chrome 원격 데스크톱을 클릭 합니다. 앱을 처음 사용시 한번만 승인을 해야 한다고 안내가 나옵니다.


chrome_remote_desktop


계속 버튼을 클릭 합니다.

로그인을 하라고 나오는데 로그인 까지만 합니다.(4번 참조) 


 

2. 사용방법

 

승인 창이 닫히면 Chrome 원격 데스크톱 창이 나타납니다 창이 백으로 숨어 있을 수 있어 찾아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chrome_remote_desktop

메뉴가 [원격 지원][내 컴퓨터]가 보이는 군요.


2.1 원격 지원


원격 지원부터 설명을 하면 말 그대로 멀리서 도와준다는 말 인데요원격지원의 시작하기 버튼을 클릭 하면 화면이 변경되며 공유와 액세스 버튼이 나타납니다.

 

2.1.1 공유


chrome_remote_desktop


공유는 내 컴퓨터에 문제가 생겼으니 잘 하는 사람이 나좀 도와달라고 도움 요청을 하는 것으로 공유 버튼을 클릭하면 호스트 프로그램을 다운받아 설치해야 합니다. 이것이 두번 째 설치 프로그램 입니다.


chrome_remote_desktop


동의 및 설치 버튼을 눌러 프로그램을 다운받고 설치가 진행 됩니다설치가 완료되면 액세스 코드가 생성이 되는데 원격에서 접속하려는 사람에게 알려주면 됩니다


chrome_remote_desktop


그러면 원격에서 접속하여 개인 컴퓨터 처럼 사용이 가능합니다.

코드 생성 창에서 취소 버튼을 누르거나 접속을 하지 않고 일정 시간이 지나면 자동으로 종료 됩니다.

 

2.1.2 액세스


액세스는 내가 다른 사람 컴퓨터에 접속해서 이것저것 살펴보며 도와줄 수 있는 기능인데 2.1에서 설명한 것 처럼 공유 버튼을 클릭했을때 생성되는 12자리 접속 코드를 알려 주어야 그 코드를 입력 하여 접속이 가능합니다


chrome_remote_desktop


2.2 내 컴퓨터

 

내 컴퓨터는 말 그대로 내 컴퓨터를 원격에서 관리 하려는 경우에 사용 합니다내 컴퓨터에서 시작하기 버튼을 클릭 하면 호스트 프로그램을 설치 하라고 합니다만일 2.1 원격지원에서 프로그램을 설치 했다면 설치 창은 나타나지 않습니다.


chrome_remote_desktop


chrome_remote_desktop


동의 및 설치 버튼을 클릭하면 chromeremotedesktophost.msi 파일이 다운로드 되고 실행을 시켜 설치를 진행 합니다. 설치가 완료되면 6자리 이상 PIN 번호를 입력하는 창이 나오는데 이 번호가 원격에서 접속하기 위한 액세스 코드이니 잘 기억해 두어야 합니다.


chrome_remote_desktop


숫자만 입력 가능하니 숫자를 입력하고 확인 버튼을 클릭 합니다.

절전 모드인 경우 컴퓨터가 잠기기 때문에 원격에서 접속이 되지 않습니다전원관리에서 화면은 잠겨도 사용이 가능 하도록 설정해야 합니다.


chrome_remote_desktop


확인 버튼을 클릭 합니다.


chrome_remote_desktop


이제 다른 디바이스에서 접속을 하면 됩니다핸드폰으로 접속하는 방법을 3번에서 설명 합니다.

 

원격에서 접속을 하게 되면 가끔씩 공유중임을 안내합니다.


chrome_remote_desktop


참고로 컴퓨터에 설치를 하면 프로그램 폴더가 생성되어 바로 사용이 가능 합니다.


chrome_remote_desktop



3. 핸드폰에서 접속

 

Play 스토어에서 원격 데스크톱을 검색해서 설치를 합니다.


chrome_remote_desktop



설치 후 열기를 클릭 하거나



chrome_remote_desktop


바탕화면에 생성된 아이콘을 클릭 합니다


chrome_remote_desktop


그러면 공유를 허가한 PC가 컴퓨터 이름으로 내 컴퓨터에 추가가 됩니다지금은 하나만 테스트 한거고 여러 개의 컴퓨터를 공유하면 각각의 컴퓨터 이름이 나타 납니다.


chrome_remote_desktop


추가된 컴퓨터를 클릭하면 PC에서 입력한 PIN번호를 입력하는 창이 나타 납니다.


chrome_remote_desktop


위에서 입력한 PIN 번호 6자리를 입력하고 연결을 클릭 하면 잠시 후 컴퓨터 화면이 핸드폰에 나타 납니다..


chrome_remote_desktop


핸드폰에서 하기에는 좀 고생스럽지만 원격제어가 가능 합니다가능하면 다른 컴퓨터나 테블릿으로 하기를 추천 합니다.



4. 구글 로그인

 

여긴 참고부분 인데 승인 단계의 접속 설정을 할 때 로그인 하고 동기화를 사용하겠냐고 물어보는데 동기화는 하지 않아도 됩니다.

 

이메일을 입력하고


chrome_remote_desktop


비밀번호로 로그인 한 후


chrome_remote_desktop


동기화를 요청해도 크롬에 개인정보를 등록하지 않으려면 


chrome_remote_desktop


여기서 그냥 무시 하고 작업 하면 됩니다.



수많은 사이트에 회원가입을 하게 되면 가장 힘든게 로그인 비밀 번호 만들기 입니다비밀번호 정책도 자주 바뀌어 기억도 할 수 없을 길이에 숫자, 특수문자까지 추가하다 보면 나중에는 비밀번호 기억해 내느라 로그인을 포기하는 경우도 발생합니다크롬에서 제공하는 비밀번호 저장 기능을 사용해서 중요하지 않은 사이트 비밀번호를 쉽게 관리할 수 있습니다.

 

1. 로그인 비밀번호 저장

 

1.1 최초 로그인 하는 경우


크롬 브라우저에서 사이트에 처음 로그인 하는 경우 비밀번호를 저장하시겠습니까?” 라는 팝업 창을 볼 수 있습니다.

 

chrome_login_save


이때 저장 버튼을 클릭 하면 비밀 번호를 저장하고 사용을 할 수 있습니다.

대부분 사용하지 않음 버튼을 누르게 되는데 나중에 그때 저장할걸 하는 경우가 발생 하는데 간단하게 비밀번호를 저장할 수 있습니다.

 

1.2 로그인시 비밀 번호 저장

 

만약 최초 로그인시 저장 요청에서 사용하지 않음을 선택한 경우에도 다음 번 로그인시에 저장을할 수 있습니다로그인 창에서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상단에 열쇠 모양의 아이콘이 나타나는데 그걸 클릭하면 저장 질문 창이 나타납니다.


chrome_login_save


이때 저장 버튼을 누르면 다음 부터는 비밀번호를 입력하지 않고 로그인을 할 수 있습니다.



2. 비밀번호 관리

 

2.1 비밀번호 리스트


저장된 비밀번호를 확인하고 관리를 해보겠습니다크롬 브라우저가 버전이 변경 되면서 설정 위치가 조금 변경이 되었습니다크롬 브라우저 우측 점세개 아이콘을 클릭하고 설정 메뉴를 선택 합니다.

 


chrome_login_save


설정 창의 자동 완성 메뉴에 비밀번호를 선택 합니다.


chrome_login_save


지금까지 저장한 비밀번호 사이트 리스트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chrome_login_save


2.2 비밀번호 확인


비밀번호를 저장해 놓으면 좋은 점은 비밀번호를 텍스트 형태로 확인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비밀번호 옆에 있는 눈 모양의 아이콘을 클릭하면 컴퓨터 로그인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창이 나타납니다.


chrome_login_save


컴퓨터 로그인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해당 사이트의 비밀번호가 텍스트로 표시 됩니다.편한 것 같은데 위험한 것 같기도 합니다.


chrome_login_save


2.3 비밀번호 정보 및 삭제


눈모양 옆의 점 세개 아이콘을 클릭하면 세부정보와 제거 메뉴가 나타납니다.


chrome_login_save


세부 정보를 선택하면 특별한 정보는 없습니다.


chrome_login_save


제거를 선택 하면 해당 항목이 사라집니다.


chrome_login_save


비밀번호 저장은 편하긴 한데 개인용 컴퓨터이고 타인의 사용에 대해 관리를 잘 할 수 있는 경우에만 추천합니다.



Chrome에서 동기화를 해 놓으면 모든 북마크, 방문 기록, 비밀번호, 설정 등이 구글에 저장되고동기화된 정보를 모든 기기에서 확인하고 업데이트할 수 있습니다비밀번호까지 저장 되기 때문에 로그인 하는 사이트는 자동 로그인도 가능하게 됩니다.

편리한 기능이 있긴 하지만 개인 정보를 모두 구글에 넘겨주게 되고 가끔 구글에서 사용한다는 기사가 나오기도 하지요.

현명하게 사용하면 펀리한 기능이 될 수도 있으니 설정에 대해 상세히 알아 봅니다.

 

 

1. Chrome 동기화 하기

 

1.1 로그인 이름 버튼 사용


동기화를 위해서는 먼저 구글에 로그인을 합니다로그인을 완료하고 크롬 브라우저 우측 상단에 이름을 클릭하면 동기화 버튼이 나타납니다.


chrome_sync


동기화 사용 버튼을 클릭해서 동기화를 시킵니다.  


chrome_sync


이렇게 하면 모든 내용이 동기화가 진행이 됩니다항목을 선택해서 동기화를 하려면 설정을 이용하는 다음 방법을 사용합니다.

 

1.2 설정 사용 동기화

 

크롬 우측에 점세개 아이콘을 선택 합니다.


chrome_sync


 

메뉴에서 설정(S)을 선택합니다.


chrome_sync


우측의 동기화 사용 버튼을 클릭합니다


chrome_sync


그럼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옵니다만약 1.1에서 동기화 버튼을 선택 했어도 동일한 화면을 볼 수 있습니다.


chrome_sync


동기화 메뉴를 클릭하면 필요한 항목만 선택해서 동기화 할 수 있습니다


chrome_sync


필요한 항목만 선택 하려면

1. 모두 동기화 버튼 클릭해서 해제

2. 선별적으로 동기화 차단


chrome_sync



 

2. 크롬 동기화 중지

 

동기화 중지 방법도 두가지 방법이 있는데 결국은 한곳에서 처리가 됩니다.

 

2.1 로그인 이름 버튼 사용


chrome_sync


그러면 설정 화면으로 이동 합니다설정 화면은 아래에서 설명 합니다.

 

2.2 설정 사용 중지

 

크롬 우측 점세개 이미지를 클릭하고 설정 메뉴를 선택 해서 설정 화면으로 이동 합니다.


chrome_sync


사용 중지 버튼을 클릭 합니다.

사용 중지 및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삭제 하려면 체크를 합니다.


chrome_sync


사용중지 버튼을 클릭하면 동기화 기능이 중지 됩니다.


이글을 읽지 마시기 바랍니다.  티스토리에서 글쓰기 기능을 변경되면서 아래와 같은 좋은 기능들이 사라졌습니다.  요즘 티스토리 정책 변경 방향은 카카오의 기술력을 의심하게 만드는 군요.

 

티스토리에 글을 쓰다 보면 상세한 설명보다 표로 깔끔하게 정리가 필요해 표를 조금 예쁘게 그리려고 열심히 자료를 찾아서 CSS를 만들고 모두 HTML로 하드코딩 해서 붙여야 하는 조금 귀찮고 힘든 작성 방법이지만 결과가 맘에 들었습니다

 

tistory_grid_msoffice

 

그런데 모바일에서는 CSS가 적용이 되지 않아 이상한 모양으로 보입니다.

 

tistory_grid_msoffice

 

좀더 간편한 방법을 찾고자 엑셀을 이용해보기로 하고 표를 작성하고

 

tistory_grid_msoffice

 

글쓰기에 붙여넣기를 해봤습니다.

 

그리드와 색상정보가 사라집니다.

 

tistory_grid_msoffice

 

엑셀을 이용 하는건 아닌가 봅니다.

 

MS Office는 서로 호환이 되니까 엑셀 표를 워드로 복사해 보았습니다역시 표가 그대로 그려집니다.

 

tistory_grid_msoffice

 

이제는 MS Word에서 표를 복사하고 티스토리 글쓰기에 복사해 봅니다.  모든 기능이 잘 작동하고 붙여넣기가 됩니다.

 

tistory_grid_msoffice

 

핸드폰에서도 잘 나옵니다.

 

tistory_grid_msoffice

 

저의 경우는 화려한 표가 중요한게 아니고 표에 있는 내용이 중요하니 그냥 워드에서 생성해 복사 하는것으로 결정 했습니다.

 


1···789101112131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