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gularconsole 모드에서 설치하고 간단한 프로젝트를 만들어 보았는데

어떤식으로 작동이 되는지 디렉토리와 파일 구조들을 한번 보도록 하겠습니다.

 

angular가 설치된 디렉토리의 구조와 파일 모양은 아래와 같은데요.




Angular 실행을 담당하는 ng 파일을 좀 볼까요?



node  ….ng  “$@”  이런 형태군요.

ng 명령을 사용해도 결국 node를 이용하고 나머지 ng를 포함해서 파라미터로 넘기는 군요

 

 

이젠 프로젝트가 생성된 디렉토리를 구경해 볼까요?



먼저 angular.json 설정 파일 내용을 보겠습니다.


프로젝트와 관련된 모든 설정이 이곳에 정의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잘은 모르겠지만 대충 살표보면


“sourceRoot”: “src”  - 프로젝트와 관련된 source src 디렉토리에 있고


“prefix”: “app”  - 시작을 app로 하며


“index”: “src/index.html”  -  초기 view 파일은 src 밑에 index.html 파일이고


“main”: “src/main.ts”  -  src 밑에 main.ts 라는 typescript 파일이 있군요.

 


그렇다면 src 디렉토리로 가서 첫 화면을 어떻게 불러 왔나 하나씩 풀어보겠습니다.



제일 먼저 index.html을 호출 한다고 했으니 열어보면



일반 html 형태의 파일인데 실제 화면 보여줄 <body>테그에는 내용이 없고


<app-root></app-root>


이게 눈에 띄는 군요.

그렇다면 <app-root></app-root> 이게 내용 이라는 건데 뭔가가 대체를 하겠다는것 같고.



그럼 main.ts는 뭐가 정의 되어 있을까요?




import { AppModule } from './app/app.module';

import { environment } from './environments/environment';

 

모듈과 환경설정이 어떤 파일인지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sourceapp을 접두어로 사용한다고 했으니 app으로 가면 뭔가 있겠네요.



app.module.ts를 보겠습니다.



import { AppRoutingModule } from './app-routing.module';

import { AppComponent } from './app.component';

 

여기서는 라우팅과 컴포넌트를 정의하고 있습니다.

화면과 관련있는 소스는 component입니다.

 


app.component.ts를 보겠습니다.



몇 줄 안되는 곳에 많은 내용이 들어있네요.

 

index.html 파일 하단에서 본적이 있는

<app-root></app-root>


이거에 맵핑할 app.component.html 파일을 정의 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title도 정의가 되어 있군요.

 

그렇다면 ./app.component.html 파일을 열어보겠습니다.



보이시나요?


localhost:4200 했을 때 보여준 웹 화면이 이것 이었습니다.


angular project analysis


index.html은 껍데기 이고 이 app.component.html app-root에 맵핑되어서

보여진 것이지요.


title도 여기서 위치 잡고 있습니다.


대충 파일들의 구조를 그려보면 이런 식으로 연결 되어 있습니다.



다음에는 페이지를 추가해 보면서 구조를 좀더 살펴 보겠습니다.


- copy coding -


angularjs가 버전이 높아지면서 기능 및 사용법이 많이 변경이 되었습니다.

초창기에는 그저 jQuery 비스무리 하구만 했는데 이제는 이걸 어떻게 배우지?”

할정도로 강력한 개발 도구가 되었습니다.

 


1. node.js 설치


angularnpm을 이용하여 설치 합니다.

그런데 npm node.js에 포함되어 있어 node.js를 설치할 때 같이 설치가 됩니다.

node.js가 설치되지 않았다면 먼저 node.js를 다운받아 설치 합니다.

 

https://nodejs.org/ko/



설치 방법은 다운받은 파일을 그냥 단순하게 next만 클릭 해주면 됩니다.


설치 참조 : node.js 다운로드 설치하기


설치된 디렉토리 구조를 볼까요?



잘 설치가 되었있군요.


 

2. angular-CLI 설치


이제 Angular CLI를 설치하겠습니다.

 

windows console창을 하나 열고 설치 명령어를 입력 합니다.

 

npm install -g @angular/cli

 

 

angular/cli@7.0.4 버전이 설치되었습니다.


설치가 잘 되었는지 확인해 봅니다.

angular를 설치하면 같이 설치되는 모듈들의 리스트도 있습니다.


ng –version



잘 설치 된 것 같습니다.

 

이렇게 하면 angular의 설치는 완료된 것 입니다.




3. angular 프로젝트 생성



이제 프로젝트를 생성하고 개발을 시작 하면 됩니다.


myNgProject 라는 이름으로 프로젝트를 생성 하겠습니다.


프로젝트 생성 명령어를 입력 합니다.

 

ng new myNgProject




angularrouting을 추가하는지와 css를 어떤것으로 할것인지 선택을 합니다.


키보드 위,아래 화살표 이동키로 움직이면 한칸씩 이동합니다.


저는 그냥 익숙한 CSSstyle을 작업하는 것으로 했습니다.



주르륵 프로젝트 관련 디렉토리와 파일들이 생성 됩니다.



파일 구조를 볼까요.



이제 생성된 프로젝트를 실행해 보겠습니다.

 

먼저 프로젝트 디렉토리로 이동을 합니다.

 

그리고 프로젝트를 실행 합니다.

 

ng serve



서버가 실행하면서 4200 port로 대기하고 있다는군요.


브라우저를 하나 열고 접속을 해봅니다.

 

http://localhost:4200


angular console test


기본적인 테스트는 잘 되는군요.


- copy coding -


eclipse에서 express 프로젝트를 생성해 보았는데요.

( [node.js] eclipse에서 express를 이용한 웹 서버 테스트 )


express로 프로젝트를 만들었을 때 자동으로 생성되는 디렉토리와 파일들이 있습니다.

이걸 간단하게 설명 하면


Dir / File

 설명

 app.js

 사이트에 대한 모든 정보가 들어 있습니다.

 port : 서버를 접속하기 위한 포트
 route 정보 : 접속 url에 따른 서비스 호출

 /public

 화면을 보여주는데 필요한 리소스 들로 image, javascript, css등이 위치 합니다

 /routes

 기능 또는 서비스별 view의 위치

 /views

 view 관련 파일들


기본적으로 생성된 디렉토리 하위에 필요한 디렉토리와 파일을 생성하면 됩니다.

 

그럼 생성된 파일들의 구조를 살펴 보겠습니다.




하나씩 따라가 볼까요?


1.1) app.js 파일에서

1.2) routes = require('./routes')

-> routes ./routes 디렉토리를 대입하고

1.3) app.get('/', routes.index); 

    -> ‘/’ 로 접속하면 ./views/index.jade를 호출 하는데

1.4) layout


다음으로는


2.1) app.js 파일에서

2.2) user = require('./routes/user')

   -> user./routes/user를 대입하고

2.3) app.get('/users', user.list);

  -> ‘/users’로 접속하면 user.list를 호출하라고 합니다.

2.4) 이건 views를 호출하지 않습니다.

 

그럼 url을 하나씩 호출 해 보겠습니다.


http://localhost:3000/


viewsindex파일을 렌더링 합니다.


exports.index = function(req, res){

  res.render('index', { title: 'Express' });

};

 



http://localhost:3000/users


view 호출 없이 텍스트를 받아 왔습니다.

exports.list = function(req, res){

  res.send("respond with a resource");

};



- copy coding -



console에서 express 프로젝트를 만들어 테스트 해봤으니 이제 eclipse에서 해보겠습니다.


console mode는 아래 링크를 참조 하세요.

[node.js] express를 이용한 console 모드 웹 서버 테스트



eclipse에서 express 프로젝트 만들기는 거의 클릭만 하면 되기 때문에 상당히 쉽습니다.

 

먼저 신규 프로젝트를 만들어야 겠죠.


eclipse에서


File > New


를 선택 하면 Noje.js Express Project 가 보입니다.



안보이나요?


한번도 Express 프로젝트를 만들지 않았으면 안보일 수도 있습니다.

그때는 하단에 Other…를 선택 합니다.

 


Other… 를 선택 하면 창이 뜨는데 이곳에서 Node.js Express Project를 선택 합니다.



이것도 안보인다고요?

그럼 node.js plug-in을 설치하지 않아서 입니다.


nodejs eclipse 개발 환경 설정

링크를 선택해서 설치 방법대로 작업을 합니다.


어찌 되었든 둘중에 한가지 방법으로 Node.js Express Project를 선택하면

프로젝트 명을 입력하는 창이 나옵니다.


적당히 이름을 기입 합니다.

저는 myProject 라고 적었습니다.



[Finish] 버튼을 클릭하면 파일들이 주르륵 생기는 군요.

 


package.json 파일을 볼까요?



시작 하려면 node app.js라고 명령어를 사용 해야 하고

jadeclient 쪽을 구현 한다는 군요.

 

그럼 npm을 이용해 package.json 파일에 있는 것을 설치 해 봅니다.

 

프로젝트에 우측 마우스를 놓고 클릭 하면 중간 아래쪽에 Run As가 보입니다.

거기서 npm Install을 선택 합니다.



설치를 하면서 Console 창에 머라고 하네요.

 

. 설치를 다 했다네요.



Update도 해볼까요?

npm Install 바로 아래에 있습니다.



이번에도 Console 창에 머라 하는군요.

에러만 아니면 됩니다.



이제 필요한건 모두 설치가 끝났고 실행을 할건데

포트가 먼지 알아야 client에서 확인을 할 수 있겠죠?


app.js를 보니 포트는 3000 이라고 적혀 있습니다.

변경하려면 숫자를 고칩니다.



지금까지 키보드로 글자를 적은건 myProject 밖에 없네요.

 

잘 되는지 확인을 해볼까요?



이번에는 Run As 에서 Node Application을 선택 합니다.

 

Console 창을 볼까요?



3000번 포트로 Express server가 대기하고 있습니다.

 

그럼 웹 브라우저를 하나 열고 http://localhost:3000/ 을 입력하고 확인 합니다.

 

잘 나옵니다.


eclipse express


이번에도 해피엔딩입니다.


- copy coding -


1···109110111112113114115···118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