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S에서 Free Tier를 사용하다 실제로 서비스를 하기 위해서는 프로젝트에 적합한 Hardware 사양을 선택해야 합니다.

여기서는 RDS를 기준으로 예상되는 요금을 계산하는 방법을 알아봅니다.  물론 EC2등도 동일한 방법으로 계산해 볼 수 있습니다.

 

 

1. 서비스 하려는 RDS 선택

 

RDSDB Server와 관련된 온디맨드 DB 인스턴스, 예약 인스턴스 이외에 추가로 데이터베이스 스토리지, 백업 스토리지, 스냅샷등등의 서비스가 추가되어야 합니다.  그래서 어떤 Server를 선택해서 운영할 것인지 미리 결정을 해야 요금 계산기를 사용할 때 편리하게 작업이 가능 합니다.

 

https://aws.amazon.com/ko/rds/postgresql/pricing/

 

Server의 종류는 위의 링크에 접속해서 적합한 기종을 선택 합니다.

 

저는 [온디맨드 DB 인스턴스] [다중 AZ 배포(읽기 가능한 대기 2)]를 사용하기로 했고 그중 db.m5d.xlarge 이것이 마음에 드는군요. 잘 기억하거나 별도의 브라우저 창으로 띄워놓습니다.

 

 

2. RDS 요금 계산 선택

 

이제 실제 비용을 계산하기 위해 아래 링크를 클릭해서 요금 계산 화면으로 이동 합니다.

 

https://calculator.aws/#/addService

 

 

해당 리전에 있는 서비스만 검색할지 전체 서비스를 검색할지 선택하는 항목이 나오는데 [Search by location type]을 선택해서 해당 리전에서 서비스 가능한 제품만 나오도록 합니다.

그리고 리전을 선택해주면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 리스트가 아래에 나열 됩니다.

 

 

 

리스트 중에는 EC2도 있지만 지금은 RDS를 하려고 하니 이건 건너띄고 좀더 아래로 내려가면

 

 

 

이렇게 RDS들이 모여있는곳이 있습니다.  여기서 저는 [Amazon RDS for PostgreSQL]의 요금을 계산해 보려고 합니다.  [구성] 버튼을 클릭하여 상세 견적 화면으로 이동 합니다.

 

 

 

이런식으로 양식이 시작하는데 [PostgreSQL 인스턴스 사양]에서 위에서 설명드린대로 미리 서비스 하려는 인스턴스를 선택하였다면 바로 찾아서 작업할 수 있습니다. 

저는 db.m5d.xlarge 을 서비스 하기로 했으니 찾아서 적용 합니다.

 

 

 

제가 찾는 인스턴스는 하단에 있네요.  선택을 합니다.

 

 

 

[PostgreSQL 인스턴스 사양]을 선택한 화면입니다.

[계산 표시]를 누르면 금액 계산 상세 내역이 나옵니다.

 

계산 양식의 아래에 다른 항목도 서비스에 필요한 만큼 설정을 합니다.

 

 

 

[스토리지] Database를 저장할 공간을 말합니다.  서비스 하는데 필요한 데이터의 합이 어느정도 발생할지 예상을 하고 스토리지 크기를 정합니다.

이게 제일 어려운것 같은데 처음 시작 할때는 좀 작은 크기에서부터 사용고 데이터가 늘어나면 확장하면 되겠죠.

 

 

 

스토리지에 맞추어 스냅샷도 설정 합니다.

항목 하나하나 선택하고 숫자를 입력할 때마다 좌측 하단에 월별 비용이 추가됩니다.

이런식으로 실제 서비스에 필요한 항목들을 한번에 모아서 예상 금액을 계산해 볼 수 있습니다.

보면 알겠지만 여기서 트래픽 비용은 제외된 금액이니 나중에 더 올라갈것을 예상해야 됩니다.

최종 금액은 1,805.90 달러이고 아무것도 선택 하지 않은 다중 AZ 배포의 금액이 1,752.90이었습니다.  중간에 스토리지나 스냅샷을 추가해서 증가한 금액이 53달라가 추가된거네요.

 

너무 비싸네요.  저는 포기해야 겠습니다.

 

여담.

처음에는 금액을 알아보려고 실제 서비스를 신청하면 마지막 부분에서 견적 비용이 나오는줄 알고 위와같이 선택하고 인스턴스 생성버튼을 눌렀습니다.

그런데 아무런 질문도 없이 바로 인스턴스를 생성하더군요.  주말 아침에 일찍 눈이 떠져서 한번 해본건데... 값자기 깜놀해서 생성을 중지시키려고 했는데 안되더군요. 죽는줄...ㅋㅋ

그러다가 침착하게 삭제 오류를 보니 [삭제 방지 프로텍트를 해제]하라고 적혀있어서 인스턴스 생성완료전에 설정을 변경하고 삭제를 하니 생성되던 인스턴스 3개가 삭제 되었습니다.

아직 한달이 안지나서 과금이 안된건가는 잘 모르겠네요.

 

- copy coding-

 

어제 GCPCentOS를 설치해 보았습니다.  오늘은 GCPVM으로 생성한 서버에 작업을 하기위한 FTP Telnet 접속 방법에 대해 알아봅니다.  SSH를 이용한 접속은 기본적으로 google cloud platform 에서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바로 접속이 가능 합니다.

 

 

SSH를 선택하여 확장하면 접속 가능한 방법이 나오는데 

 

 

 

일단 [브라우저 창에서 열기]를 선택해 봅니다.

팝업이 나타나고 잠시 기다리면 접속이 완료 됩니다.

 

로그인은 처음에는 vm을 생성한 google id로 로그인이 되는데 root 권한을 얻으려면 아래 명령을 입력합니다.

sudo su -

 

 

 

이제 외부 프로그램 puttyfilezilla로 접속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봅니다.

 

1. RSA 키 생성 및 저장

2. 공개키 GCP 등록

3. 개인키 filezilla 등록 접속

4. 개인키 putty 등록 접속

 

이와같은 순서로 진행하면 됩니다.

 

 

 

 

 

 

1. RSA 키 생성

 

키를 생성하기 위해 putty에 접속해서 프로그램을 하나 다운로드 받습니다.

putty 사이트에 접속하여 

 

https://www.putty.org/

 

 

[here] 텍스트를 클릭하면 다운로드 리스트가 나오는데

 

 

 

리스트 중에

puttygen.exe (a RSA and DSA key generation utility)

항목중 자신의 시스템에 적합한 파일을 다운로드 받습니다.  저는 Windows 10을 사용해서 첫번째 파일을 선택 했습니다.

 

 

 

다운받은 파일을 실행하고 [Generate] 버튼을 클릭 하면

 

 

 

키 생성이 진행 되고

 

 

잠시 후 키 생성이 완료 됩니다.

상단 텍스트 박스에 보이는 길게 보이는 키가 공개키 입니다.

Key Comment 에 있는 값이 로그인 ID가 됩니다.  여기서는 기본 값으로 키를 생성 하였는데 만일 ID를 정해주고 싶으면 Key CommentID를 기입하면 됩니다.  , Key Comment에 있는 값이 로그인 아이디가 됩니다.

 

생성된 키를 저장해야 합니다.  [Save private key] 버튼을 클릭해서 임의의 위치에 저장 합니다.

 

 

 

[Save public key] 버튼도 클릭해서 저장해 둡니다.

 

 

 

실제 사용하는 키는 private key 이고 public key는 다시 사용하게 되는 경우를 위해 저장을 합니다.

 

 

 

2. 공개키 GCP 등록

 

Key Generator 프로그램 상단에 생성된 공개키를 복사합니다.

그리고 Google Cloud Platform에서 좌측 [메타 데이터] 메뉴를 선택 합니다.

 

 

 

우측에 [SSH 키 추가] 버튼이 보이는데 클릭 해서 다음 화면으로 넘어갑니다.

 

 

 

복사한 키를 붙여넣기 하고 [저장] 버튼을 클릭합니다.

 

 

 

공개 키가 GCP에 저장 되었습니다.

 

 

3. 개인 키 filezilla 등록 접속

 

 

이제 개인 키를 이용하여 FTPGCP 서버에 접속을 하도록 합니다. 

 

 

먼저 filezilla에 개인 키를 등록하기 위해

편집 > 설정

메뉴를 선택 합니다.

 

 

 

설정 창이 나오면 좌측 메뉴에서

연결 > SFTP

메뉴를 선택 하구 우측에서 [키 파일 추가] 버튼을 클릭합니다.

 

 

 

저장해 놓은 개인 키를 선택하고 [열기] 버튼을 클릭 합니다.

 

 

 

키 파일을 추가하였으면 좌측 하단의 [확인] 버튼을 클릭하면 반영 됩니다.

 

Google Cloud PlatformVM 인스턴스에 있는 외부 IP를 이용하여 접속을 하면 되는데

 

 

 

호스트에 sftp://34.123.13.xxx 이런식으로 입력하고

사용자명에 기본 설정 또는 변경한 ID를 입력 합니다.

마지막으로 [빠른 연결] 버튼을 클릭하면

 

호스트 키에 대한 체크와 확인을 해줍니다.

 

 

서버에 접속이 완료 되었습니다.  ftp가 작동하는지 확인해 봅니다.

 

 

파일 2개를 올려보았는데 잘 작동이 되는군요.

home 밑에 vm을 생성한 IDkey를 생성할때 사용한 ID 두개의 사용자가 보입니다.  key 생성에서 ID를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사용자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4. 개인키 putty 등록 접속

 

이제 putty를 이용해서 SSH로 접속해 보겠습니다.  filezilla를 해 보았으니 이건 너무 쉽겠네요.

 

 

 

putty를 실행하고 좌측 메뉴에서

Connection > SSH > Auth

를 선택 합니다.  그리고 우측에서 Private key... 부분의 [Browser] 버튼을 클릭 하고 개인 키를 선택해주면 위와 같이 키 설정이 완료 됩니다.

 

 

이제 좌측 메뉴 Session에서 IPSession 명을 입력하고 [Save]를 클릭해서 설정을 저장 합니다.

접속을 위해 [Open] 버튼을 클릭 합니다.

 

 

창이 나타나면 login as:key 생성시 사용한 key comment 명을 입력합니다.  만일 키를 생성할 때 key comment에 다른 ID를 입력하였으면 그것으로 입력해 줍니다.

엔터키를 클릭하면 password 필요 없이 바로 접속이 됩니다.

바로 전에 ftp로 업로드한 파일 2개가 보이는 군요.

 

- copy coding -

 

Google Cloud Platform에서 Server를 이용하기 위해 설정을 해보려고 하는데 내용이 복잡한것 같아 개인적으로 정리를 해봅니다.

 

1. 구글 계정 및 로그인

2. 본인 확인 문자 확인

3. 결제 정보 확인

4. VM 인스턴스 생성

이런 순서로 진행을 합니다.

 

 

1. 구글 계정 및 로그인

 

준비해야할 사항은 구글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로 크롬을 사용해야 하고 구글 계정이 있어야 사용이 가능 합니다.  구글 계정이 없다면 회원가입 하고 로그인을 하고 진행하는것으로 설명 합니다.

 

먼저 크롬에서 gcp로 검색을 하거나

https://cloud.google.com/

로 접속 하면 Google Cloud에 대한 안내 페이지가 나옵니다.

 

 

[무료로 시작하기]를 클릭 합니다.  만약 Console Cloud Platform 까지 진행을 했다면 화면에 Console로 이동 버튼 또는 콘솔 텍스트가 보이고 그걸 클릭 합니다.

 

 

2. 본인 확인 문자 확인

 

 

서비스 약관을 모두 체크해주고 [계속] 버튼을 클릭 합니다.

 

 

 

본인 확인을 위한 핸드폰 번호를 입력합니다. 010-이 아니고 10-xxxx-xxxx 이렇게 입력을 하면 됩니다.  [코드 전송] 버튼을 클릭하고 핸드폰으로 번호가 오길 기다립니다.

 

 

 

잠시후 핸드폰으로 문자를 받으면 입력을 하고 [확인] 버튼을 클릭 합니다.

 

 

3. 결제 정보 확인

 

GCP 사용료에 대한 지불용 신용카드를 등록하는 절차가 진행 됩니다.  사용하지 않으면 과금이 되지 않는다고 하니 일단 기입을 합니다.  구글 맵등을 사용할 때에도 카드 등록을 했지만 과금이 된적은 없었습니다.

 

 

결제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고객정보 확인으로 전화번호를 입력하고 [코드 전송]을 클릭하면 핸드폰으로 문자가 오는데 이걸 입력 하고 [계속] 버튼을 클릭 합니다.

 

 

 

카드정보를 입력하고 [무료 평가판 시작하기] 버튼을 클릭 하면 설문 창이 나오는데

 

 

 

그냥 닫기를 하고 진행 하면 됩니다.

 

 

4. VM 인스턴스 생성

 

결제 정보까지 입력 했으면 Google Cloud Platform 화면이 나오고 이제 GCP를 사용 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여러가지 기능이 있지만 지금 목적은 가상머신을 만들어서 거기에 OS를 설치해보는 것이니 시작을 해봅니다.

 

 

좌측 메뉴에서 [Compute Engine]을 펼치면 [VM 인스턴스]를 볼 수 있는데 선택을 합니다.

 

 

 

VM 생성 첫단계 입니다.  [사용] 버튼을 클릭 합니다.

 

 

 

[인스턴스 만들기] 버튼을 클릭 합니다.  이제부터 VM 설정이 시작됩니다.  제가 사용한 설정이 본인에게 적합한 설정이 아닐 수 있으니 설정 값들을 잘 보면서 선택하면 됩니다.  그리고 3개월 300 크래딧이 주어지니 3개월만 테스트 해보는 것이라면 월100정도 사용하면 되니 서버 용량을 크게 잡아도 되겠습니다.

 

 

 

이름은 적당하게 적어 주고 리전은 아이오와 사우스캐롤라이나, 오리건이 무료라고 해서 선택을 했습니다.

머신의 시리즈 및 머신 유형은 제일 저렴한것으로 선택을 했습니다.

우측편에 선택하는 내용에 따라 바로바로 사용료가 계산 됩니다.

 

 

 

부팅 디스크의 [변경] 버튼을 클릭하면 OS를 변경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디스크 용량이 변경되거나 금액이 올라갈 수 있습니다.

아무리 해도 금액이 0으로 되지는 않는군요.

[만들기] 버튼을 클릭해서 생성 합니다.

 

 

 

VM 인스턴스 생성이 완료되었습니다. 

다음번에는 생성된 서버에 FTP Telnet 접속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 copy coding -

 

외장 하드나 USB없이도 크기가 크지 않은 파일들은 인터넷을 이용하여 cloud 저장소에 올려놓고 어디서든 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무료 서비스들이 많이 있는데 다른곳 보다는 용량이 좀 많은 MEGA에 대해 테스트 해 보았습니다.

 

1. 회원 가입

 

개인 저장소이므로 어쩔 수 없이 회원가입을 진행해야 합니다.

회원가입이라고 해봐야 메일주소만 적어주고 나머지는 대충 아무거나 적어도 됩니다.

메일 주소가 여러개면 저장공간도 늘어나겠죠.

 

https://mega.nz/register

 

 

 

 

필수항목과 체크를 하고 [계정 생성] 버튼을 클릭하면 계정 활성화 메일이 등록한 메일로 발송이되니 메일을 확인 합니다.

 

 

[계정 활성화] 버튼을 클릭해 주면 이제부터 바로 저장공간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메인 폴더에는 그냥 심심하지 않도록 이미지 하나가 들어있습니다.

 

 

2. 폴더 생성

 

폴더를 생성하거나 그냥 메인에 파일을 저장해도 되는데 일단 폴더를 하나 생성해 봅니다.

 

 

 

[새 폴더]를 클릭하면 폴더명을 입력할 창이 나오고 여기에 이름을 입력하고 [생성] 버튼을 클릭하면 blog라는 폴더 생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3. 파일 / 폴더 업로드

 

생성된 blog라는 폴더에 파일을 업로드 하기 위해 클릭합니다.

 

 

 

현재는 blog 폴더에 파일이 없다는 안내 표시가 나옵니다.  [업로드]에 마우스를 가져가면 로컬 컴퓨터의 폴더 전체를 올리거나 파일을 선택해서 올릴 수 있는 선택 메뉴가 나타납니다. 파일 올리기를 선택해서 파일을 올려봅니다.

 

 

 

파일 올리기에서는 여러개의 파일 선택도 가능합니다.  파일 선택이 완료되면 [열기] 버튼을 클릭하는것으로 파일 업로드가 완료 됩니다.

 

 

4. 파일 다운로드

 

업로드한 파일이나 폴더를 다운로드 하는 방법도 간단 합니다. 다운로드하려는 파일 또는 폴더등을 선택하고 다운로드를 하면 됩니다.  파일 하나만 다운로드 해보면

 

 

먼저 파일을 선택 하고 하단에 있는 화살표 아이콘을 클릭해 주면 로컬 컴퓨터의 [다운로드] 폴더에 다운로드 됩니다.

 

 

 

다운로드 전과 후의 파일 모양이 다른데 이건 파일 리스트 보기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우측 상단 빨간색 박스에 있는 리스트 또는 미리보기 선택에 따라 다르게 보이는 모습입니다.

 

 

5. 복구 Key 백업

 

제일 중요한 사항입니다.

회원가입시 입력한 메일로 복구 키 백업 안내가 오는데 MEGA 회원 정보를 분실하면 복구할 수 있는 방법은 복구 키로만 가능하니 꼭 백업 받아놓기를 바랍니다.

 

 

발송된 메일에서 [복구 키 백업] 버튼을 클릭하면

 

 

 

메가 사이트로 이동하며 파일 또는 텍스트로 저장할 수 있는 버튼이 제공 됩니다.

꼭 백업받아서 잘 보관하시어 데이터를 날리지 않도록 하세요.

 

- copy coding -


123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