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일 먼저 githjub에 회원가입이 되어있어야 합니다.

회원이 아니라면 먼저 https://github.com/에서 회원가입을 합니다.

 

안드로이드 스튜디오에는 git 무설치 버전을 이용한 설정에 대해 알아봅니다.

무설치 버전에 대한 윈도우 설치는

[Git] Git 무설치 버전 windows 설치 하기


일반 설치 버전은

[Git] Git 설치 하기 (Windows - Git-2.20.1-64-bit)

를 참고하세요.


저의 무설치 버전의 위치는 F:\git이며

일반 설치의 경우도 C:\Program Files\...로 위치를 잡으면 됩니다.


android github


안드로이드 스튜디오를 실행 합니다.


설정은 상단 메뉴에서

File > Settings...


메뉴를 선택 하면서 시작 합니다.



Settings.. 를 클릭하면 Settings 창이 나타납니다.


설정 메뉴는 좌측의 Version Control 하부메뉴에 있는데 찾기 힘들면

상단 검색 키워드에서 GIt로 검색하면 됩니다.

GitHubGit 메뉴가 보입니다.



먼저 GItHub부터 변경해 보겠습니다.


GitHub를 선택하면 우측에 Auth Type이 기본으로 Tocke을 되어 있습니다.

이걸 password로 변경하고 GitHub에 계정을 만들때 사용한 메일과 비밀번호를 등록합니다.

 


아이디와 비번을 입력했으면 꼭 [Test] 버튼을 클릭해서



Connection successful을 확인 합니다.

 

이번엔 Git를 선택 하고 git 실행파일을 찾어서 연결해 줍니다.

[…]을 선택해서 탐색기에서 설치 위치를 잡아줍니다.



저는 무설치 버전을 연결했습니다.

일반 설치본은 C:\Program Files 하단입니다.



이것도 [Test] 버튼을 이용하여 확인을 합니다.



설정은 완료 되었습니다.

 

무설치 버전의 경우에는 Path를 잡아야 합니다.


git 실행파일 위치를 찾아 봅니다.



찾은 위치 C:\git\cmd를 환경 변수의 path에 추가합니다.


찾은 위치 C:\git\cmd를 환경 변수의 path에 추가합니다.


환경변수 수정하는 방법은

[윈도우즈]Windows7, Windows 10 환경변수 수정하는 방법


를 참고합니다.

 

path 추가를 반영하려면 안드로이드 스튜디오를 다시 시작해서 사용합니다.


- copy coding -


WebStorm이 강력하다고 해서 얼마나 좋은가 구경 한번 해보려고 설치를 해보았습니다.

WebStorm을 설치 하기 위해 JetBtains 사이트의 WebStrom에 접속 합니다https://www.jetbrains.com/webstorm/

Webstorm 홈페이지


webstorm install


WIndows 버전은 그냥 가운데 있는 Free 30-day trial 위에 있는 DOWNLOAD를 선택합니다.

윈도우즈 이외의 운영체제를 선택 하려면 우측 상단의 Download를 선택 합니다.



자신의 운영체제를 선택 하고 DOWNLOAD를 클릭 합니다.

운영체제가 32-bit, 64-bit 선택은 설치를 진행 하면서 적용 됩니다.


다운받은 파일을 실행 해서 설치를 진행 합니다.

WebStorm-2018.3.2.exe



[Next] 버튼을 선택 합니다.



설치 위치를 변경 하려면 [Browse...] 버튼을 이용하여 Path를 변경합니다.

[Next] 버튼을 선택 합니다.



운영체제 bit만 선택했습니다.

[Next] 버튼을 선택 합니다.



[Next] 버튼을 선택 합니다.



설치가 진행 됩니다.



바로 실행해 보려고 Run WebStorm을 체크 했습니다.

[Finish] 버튼을 선택 합니다.



다시 설치를 하는게 아니라서 설정이 없습니다.

[OK] 버튼을 선택 합니다.



. 니꺼야.

[I confirm that I have.....]를 체크 합니다.

[Continue] 버튼을 선택 합니다.



[Don’t send] 버튼을 선택 합니다.

인류의 미래를 위해 [Send..]를 선택해도 됩니다.



바탕 화면 색상 선택입니다.

skip 해도 됩니다.



추가 설치관련 입니다.

 

그냥 skip 합니다.



구매한게 아니니 Evaluate for free를 선택 하고

[Evaluate]를 선택 합니다.

 

이제 설치된 WebStorm을 실행해 봅니다.

저는 설치 중에 실행을 선택해서 자동으로 실행 됩니다.




설치가 완료 되었습니다.


- copy coding -


git 무설치 버전을 사용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설치를 하지 않기 때문에 압축을 푸는 수준입니다.


git install portable windows

git 사이트에 접속합니다.

https://git-scm.com/


다운로드 경로는 2개가 있는데 우측 모니터 모양을 클릭하면 바로 갑니다.



좌측 [Downloads]를 클릭하면 운영체제 별 다운로드 창이 나오는데 Windows를 선택 합니다.



두개 중 어떤걸 선택 해도 아래와 같은 페이지에 도달 합니다


아니면 처음부터 바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주로로 접속 합니다.


https://git-scm.com/download/win



여기에서 하단 Portable에 있는 링크를 자신의 운영체제 bit에 맞게 다운로드 받습니다.

설치를 위해 다운로드 받은 파일을 실행합니다.

PortableGit-2.19.1-64-bit.7z.exe



압축을 풀어줄 위치를 선택 합니다.

각자 자신의 컴퓨터에 Path를 잡아주고 [OK] 버튼을 클릭 합니다.



압축이 풀립니다.



MinTTY(git-bash.exe)를 실행해 봅니다.



Windows command(git-cmd.exe) 용을 실행해 봅니다.



무설치 버전 설치가 완료 되었습니다.


- copy coding -

 

프로그램 개발을 Local에 두고 한곳에서만 개발하기 보단 git에 두고 여러 곳에서 개발을 하거나

팀을 만들어 프로젝트를 하기 위해 git를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git install windows

git 폼페이지  (https://git-scm.com/)

접속하면 우측 하단에 윈도우즈용 설치파일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링크가 있습니다.


글릭하면 자동으로 Git-2.20.1-64-bit.exe 파일이 다운로드 됩니다.



 

설치 파일의 bit 변경이나 portable용을 다운 받으려면 클릭시 나오는 페이지에서 선택을 하면 됩니다.


https://git-scm.com/download/win



만일 다른 운영체제용 설치파일을 다운로드 하려면 최초 접속 화면에서 좌측의 [Downloads]를 선택 합니다.

여기서 원하는 운영체제를 선택해서 파일을 다운로드 받습니다.


 

여기서는 윈도우즈용 64-bit 파일로 설치를 하겠습니다.

설치는 그냥 [Next] 버튼만 누르면 되는 수준입니다.


Git-2.20.1-64-bit.exe

파일을 실행 합니다.



[실행] 버튼을 선택 합니다.



[Next] 버튼을 선택 합니다.



설치 위치도 변경하지 않으려면 그냥 [Next] 버튼을 선택 합니다.



컴포넌트도 그냥 [Next] 버튼을 선택 합니다.



메뉴폴더도 Git으로 사용하고 [Next] 버튼을 선택 합니다.



에디터 리스트 중 선호하는 에디터가 있다면 선택을 해줍니다.



없다면 기본 편집기를 사용하고 [Next] 버튼을 선택 합니다.



Windows용이니 그냥 [Next] 버튼을 선택 합니다.



웹보안은 OpenSSL을 기본으로 Root CA를 이용하시면 아래거 선택하시고

[Next] 버튼을 선택 합니다.



Windows Style로 선택하고 [Next] 버튼을 선택 합니다.



터미널을 선택하는 건데요.

MinTTY은 아래처럼 생겼고 명령이 unix 스럽습니다.



설정 하는것도 좀 있고요.



[Next] 버튼을 선택 합니다.



[Install] 버튼을 선택해서 설치를 진행 합니다.



설치가 진행 됩니다.



[Finish]를 선택해서 설치를 종료 하고 Git Bash를 실행시켜 봅니다.

 

ls –al을 실행시킨 화면 입니다.



잘 설치가 되었습니다.


- copy coding -


1···101112131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