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전에는 디스크가 하나로 파티션이 잡혀 있으면 파티션을 나누기 위해 운영체제가 삭제되고 다시 설치하는 등의 작업을 하였는데 이제는 사용 중에 파티션을 나누어도 이상이 없네요.

작업 방법은 간단해서 그림만 보아도 쉽게 이해가 되겠지만 간단히 설명을 추가해 봅니다.

 

우선 저장 공간이 어느정도 인지 확인을 하기 위해 탐색기를 열어 봅니다.


windows 10 파티션


두개로 나누어도 충분한 용량 이군요파티션 작업은 [컴퓨터 관리] 응용프로그램을 이용해서 진행 합니다.  [컴퓨터 관리] 프로그램은 검색을 통하여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windows 10 파티션


실행해 보면 화면 구성은 예나 지금이나 별로 달라진게 없네요.


windows 10 파티션


디스트 0Windows (C)가 보입니다이걸 나눠야 하니 마우스를 대고 우측 버튼을 클릭해 줍니다.


windows 10 파티션


기존 볼륨을 축소하기 위해 [볼륨 축소]를 선택 합니다.  


windows 10 파티션


그럼 어느 정도 축소할 것인지 입력을 합니다그리고 [축소] 버튼을 클릭 합니다.


windows 10 파티션


C:가 축소 되었네요. 그리고 할당되지 않은 공간이 남았습니다이 공간에 새로운 볼륨을 만들면 되는데 역시 마우스를 대고 우측 버튼을 클릭 합니다.


windows 10 파티션


[새 단순 볼륨]을 선택 합니다


windows 10 파티션


이제 부터는 아무 생각 없이 [다음] 버튼을 클릭 하면 됩니다.


windows 10 파티션


파티션을 다시 잘게 나누려면 여기서 크기를 정하면 되는데 저는 그냥 그대로 하나의 볼륨으로 하기 위해 [다음] 버튼을 클릭 합니다.


windows 10 파티션


여기서도 정해준대로 그냥 [다음] 버튼을 클릭 합니다.


windows 10 파티션


포맷을 하기 위해 [다음] 버튼을 클릭 합니다 


windows 10 파티션


다음 버튼만 누르다 보니 벌써 끝이 났네요어떻게 잘 나누어 졌는지 [마침] 버튼을 클릭 하고 확인해 봅니다.


windows 10 파티션


C:만 존재하던 디스크에 D: 영역이 생겼습니다탐색기를 한번 볼까요?


windows 10 파티션


여기에도 D:가 있군요파티션을 나누는 이유는 다양하겠지만 개인적으로는 운영체제에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하나의 파티션인 경우 데이터까지 날려야 하는 상황이 발생 합니다파티션을 나누어 놓으면 운영체제에 문제가 있으면 운영체제만 새로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최악의 경우에는 다른 컴에 디스크를 연결해서 D: 영역의 데이터를 백업 할 수도 있습니다.


- copy coding -

 

USB에 윈도우 10을 설치하고 아무 컴퓨터에나 꽂으면 자신만의 작업 환경으로 작업이 가능하며 이동하며 작업을 해야 하는 경우에는 컴퓨터를 가지고 다니지 않아도 개인 컴퓨터 처럼 사용이 가능 합니다

 

Windows 10은 마이크로소프트에서 무료로 다운받아 설치가 가능 합니다, 시리얼 번호는 구매를 하던가 개인적으로 해결을 해야 합니다.

 

 

1. Windows 10 다운로드

 

 

Windows 10을 다운 받으려면 마이크로소프트 사이트에 접속 합니다.

 

 

https://www.microsoft.com/ko-kr/software-download/windows10

 

USB Windows 10 설치

 

지금 도구 다운로드를 클릭 하면 작은 용량의 파일을 하나 다운로드 합니다.

 

USB Windows 10 설치

 

windows 10을 바로 다운로드 하는 것이 아니라 조건에 맞게 제공 하기 위한 설치 안내 파일이라고 이해 하시면 됩니다다운로드 받은 MediaCreationTool1809.exe 파일을 실행 합니다.

 

 

잠시 서버와 연결을 준비 하고 사용권 동의 화면이 나옵니다.

 

USB Windows 10 설치

 

동의 버튼을 클릭 하면 다음으로 넘어 갑니다.

 

USB Windows 10 설치

 

원하는 작업은 다른 PC용 설치 미디어 만들기를 선택 하고 다음을 클릭 합니다.

 

USB Windows 10 설치

 

처음 화면에서는 각 선택 값을 변경할 수 없도록 되어 있습니다.  아래 이 PC에 권장 옵션 사용 체크를 해제 하면 위에 있는 조건들을 수정할 수 있습니다.  선택이 완료 되면 다음 버튼을 클릭 합니다.  저는 그냥 다음 버튼.

 

USB Windows 10 설치

 

temp 파일용 C: 폴더에 용량이 부족하면 진행 하다가 중단이 됩니다.  C: 용량을 체크 하고 진행하세요용량이 충분하면 아래 화면이 나옵니다.

 

USB Windows 10 설치

 

ISO 파일을 선택 하고 다음 버튼을 클릭 합니다.

 

USB Windows 10 설치

 

다운받을 폴더를 선택 하고 저장 버튼을 클릭 합니다.

 

USB Windows 10 설치

 

드디어 다운로드가 진행 됩니다.

 

 

몇 분 후

 

USB Windows 10 설치

 

다운로드가 완료 되었습니다.

 

 

2. WinToUSB 설치

 

2021년 12월 05일 수정

작동이 안된다고 하시는 분들을 위하여 최신(6.5) free 버전을 사용하에 테스트를 진행 하였고 잘 작동됨을 확인 하였습니다.  
한가지 기록이 안된 부분은 메인 보드 부팅시 BIOS가 예전 컴퓨터는 MBR(Legacy)을 지원하였는데 최근에는 UEFI를 지원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두가지 모드를 BIOS에서 선택이 가능한 메인보드도 있으니 UEFI이외의 모드로 선택이 되었는지 확인 후 사용 하세요.
WinToUSB는 MBR은 무료이고 UEFI는 유료 입니다.

 

이제 Windows 10USB에 설치 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다운받습니다여기서는 WinToUSB를 이용 합니다.   

 

https://www.easyuefi.com/wintousb/index.html

 

 

https://wintousb.kr.uptodown.com/windows/download

 

 

다운로드한 wintousb-3-9.exe 파일을 실행 하여 설치 합니다설치 방법은 다음 버튼만 클릭하는 간단한 수준 입니다그냥 이미지만 보시면 알 수 있습니다.

 

USB Windows 10 설치

 

. 여긴 확인 버튼을 선택 합니다.

 

USB Windows 10 설치

 

사용권 계약에 동의하고 다음을 선택 합니다.

 

USB Windows 10 설치

 

다음을 선택 합니다.

 

USB Windows 10 설치

 

또 다음을 선택 합니다.

 

USB Windows 10 설치

 

한번 더 다음을 선택 합니다.

 

USB Windows 10 설치

 

이젠 설치를 선택 합니다.

 

USB Windows 10 설치

 

그냥 구경만 합니다.

 

USB Windows 10 설치

 

설치가 완료 되었습니다이제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USBWindows 10을 설치하도록 하겠습니다설치도 클릭 몇 번만 해주면 완료 됩니다.

 

 

3. Windows 10 설치

 

설치한 wintousb 파일을 실행 합니다.

 

USB Windows 10 설치

 

프로그램을 시작 하면 업데이트 확인 창이 나오는데 확인 버튼을 클릭 합니다.

 

USB Windows 10 설치

 

다운받은 Windows 10.iso 파일 위치를 설정 하고 설치할 운영체제를 선택 합니다.  windows.iso의 출처에 따라 운영체제의 종류가 다르게 보일 텐데 그 중에 하나를 선택 하면 됩니다. 그리고 다음을 선택 합니다.

 

USB Windows 10 설치

 

팝업 창에서 파티션 포맷은 MBR을 선택 하고 예를 누르고 메인 창에서 다음 버튼을 클릭 합니다.

 

USB Windows 10 설치

 

USB를 포맷합니다.

 

USB Windows 10 설치

 

레거시를 선택 하고 다음 버튼을 클릭하여 설치를 진행 합니다.

 

USB Windows 10 설치

 

설치가 진행 됩니다.

 

USB Windows 10 설치

 

설치가 완료 되었습니다이제 BIOS에서 USB 부팅을 선택 하고 사용하면 됩니다.


윈도우 화면의 해상도를 키우지 않고도 돋보기 기능을 이용하여 일정 부분을 확대해서 볼 수 있습니다.


windows7 magnifying glass


시작 단추 검색 창에서 돋보기를 검색 하거나 단축키로 윈도우 기’ + ‘+’ 를 누르면 돋보기를 사용 할 수 있습니다.

 

돋보기는 설정을 담당하는 창과


windows7 magnifying glass


결과를 보여주는 창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windows7 magnifying glass


확대와 축소는 설정 창의 둥근 모양의 ‘-‘‘+’ 버튼을 이용합니다.


windows7 magnifying glass


위 그림을 400%로 확대한 경우 다음처럼 보입니다.


windows7 magnifying glass


마우스 포인트의 움직임을 따라 보기 창에 확대 이미지가 보이는데 커서와 창이 많이 떨어져 있으면 왔다 갔다 하며 보기 힘든데 이련 경우에는 보기 창을 마우스로 클릭해서 보고 싶은 곳으로 끌고 다니면서 보면 훨씬 편리 합니다.

 

돋보기 기능을 사용 중에는 설정 창이 돋보기 모양으로 변경이 되는데


windows7 magnifying glass


이때 다시 돋보기 모양을 클릭 하면 설정을 할 수 있도록 변경이 됩니다해상도를 변경 하지 않고 잠시 일부분을 확대 해서 보기에는 참 좋은 기능입니다.



가끔씩 파일 또는 폴더를 복사, 삭제, 이동 하는 경우에 분명히 종료를 했는데도 사용 중 이라는 메시지와 함께 작업이 불가능한 경우가 있습니다보통은 운영체제를 다시 시작해서 작업을 하는데 작업 중인 파일이 많은 경우 경우 상당히 화가 나는 일 입니다


windows_process_find


이런 경우에 마이크로 소프트에서 제공하는 프로그램을 사용하면 쉽게 어느 프로세스에서 사용 중인지 확인이 가능합니다.  다운로드는 아래 사이트에서 받으면 됩니다.


https://docs.microsoft.com/en-us/sysinternals/downloads/process-explorer


windows_process_find


다운로드 받은 파일의 압축을 풀어 줍니다

설치 과정이 필요 없이 사용이 가능합니다.


windows_process_find


운영체제에 맞게 32는 procexp.exe, 64 procexp64.exe를 실행 합니다.


windows_process_find


현재 실행 중인 프로세스들이 보입니다.

 

이제 특정 파일 또는 디렉토리의 사용 여부를 찾아봅니다.

Ctrl + F를 사용하여 검색 창을 오픈 합니다.

키워드 입력란에 전체 경로를 입력 하고


windows_process_find


[Search버튼을 클릭 해서 검색해 봅니다.


windows_process_find


ProcessWinWord가 사용 중이라고 하는군요.

전혀 다른 디렉토리의 워드 파일 2개를 열고 하나를 닫았는데도 아직 사용 중이라고 나오는 경우 입니다어째든 재시작 보다는 단순히 나머지 워드 파일을 닫고 하려던 작업을 진행하니 잘 되는군요.



1234567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