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clipse를 다운받아 압축을 풀어주고 java도 다운받아 설치를 하였는데


eclipse를 실행하면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Failed to load the JNI shared library


java shared lib error


이 오류는 java patheclipse.ini 파일에 설정한 경우에 발생합니다.



발생 원인은 javaeclipse 설치 버전의 bit가 서로 달라서 입니다.

 

버전들을 확인해 볼까요?

 

java 버전 확인은 콘솔 창을 하나 열고


java –version


명령을 실행하면 확인이 가능 합니다.



실행이 안되는 eclipse는 어떻게 버전을 확인할까요?


eclipse.ini 파일을 열어보면 몇 bit인지 알 수 있습니다.



x86만 있다면 32bit 버전 입니다.



 x86_64가 있군요. 64bit 버전 입니다.

 

이렇게 java eclipse를 설치한 버전이 32bit인지 64bit인지 확인해서 하나로 통일 합니다.


이제 eclipse를 실행하면 됩니다.


- copy coding -


java를 오라클 사이트에 가서 다운로드 받아 설치합니다.

예전엔 java.oracle.com 이었는데 지금은 오라클 메인으로 가서 분기를 타게 해놓았네요.

귀찮게 쿠키 허용을 하라고 하는군요.

공짜는 없으니 agree 해줍니다.




 

벌써 버전이 11까지 나왔네요.


oracle java install




자신의 컴퓨터가 32bit 인지 64bit 인지 잘 확인하고 다운로드 합니다.

물론 64bit32를 사용해도 됩니다.

그보다는 eclipse를 사용하려면 eclipse와 버전을 동일하게 맞추는게 더 중요합니다.




다운로드한 파일을 설치 합니다. 그냥 계속 [Next]

 

설치가 완료되면 환경설정을 해야 합니다.

 

환경설정에 JAVA_HOME을 등록합니다.

저는 탐색기에서 > 컴퓨터를 선택하고 > 마우스 우클릭 > 속성 선택합니다.



그럼 제어판 창이 오픈 됩니다.



이번에는 [고급시스템설정] 을 선택하면 [시스템 속성] 창이 나옵니다.




[환경변수] 버튼을 눌러주면  [환경변수] 창이 나오고, 아! 창이 끊임없니 나오는군요.



이제 [새로만들기] 버튼을 눌러 [시스템 변수 편집] 창을 띄웁니다.




JAVA_HOME

D:\Java\jdk1.8.0_131

이곳에서 자신이 설치한 내용을 설정 해줍니다.

 

 Path에도 추가를 해주면 아무 디렉토리 에서나 실행을 할 수 있겠죠.



Path를 선택 하고 [편집] 버튼을 누른 후 Path 값을 추가해 줍니다.


;%JAVA_HOME%\bin




 

Java 를 설치버전이 아닌 경우에 eclipse를 사용하여 개발을 한다면

위에서 열심히 한 작업은 필요가 없습니다.

단순히 eclipse.ini 에 설정만 하면 됩니다.


버전별 Java  파일을 한곳에 몰아 놓습니다.




그리고 eclipse.ini 파일에 설정을 합니다.



-vm

C:\jdk1.7.0_21\bin\javaw.exe

 

프로젝트마다 java 버전이 달라서 개인적으로는 이런식으로 java path를 잡아주고 사용하는 것을 선호합니다.


- copy coding -


이번에는 개인적으로 사용법이 친숙한 eclipse를 이용해 개발환경을 설치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 eclipse 설치


node.jseclipse를 설치 하기위해 Eclipse 다운로드에 접속 합니다.


eclipse download


대표적인 프로그램만 리스트 되어있어서 상세 다운로드 페이지로 이동해야 합니다.

이미지 하단 [Download Packages]를 클릭하면 다양한 패키지가 나옵니다.

 

처음부터 https://www.eclipse.org/downloads/packages/ 이걸 사용할걸 그랬군요.



제가 찾는 건 Windows 64bit 인데 각자 운영체제에 맞추어 다운로드 합니다.



이클립스는 설치를 안해도 되는 장점 때문에 다운로드가 완료되면 압축을 풀고

사용하려는 디렉토리로 옮겨 주기만 하면 됩니다.


그리고 작업용 workspace 디렉토리도 하나 생성해 둡니다.




이제는 eclipse를 설치한 디렉토리로 돌아가서 eclipse를 실행합니다.




그리고 작업 디렉토리를 [Browse…] 버튼을 이용하여 위에서 만들어둔 workspace로 변경합니다.

이제 생성되는 모든 파일은 이곳에서 관리를 합니다.



[Launch] 버튼을 눌러 잘 뜨는지 확인합니다.




- node.js plug-in 설치


설정은 대충 되었고 이제 장을 볼 시간입니다. 시장에 가볼까요?


[Help] > [Eclipse MarketPlace…]를 선택해서



Eclipse Marketplace에서 검색 키워드로 node를 입력하고 검색을 합니다.


node를 찾았네요. install을 합니다.



파일들을 잘 다운로드 하고 있네요.



설치할 내용을 선택하고 확인해 달라는군요. 걍 다하라고 합니다.



[Confirm]을 클릭 합니다.




Licenses에 동의하고 [Finish] 버튼을 누르면 설치가 진행 됩니다. 잠시 커피 한잔.



- node.js 설치 확인


설치가 완료되면 eclipse를 재시작 합니다.


File > New > Other…를 열어봅니다.



? node가 보이질 안는군요.

노트북에서는 한번에 되었는데, 데스크 탑에서는 설치가 잘 안되었습니다.

그래서 다시 장에 가서 node를 다시 설치 합니다.


다시 설치를 하니 이번에는 설치 중에 팝업이 두기 나오는데 계속 설치를 진행 합니다.




노트북에서는 처음 설치할 때 위에 나온 팝업 2개가 나왔습니다.


이 팝업이 안나오고 설치가 되면 잘못 설치가 된것입니다.


그냥 한번 더 설치 하세요.



다시 한번


File > New > Other…를 열어봅니다.


eclipse가 재시작 되고 이제야 node가 나타났습니다.



아무래도 컴퓨터 마다 환경을 타는 것 같습니다.



설치도 되었고 프로젝트를 하나 만들어 볼까요?


지겹겠지만 한번더

File > New > Other…


Node를 확장시켜서 Node.js Project를 선택하고 [Next >] 버튼을 선택 합니다.




Project name 은 편하게 작성하시고 나머지는 기본으로 하고 [Finish]를 선택 합니다.

저는 Test  라고 했습니다.



프로젝트가 생성 되었습니다.



이제 프로젝트에 파일을 하나 추가합니다.



파일명을 HelloWorld.js 로 하겠습니다.



파일에 간단한 출력을 작성 합니다.



파일에 console.log("Hello World!"); 입력합니다.



파일이 만들어 졌습니다.


실행을 해볼까요?



HelloWorld.js 파일명에 마우스를 놓고 우클릭 > Run As > Node Application을 클릭 합니다.



짜잔!!



만약 위와 같이 결과를 볼 수 없고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js 파일을 만들고 위와 같이 실행을 했는데 오류가 발생 한다면?



파일을 못찾는다는 군요. . “node”라는 프로그램을 실행하지 못하겠다.


node.js를 설치하지 않아서 이거나 잘못 설치 된 것 입니다.


node.js 설치하기를 보면서 간단하게 설치 하시고 다시 실행 해보기 바랍니다.


이제 설치가 되었으니 코딩을 시작 하세요.


- copy coding -


 

node.js 개발을 위한 편집기를 소개합니다.

Visual Studio에서 제공하는 code의 설치 방법에 대해 간략히 설명 합니다.

 

Visual Studio Code 다운로드

사이트에 들어가면 무료로 다운로드를 받으실 수 있습니다.

운영체제가 윈도우가 아니라면 [Download for Windows] 우측을 눌러 필요한 파일을 다운 받습니다.





오늘 다운받으니 버전은 VSCodeUserSetup-x64-1.28.1.exe 입니다.


다운받은 파일을 실행을 해서 설치를 합니다.




[실행] 버튼을 클릭 합니다.


Visual Studio Code


[다음] 버튼을 클릭 합니다.


이거 또 괜히 만드는 듯한 느낌이 오네




계약에 동의함을 선택하고

[다음] 버튼을 클릭 합니다.



 

설치 위치를 선택합니다.

저는 C:\60GB 짜리라 공간이 얼마 안 남아 D:\에 설치 합니다.




메뉴 폴더를 설정합니다.

[다음] 버튼을 선택 합니다.




특별히 설정할게 없어서 저는 기본으로 두고

[다음] 버튼을 선택 합니다.




설치를 위한 환경설정이 완료 되었습니다.

[설치] 버튼을 눌러 설치를 진행 합니다.




설치가 잘 진행 되고 있습니다.




설치가 완료되었습니다.

 

[마침] 버튼을 선택하여 설치를 종료합니다.




code가 실행된 화면입니다.

단순 깔끔하네요.



설치 메뉴얼이 또 욕먹게 생겨서 뭐 하나 해보겠습니다.


 

Start에 있는 New file을 선택하면 편집화면으로 넘어갑니다.


스크립트를 하나 작성합니다.


아는게 없어서

console.log("Hello World!");

를 적어봤습니다.



코드를 작성했으면 저장을 해야겠죠.


상단 메뉴에서


File > Save As …를 선택해서 파일로 저장을 합니다.


파일형식을 JavaScript(*.js,…)로 설정하고 저장 합니다.


저는 HelloWorld.js로 저장 했습니다.



이제 콘솔 창을 하나 열어서 파일이 있는지 확인을 하고


node HelloWorld.js [엔터]

하면 Hello World!가 찍힙니다.



그렇습니다.


Visual Studio Code는 에디터라 실행은 console에 가서 해줘야 합니다.


그래도 일반 텍스트 편집기 보다는 한가지 편한게



요렇게 자동완성 기능이 있습니다.

 

다음에는 eclipse로 한방에 실행을 할 수 있도록 해보겠습니다.


- copy coding -


1···575859606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