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에 WindowsVisual SVN Server를 설치하고 eclipse와 연동하는 것을 설명한적이 있습니다이번에는 우분투에 subversion을 설치하고 eclipse와 연동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ubuntusubversion을 설치 하는 것을 제외 하고는 작업하는 방법은 동일 합니다.  eclipse 부분은 설명을 간단히 진행 하도록 하겠습니다.  Visual SVN Server 4.0 연결은 다름 링크를 참고 하세요.

이클립스(eclipse) SVN 설치 연동


1. 설치

 

윈도우와 달리 우분투 에서는 간단한 명령어를 사용하여 설치가 가능 합니다.

$ sudo apt-get install subversion

 


2. 저장소 설정

 

프로젝트 작업을 진행 하기 위한 저장소를 하나 생성 합니다.

$ sudo mkdir /home/webadmin/svn

$ sudo svnadmin create /home/webadmin/svn/repository

생성된 디렉토리와 파일 정보입니다.


ubuntu subversion eclipse



3. 계정 설정

 

이제 생성된 저장소를 사용할 수 있는 사용자 계정을 생성 합니다.  ubuntu에 로그인 하는 계정이 아닌 SVN을 사용하기 위한 계정 입니다.


먼저 설정 폴더로 이동 합니다.

$ cd /home/webadmin/svn/repository/conf

어떤 파일들이 있는지 확인해 봅니다.

$ ls

authz, hooks-env.tmpl, passwd, svnserve.conf 4개의 파일이 있습니다.


ubuntu subversion eclipse


4개의 파일중 3개를 수정하여 사용자를 등록하고 접속을 허가하는 작업을 합니다.

 

먼저 접속 환경 설정을 수정 합니다. svnserve.conf 파일을 열고 편집을 합니다.

$ sudo vi svnserve.conf

파일이 열리면 우선 주석을 제거 하고 값도 수정해 줍니다.

[general]

anon-access = read

auth-access = write

password-db = passwd

authz-db = authz 

 

수정한 파일의 내용은 아래처럼 생겼습니다.


ubuntu subversion eclipse


이제 passwd 파일을 이용하여 접속 계정을 수정 합니다.

$ sudo vi passwd

파일을 열면 최초 기본적으로 예시를 하기 위해 2개의 계정이 주석으로 생성되어 있습니다. 모두 삭제하고 다시 만들거나 추가해도 되는데 저는 그중 하나를 선택해서 주석을 제거하고 비밀번호를 설정 했습니다.

[users]

harry = H@rryh@@

# sally = sallyssecret


ubuntu subversion eclipse


저장소의 접근 권한을 authz 파일에 입력 합니다.

$ sudo vi authz

파일을 열고 생성한 계정에 일기권한(r) 쓰기권한(w)을 입력 합니다.

[/]

harry = rw


ubuntu subversion eclipse



4. 서비스 시작/종료


서비스 시작 명령어 입니다.

$ sudo svnserve -d -r /home/webadmin/svn/repository


종료는 다음 명령어를 사용 합니다.

$ sudo killall svnserve



5. eclipse와 연동

 

우선 market place에서 subversion을 설치 한 상태에서 작업을 진행 합니다.  프로젝트에 마우스를 대도 우측 버튼을 클릭하여 팝업 메뉴에서 Team을 선택 합니다.


ubuntu subversion eclipse


아직 한번도 소스를 SVN에 등록하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현재는 두가지 옵션이 있습니다그중 Share Project를 선택 하여 소스를 등록 합니다. 


ubuntu subversion eclipse


접속 하려는 서버가 SVN이니 SVN을 선택 하고 Next 버튼을 클릭 합니다.


ubuntu subversion eclipse


Create a new repository location 라디오 버튼을 선택 하고 Next 버튼을 클릭 합니다.


ubuntu subversion eclipse


svn 주소를 입력 하고 Next 버튼을 클릭 합니다.  오랜만이라 그런지 Visual SVNhttps로 시작 해서 여기서 좀 헤매었습니다.


ubuntu subversion eclipse


폴더명을 그대로 사용하기 위해 체크 하고 Finish 버튼을 클릭 합니다.


ubuntu subversion eclipse


생성한 harry 계정 정보를 입력 하고 저장을 클릭 합니다.


ubuntu subversion eclipse


SVN 서버와 데이터를 비교하여 결과를 보여 주는데 처음 소스를 올리는 것이니 모두 + 표시로 나타납니다.


ubuntu subversion eclipse


프로젝트 명에 마우스를 놓고 우측 버튼을 클릭 해서 모두 Commit 합니다.


ubuntu subversion eclipse


커밋 하는 이유에 대해 comment 를 입력 하고 OK 버튼을 클릭 합니다.


ubuntu subversion eclipse


소스가 모두 서버에 반영되었습니다이제 끝없는 updatecommit의 늪에서 허우적거리면 됩니다.

작업환경

Ubuntu Desktop : version 18.04 LTS

오류 내용: sudo 명령 안됨.

오류 로그 : xxx is not in the sudoers file. This incident will be reported.


ubuntu sudo error


sudo 명령으로 작업을 하려는데 xxx is not in the sudoers file. This incident will be reported. 메시지와 함께 안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Ubuntu, sudo, sudoers


사용을 하려면 /etc/sudoers 파일에 계정을 등록 해줘야 한다고 하는데 root 권한이 있어야 파일을 열고 등록을 할 수 있습니다.  root 권한이 있으면 걱정을 하지 않을 텐데 없으니 참 답답 합니다그런데 본인이 우분투를 설치 하였는데 root 비번을 잊어버린 경우도 있겠죠.  이런 경우에는 설치시 등록한 계정을 이용하면 됩니다.  설치시 등록한 계정으로 로그인을 하고


Ubuntu, sudo, sudoers


root의 비번을 변경하거나 


$ vi /etc/sudoers

파일을 열고 sudo를 사용할 계정을 등록해 줍니다.


Ubuntu, sudo, sudoers


readonly 파일이므로 일반적인 방법으로 저장이 안되기 때문에 w! 명령으로 강제 저장을 합니다이번에는 sudoers 파일에 신규로 등록한 계정으로 sudo를 사용하여 root 비밀번호를 변경해 보겠습니다.


Ubuntu, sudo, sudoers


이제 sudo 명령이 잘 작동 합니다.


- copy coding -

'Sett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Galuxy S8 개발자 옵션 설정  (0) 2019.09.13
ubuntu subversion 설치 eclipse 연동  (0) 2019.07.11
weblogic 12c war 배포  (0) 2019.07.06
Ubuntu vsftpd 설치  (0) 2019.06.30
Ubuntu에 WebLogic Server 12cR2 설치  (0) 2019.06.26


단순 배포는 웹로직 서버 버전과 관계없이 간단하게 배포가 가능 합니다. 웹로직에 접속을 하여 로그인을 합니다.


weblogic war deploy


로그인은 설치시 입력한 계정을 사용 합니다.


weblogic war deploy


로그인 성공 후 보이는 화면인데 영문 모드에서 보면 Deployments로 나옵니다.


weblogic war deploy


한글 모드에서는 배치로 되어있습니다배치를 선택 하면 아직 아무것도 하지 않은 상태라 우측 배치에 아무런 항목이 없습니다추가를 하기 위해 설치 버튼을 클릭 합니다.


weblogic war deploy


배포를 하기 위해 기본 도메인부터 검색합니다.  미리 샘플로 작성한 war 파일을 도메인에 복사해놓았는데 보이는 군요.


weblogic war deploy


war 파일의 라디오 버튼을 선택 하고 다음 버튼을 클릭 합니다.


weblogic war deploy


어플리케이션으로 설치를 하는 것 이니 모두 기본값으로 하고 다음 버튼을 클릭 합니다.


weblogic war deploy


이름을 ewebTest로 변경 하였습니다. 나머지 선택은 모두 기본 값으로 두고 다음 버튼을 클릭 합니다.


weblogic war deploy


설정 값들을 볼 수 있습니다잘 선택된 것 같군요.  완료 버튼을 클릭 하면 웹로직에 war파일을 반영 합니다.


weblogic war deploy


설치된 구성 요소 내용입니다저장 버튼을 클릭해서 완료 합니다.


weblogic war deploy


모든 내용이 활성화 되었다는 군요이제 배포된 war에 접속이 되는지 확인해 보면 됩니다.


weblogic war deploy


war 파일 배포가 잘 되었습니다.


Ubuntu에 파일을 주고 받을 수 있는 FTP 기능을 추가 합니다.  vsftpd는 보안이 추가된 파일 전송 프로토콜 입니다설치도 상당히 간단 합니다.

 

$ sudo apt-get install vsftpd

 

이 명령어로 설치가 완료 됩니다설치가 되었으니 사용을 위해 설정을 수정 합니다.

 

$ sudo vi /etc/vsftpd.conf


파일을 열고 다음 라인을 찾아가 주석 제거 및 수정을 합니다.

write_enable=YES

local_umask=022

chroot_local_user=YES

listen=YES


Ubuntu vsftpd 설치


파일을 저장 하고 vsfptd를 시작 하도록 명령어를 입력 합니다.

 

$ sudo systemctl restart vsftpd

 

시작이 되었으니 ftp client 파일을 이용하여 접속을 시도해 봅니다.

 

UbuntuIP를 모른다면 다음 명령어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ifconfig

또는

$ hostname -I

 

확인된 IP를 이용하여 FTP로 접속을 합니다. 저는 Filezilla를 이용하도록 하겠습니다.


Ubuntu vsftpd 설치


IP와 계정 정보를 입력하고 연결 버튼을 클릭 합니다.


Ubuntu vsftpd 설치


잘 연결이 되었습니다이번에는 콘솔(명령 프롬프트)에서 접속 해 봅니다.

 

C:\Users\copycoding>sftp 192.168.70.132 22


Ubuntu vsftpd 설치


콘솔로도 연결이 잘 되는 군요

 

만약 연결이 되지 않고 오류가 발생 한다면

Network error: Connection refused


포트가 열려 있는지 확인 해 봅니다.

$ netstat -tlpn


Ubuntu vsftpd 설치


22번 포트가 없군요. vsftpdssh를 이용하기 때문에 먼저 설치해야 합니다.

전에 ssh 설치를 설명한 내용을 참고해서 설치 하고 사용해 봅니다.


linux ssh 설치 및 putty 접속


1···63646566676869···118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