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에 기본적인 프로그램과 기타 주요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사용하다 보면 꼭 필요하지 않지만 추가적으로 테스트 등을 위하여 프로그램을 설치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합니다.

또는 6개월 이상 사용하고 나서 너무 많은 프로그램을 설치했거나 불필요한 프로그램을 삭제하고 싶을 때 다시 기본적인 프로그램만 설치한 상황으로 되돌리고 싶은 경우가 있습니다.

이럴 때는 컴퓨터에 원복 하려는 상태의 값을 저장해 두고 다시 그 지점으로 되돌아가면 쉽게 작업이 가능 합니다.

VMWare 등의 가상환경이라면 바로 스냅샷으로 돌아가면 편하겠지만 일반 컴퓨터도 복원시점을 만들면 가능합니다.

사용법 및 작업방법도 간단합니다.

 

윈도우 초기 화면에서 하단 검색 창에 [복원]이란 단어만 입력해도 [복원 지점 만들기] 프로그램이 검색됩니다.

 

 

 

[복원 지점 만들기]를 선택하면 [시스템 속성]창이 나타납니다.

 

 

처음 사용한다면 [시스템 복원] [만들기] 버튼이 비활성화 되어있습니다.

하단 설명을 읽어보면 드라이브를 선택하고 [구성] 버튼을 클릭하여 설정을 하라고 되어있습니다.

C 드라이버를 선택하고 [구성] 버튼을 클릭합니다.

 

 

 

처음에는 [시스템 보호 사용 안 함]이 선택되어 있는데 [시스템 보호 사용] 라디오 버튼을 클릭하고 [적용][확인] 버튼을 클릭하면 구성이 완료됩니다.

 

 

 

시스템 속성 창으로 오면 비활성화 되었던 [만들기] 버튼이 활성화되었습니다.

그러나 아직 복원을 만들지 않아서 [시스템 복원]은 아직 비활성화 상태 입니다.

일단 C 드라이버를 선택하고 [만들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복원 지점을 저장할 명칭을 입력하는 창이 나오는데 생성날짜와 시간이 자동으로 추가된다고 하니 저는 현재의 컴퓨터 상태를 복원지점 명으로 입력했습니다.

이런 식으로 컴퓨터에 새로운 작업 환경을 생성할 때마다 저장해 두면 바로 그 지점으로 돌아갈 수 있겠습니다.

설명을 입력하였으면 [만들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복원지점 생성이 시작됩니다.

 

 

 

복원지점 생성이 완료되었습니다.

 

 

 

이제는 [시스템 복원] 버튼도 활성화가 되었네요.

[시스템 복원] 버튼을 클릭해서 어떻게 저장되었나 확인해 보겠습니다.

 

 

 

[다음] 버튼을 클릭하면

 

 

 

복원지점 생성시 입력한 설명과 함께 저장된 복원 시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아직은 하나만 있지만 사용하다 보면 점점 늘어날 것 같네요.

 

- copy coding -

 

윈도우에는 기본 프로그램으로 스크린 샷과 동영상을 녹화할 수 있는 캡처 프로그램이 들어있습니다.

원해는 Xbox 게임용으로 만들어져 있지만 일반 프로그램도 녹화가 가능합니다.

한가지 단점이 있는데 윈도우 전체 창을 녹화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먼저 프로그램 기능을 활성화해야 가능한데 단축키로 [Window + G]를 클릭하면 나타나게 됩니다.

다른 방법으로는 시작 버튼에서 설정을 클릭합니다.

 

 

설정 팝업에서 [게임]을 찾아 클릭합니다.

 

 

Xbox Game Bar 팝업 창이 나오는데 여기서 []이 활성화 되어있으면 사용이 가능한 상태입니다.

 

일단 프로그램을 한번 실행해 봅니다.

단축키 [윈도우버튼 + G]를 클릭합니다.

 

 

상단에 보이는 것이 Xbox Game Bar이고 캡처 창이 사진 및 동영상을 녹화하는 버튼이 있는 창입니다.  오디오와 성능은 현재 시스템 정보들입니다.

 

 

원래 게임을 위해 만든 기능으로 로그인을 하게 되면 게임 상대방과 실시간으로 연결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는 게임을 하려는게 아니기 때문에 이 기능은 설명하지 않습니다.

캡처를 하기위한 아이콘이 있는 창이 있지만 아래와 같이 보이는 경우가 있습니다.

 

 

캡처 창의 동그란 녹화 버튼이 회색으로 비활성화 되어 있습니다.

처음에 지적했던 단점이 이것입니다.

윈도우 전체를 녹화하지 않기 때문에 녹화하려는 응용프로그램 창을 하나 선택하지 않고 윈도우전체가 선택되어 있는 상태인 경우 이렇게 비활성화 됩니다.

 

테스트를 위해 메모장을 하나 열어서 선택을 한 상태에서 다시 [윈도우버턴 + G]를 이용하여 캐처 팝업 창을 띄웁니다.

 

 

이번에는 녹화 버튼이 활성화되어 하얗게 선택이 가능한 상태가 되어있습니다.

 

 

원형의 녹화 버튼을 클릭하여 녹화가 시작되면 캡처 상태를 나타내는 창이 하나 더 나타나며 녹화 시간과 중지 버튼, 그리고 음성버튼이 있습니다.

 

메모장에 다음과 같이 글을 작성하며 녹화를 진행합니다.

 

 

필요한 만큼 녹화를 하고 파란색 원에 흰 네모 아이콘을 클릭해서 녹화를 마치면 이번에도 새로운 창이 나타납니다.

 

 

이상 없이 잘 녹화가 완료되었습니다.

 

 

[내 캡처 보기]를 클릭하면 녹화된 영상 목록을 볼 수 있습니다.

 

 

녹화된 파일은 [파일 위치 열기]를 선택하여 필요에 따라 사용하시면 됩니다.

이곳에서 미리보기를 하고 마음에 들지 않으면 바로 아래에 있는 삭제를 이용하고 제거하고 다시 녹화를 진행 합니다.

 

마이크로소프트에서 제공하는 단축키 목록이 있습니다.

 

 

Windows 10, Windows 11 모두 동일합니다.

 

- copy coding -

 

 

개인 컴퓨터를 어디에서나 원격으로 접속하여 사용하면 편리한점이 많이 있습니다.  물론 일반적으로는 그렇게 까지 사용할 이유가 없지만 집에 있는 컴퓨터를 원격접속하는 방법을 알아봅니다.

 

 

1. Windows 10 Pro 정품인증

 

Windows 10인 경우 원격접속을 하려면 버전이 Pro 이상이어야 합니다.  그리고 정품 인증이 되어 있어야 기능이 작동 하도록 설정할 수 있습니다.  Windows 10 Pro는 마이크로소프트사 홈페이지에서 받으면 되고 정품 인증은 싸게 파는곳에서 구매를 하던가 어둠에서 찾던가 해야겠죠.

 

 

2. 원격 데스크톱 설정

 

준비가 되었으면 설정 팝업을 이용하여 활성화를 진행 합니다.

 

설정 팝업 창에서 [시스템]을 클릭 하고

 

 

좌측메뉴에서 [원격 데스크톱]을 선택 합니다.

 

 

 

우측에서 [원격 데스크톱 활성화]를 찾아 켬으로 선택 합니다.

 

 

3. 전원 설정

 

 

원격 작업을 하려고 밖에 나가서 사용하려는데 컴이 잠자고 있으면 안되겠죠.

좌측메뉴에서 [전원 및 절전]을 선택 합니다.

 

 

우측에서 [화면]과 [절전] 모드를 모두 사용 안함으로 변경 합니다.

편한 만큼 전기세가 들어가는데 요즘 컴은 별로 전기를 먹지 않습니다.  모니터는 나갈때 파워를 아예 뽑아놓가 나가면 대기전력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4. 비밀번호 설정

 

이제 컴에 비밀번호를 만들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설정 팝업 창 첫화면으로 돌아가 [계정] 메뉴를 찾아 선택 합니다.

 

 

좌측 메뉴에서 [로그인 옵션]을 선택하고

 

 

 

우측 화면을 스크롤 하여 [비밀번호]를 찾아 봅니다.

 

 

 

아직 비밀번호가 없는 경우의 화면입니다.

[추가] 버튼을 클릭 합니다.

 

 

 

그리고 비밀번호를 입력 하고 [다음] 버튼을 클릭 합니다.

 

 

 

비밀번호가 생성 되었습니다. 

하단의 [마침] 버튼을 클릭해 다시 설정 창으로 이동합니다.

 

 

 

 

비밀번호가 마음에 안들면 변경버튼으로 수정 합니다.

이제 컴퓨터가 원격으로 접속할 수 있는 환경이 구축 되었습니다

 

 

5. 공유기 설정

 

 

아직 한가지 문제가 남아있습니다.

집에서 인터넷 전용선을 사용하고 공용 IP가 있다면 괜찮지만 공유기를 사용한다면 포트포워딩으로 외부IP와 컴퓨터IP를 맵핑해 놓아야 합니다.

여기서는 ipTIME을 사용해서 설정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전에 올린 글 [집에서 공유기로 Server 운용하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작업을 하면 되는데 포스설정 부분만 추가해주면 됩니다.

 

 

인터넷 정보에서 [외부 IP 주소]가 집 밖에서 집으로 접속할때 사용하는 IP이고 [포트포워드 설정]에서 각각의 Port에 대응하는 컴퓨터를 연결하는 작업을 하면 됩니다.  , 외부 IP에서 어떤 Port를 사용해 접속하느냐에 따라 집에 있는 컴퓨터들(웹서버용, 개인 업무용, NAS, DAS)을 연결하는 방법입니다.

 

 

 

여기서는 원격접속연결이니 Port 3389를 내 컴퓨터의 IP에 연결해 주면 됩니다.

위의 사진을 설정 부분만 좀 확대해서 보면

 

이렇게 적고 [적용]버튼을 클릭하고 완료 합니다.

 

이제 남은건 원격 접속을 해보는것으로 다른 컴퓨터를 이용해서 밖에 나가서 테스트 해봅니다.

귀찮으면 집에서 진행해도 됩니다.

 

 

 

이렇게 하고 [연결] 버튼을 클릭하면 잠시 후 자신의 컴퓨터 화면으로 로그인 할 수 있습니다.

로그인 하면 이제 편하게 자신의 컴퓨터로 작업을 하면 됩니다.

 

- copy codiing -

 

윈도우즈 사용자라면 그림판 3D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쉽게 투명 이미지나 문서에 필요한 사인등을 쉽게 만들 수 있습니다.

 

 

그림판 3D를 실행하고 [새로 만들기]를 선택 합니다.

 

 

우측에서 사용하려는 펜의 종류와 두께 그리고 색상을 선택 합니다.

 

 

좌측에 필요한 사인을 하나 조심스럽게 만들어 줍니다. 좀 엉성하다 싶으면 새로만들기로 다시작업을 해줍니다.

 

 

좀 엉성하지만 사인이니까 이정도면 훌륭합니다. 완성이 되었으면 상단에 있는 [자동 선택]을 클릭합니다.

 

 

크기 조절을 해서 필요한 부분만 선택되도록 하면 됩니다. “자만 필요하면 홍만 선택 하세요.

필요한 부분만 선택 했으면 [다음] 버튼을 클릭 합니다.

 

 

이런 만 클릭되었네요.  우측 추가와 제거를 이용해서 추가, 제거를 하는데 한번에 되는게 있고 어떤 경우에는 내부가 선택되는 경우도 있는데 여러번 클릭 하다보면 요령이 생겨요.  일단 추가를 해 봅니다.

 

 

이번엔 이런식으로 내부가 선택 되면 이번에는 제거를 클릭해서 삭제를 합니다.

 

 

망한건가?  힌반에 제거하기가 힘들겠네요.

 

 

함 끝까지 해보죠. 잘 보이도록 확대해서 삭제를 해나갑니다.  그러다가 잘못 클릭해서 필요한곳이 삭제 되면 Ctrl+Z로 되돌리고 다시 클릭을 해나갑니다.

 

 

이정도면 작업이 된것 같습니다.  의 기억과 의 ㅗ 에도 흰색이 있어서 제거를 했습니다.

[완료] 버튼을 클릭해 줍니다.

 

 

이제 투명 손글씨가 완성되었고 변형도 가능합니다.  변형이 필요하면 우측 메뉴들을 이용해 봅니다.

 

 

저는 좀 기울어진 모양을 바로잡고 높이를 조절했습니다.

이상태에서 Ctrl+C 해서 필요한곳에 붙여넣기 합니다.

 

 

계속 사용하려면 저장해 놓고 다음에 다시 불러서 사용하면 됩니다.

 

 

한번 이미지도 도전해 볼까요?

 

 

이미지는 경계가 확실한게 잘 되는데 흰색의 경우 클릭으로 추가하려고 하면 범위가 넓게 배경까지 포함이 되는데 이때는 필요한 부분을 선을 그리듯이 하면 조금씩 선택을 할 수 있습니다.

성격 버리기전에 여기까지만... 저건 필요하지도 않아서리...

투명한 손글씨나 이미지를 만드는데는 포토샵보다 깨끗하지는 않지만 손쉽게 작업을 할 수 있습니다.

 

- copy coding -


1234···7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