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주 일어나지는 않지만 가끔 작업을 하던 창이 메인 창에서 벗어나는 경우가 발생 합니다화면 밖에 위치 하기 때문에 꺼내올 수도 없고 저장하지 않은 작업의 경우에는 종료할 수도 없고 어떤 프로그램은 종료를 하고 다시 시작을 해도 최종 위치를 기억하고 계속 숨어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파일 탐색기가 작업 표시줄 아래로 내려간 상태입니다자세히 보면 뭔가 있는 것 같기도 하고...


hidden_window


꺼내보려고 마우스를 가져가면 작업 표시줄이 벌떡 올라와 버려서 꺼낼 수가 없습니다.


hidden_window


이럴떈 작업 표시줄에 마우스를 놓고 우측 버튼을 누른 후 팝업 메뉴에서


hidden_window


- 계단식 창 배열(D)

- 창 가로 정렬 보기(H)

- 창 세로 정렬 보기(I)


중 하나를 선택 하면 숨어 있던 창이 밖으로 기어 나와 바탕 화면에 배열 됩니다.


hidden_window


windows 10의 경우도 동일하게 작업 하면 됩니다.


hidden_window


전원 설정은 개인의 작업 스타일에 따라 선택을 하면 되는데 여기서는 저의 설정 상태를 기준으로 설명 하고 각자 설정 값을 필요에 따라 수정하면 됩니다저의 경우는 화면 잠김 상태로 퇴근을 해도 작업 중이던 다운로드는 계속 진행 되고 원격에서도 접속 가능하도록 설정을 했습니다.

Windows 107과 최종 설정 화면은 동일 합니다..

 

1. Windows 10

 

1.1 전원관리 창


윈도우즈 10에서 전원관리 창을 찾으려면 Windows 설정 창을 열어야 합니다시작버튼에서 설정을 찾아 클릭 합니다.


windows10_power_set


기어 모양 두개다 동일하게 설정창을 오픈 합니다. 창이 나타나면 여러 기능 중 좌측 상단에 있는 [시스템]을 선택 합니다.


windows10_power_set


시스템 관련 좌측 메뉴에서 [전원 및 절전]을 선택하고 우측 상세 설정에서 배터리 사용시는 모두 5으로 선택 하고 전원 사용시는 모두 [없음]으로 설정 했습니다


windows10_power_set


배터리를 사용할 때는 컴퓨터 작동을 중지하여 배터리를 보호 해야 겠죠.

이제 상세 설정을 하기 위해서는 우측 하단에 [추가 전원 설정]이라는 파란색 글씨가 있는데  이걸 선택 하면 전원 옵션 팝업 창이 나타나며 여기서 다시 [설정 변경]. 파란 글씨를 선택 합니다


windows10_power_set


지금까지 설정한 전원 관련 옵션값들이 보입니다.


windows10_power_set


이제 하단 [고급 전원 관리 옵션 설정 변경(C)]을 선택해 주면 자그마한 [고급 설정] 팝업 창을 볼 수 있습니다.

 

1.2 고급 설정


windows10_power_set


[고급 설정] 팝업에서는 [하드 디스크] 메뉴와 [전원 단추와 덮개]를 주의해서 보시고 나머지는 필요한 항목만 선택해 주시면 됩니다. 저는 배터리를 사용할 때의 설정과 전원을 사용할 때의 설정을 분리해서 전원을 사용할 때는 계속 중단 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해놓았습니다


windows10_power_set


설정이 완료되면 확인 버튼을 클릭 합니다그리고 고급설정 창을 호출한 옵션 창에 가서


windows10_power_set


변경 내용 저장 버튼을 클릭해 줍니다.

가끔씩 진짜 중요한 작업을 켜놓고 퇴근 할 때 설정 값이 잘 반영돼 있는지 한번 확인해 보길 바랍니다.



전원 설정은 개인의 작업 스타일에 따라 선택을 하면 되는데 여기서는 저의 설정 상태를 기준으로 설명 하고 각자 설정 값을 필요에 따라 수정하면 됩니다저의 경우는 화면 잠김 상태로 퇴근을 해도 작업 중이던 다운로드는 계속 진행 되고 원격에서도 접속 가능하도록 설정을 했습니다.

 

 

1. 전원관리 창


윈도우즈 7에서 전원관리 창을 찾으려면 제어판을 열어야 합니다시작버튼에서 제어판을 찾아 클릭 합니다.


windows7_power_set


제어판 창이 나타나면 하드웨어 및 소리를 선택 합니다.


windows7_power_set


하드웨어 및 소리 메뉴에 전원 옵션을 찾아 봅니다.


windows7_power_set


전원 옵션 중 절전 설정 변경을 선택 합니다. 처음에는 균형 조정으로 설정이 되어있습니다.


windows7_power_set


고성능 라디오 버튼의 설정 변경을 선택 합니다.


windows7_power_set


이 창에서는 고급 전원 관리 옵션 설정 변경을 선택하면 상황 별 설정 창이 나타납니다.


windows7_power_set


각 상황 별 설정을 하는데 저의 경우는 모두 사용 안 함을 선택 했습니다설정을 하였으면 적용버튼을 클릭하고 확인버튼을 클릭 합니다.


windows7_power_set


변경 내용 저장 버튼을 클릭하여 저장 하면 설정이 완료 됩니다.

 

 

2 디스플레이 설정

 

이번에는 화면보호기를 설정 합니다컴퓨터는 내부에서 작동 되고 있지만 모니터는 화면이 꺼지도록 설정을 합니다. 1. 전원관리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어판 창을 열어 봅니다.


windows7_power_set


이번에는 우측에서 디스플레이 메뉴를 선택 합니다.


windows7_power_set


디스플레이 설정 화면에서 좌측 하단 개인 설정을 선택 합니다.


windows7_power_set


그리고 우측의 화면 보호기를 선택 합니다.


windows7_power_set


화면보호기에 어떤 이미지를 사용할지 선택 하고 컴퓨터를 몇 분간 사용하지 않으면 화면 보호기를 작동시킬 것인지 분 단위로 시간을 선택 합니다로그인 설정이 되어 있으면 체크를 해놓아 화면 보호기를 종료 하려면 비밀번호를 입력하도록 합니다설정이 다 되었으면 적용 버튼과 확인 버튼을 사용하여 설정을 완료 합니다.


위의 설정으로는 1분만 컴퓨터를 사용하지 않으면 검은색 화면 보호기가 작동 됩니다각자 자신에 맞는 설정을 변경해 보면서 사용하세요.



버전마다 설치화면이 조금씩 변경되고 있습니다. 자신이 가지고 있는 rufus 파일의 버전을 확인하고 작업을 진행 하시기 바랍니다. 작업 방법은 거의 차이가 없습니다.

최신 버전은 rufus 사이트에 가시면 받을 수 있고 저는 무설치(Portable) 버전을 추천 합니다. 제가 작업 중에 받은 파일을 첨부 합니다이 파일은 GNU GPL v3에 준하여 배포 합니다.

 

rufus-3.4p.exe

 

사이트에서 직접 다운로드 하시려면 아래 주소로 이동하시고 그림에 나와 있는 곳에서 원하는 형태의 파일을 다운로드 받으시면 됩니다.


https://rufus.ie/


windows_install_usb_Rufus


준비물


rufus 실행 파일

 - Windows 7 또는 10 iso 파일

 - 포맷해도 되는 USB 메모리 8GB 정도 용량


준비 되었다면 설치 USB 만들기를 시작 하면 됩니다.

USB 메모리를 미리 컴퓨터에 연결 합니다.

rufus-x.x.exe 파일을 실행 합니다.


windows_install_usb_Rufus


장치에 연결한 USB가 나타나는데 만일 자료가 들어있는 다른 USB가 있다면 혼동을 일으켜 포맷될 수 있으니 제거를 하는게 좋습니다선택 버튼을 눌러 운영체제 iso 파일을 선택 합니다.


windows_install_usb_Rufus


부트선택에 iso 파일명이 나타나는걸 확인하고 USB 볼륨 레이블을 적당한 이름으로 수정 합니다.

설정이 완료 되었으니 시작 버튼을 클릭하기만 하면 됩니다.

 

모든걸 기본값으로 하는데 파티션 방식만 설명 드리면

- MBR(Master Boot Recorder) : 예전 방식. HDD 2TB 까지 인식. 4개 파티션 가능

- GPT(GUID Partition Table) : HDD 8ZB 까지 인식. 128개 파티션 가능.

 

파일 시스템은 USB에 2GB이상 되는 파일을 저장 하려면 NTFS로 변경하고 작업을 진행 합니다.


설치를 하기 전에 USB에 있는 데이터가 모두 삭제 된다는 안내를 하게 됩니다작업하려는 USB가 맞는지 다시 한번 잘 보고 진행을 합니다.


windows_install_usb_Rufus


확인 버튼을 클릭하면 작업이 시작 됩니다.


windows_install_usb_Rufus


설치 USB 생성이 완료되면 특별한 완료 메시지가 나오지 않습니다.  장치 명이 설정한 값으로 변경이 되고 프로그래스 바가 완료로 표시 되면 완료되었구나 하시면 됩니다.


windows_install_usb_Rufus


이제 USB를 사용하여 Windows 7을 설치 할 수 있습니다그런데 USB 용량이 16BG인데 윈도우즈 설치로는 4GB 정도 사용하였습니다.


windows_install_usb_Rufus


10GB정도 여유가 있으니 Win7(G) 폴더로 이동해서 디렉토리를 생성하고 자료들을 저장해서 USB 본연의 데이터 저장 기능으로도 사용 합니다


windows_install_usb_Rufus


저는 OS 설치 후 필요한 util들을 저장해놓고 설치하자 마자 바로 장치 드라이버나 필요한 프로그램들을 설치 합니다.



1234567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