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중인 컴퓨터에서 이런 저런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테스트하기 싫어서 현재까지는 VMware를 사용하여 손쉽게 많은 프로그램을 테스트 하였는데 한가지 단점은 리소스를 할당 하고 나면 사용할 수 있는 양이 적어져 불편 하였습니다.

이런 단점을 docker는 해결을 할 수 있다고 해서 설치를 해보았습니다.

 

작업 순서는

1. Docker 다운로드 및 설치

2. WSL 2 설치

입니다. 

 

여기서 WSL2 설치는 Docker 설치 중간에 실시 해야 하지만 Docker 설치와 같이 포함해서 글을 써보니 너무 복잡하게 보여 따로 설명을 달아놓았습니다.

 

도커 사이트에 접속해서 [Get Started]를 선택 하거나 직접 get started 페이지로 이동을 합니다.

 

https://www.docker.com/get-started

 

 

1. Docker 다운로드 및 설치

 

 

운영체제별로 다운로드를 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니 필요한 버전을 선택해서 다운로드 받습니다.

설치는 Next 버튼도 거의 없으니 그냥 사진을 보기만 하면 될듯 합니다.

 

 

 

 

 

설치가 다 되었군요.  컴퓨터를 재시작 하기위해 [Close and restart]를 클릭 합니다.

 

 

 

컴퓨터를 재시작하면 나오는 화면으로 [Accept]를 클릭 합니다.

만일 WLS2관련 오류가 나서 진행이 안된다면 2번 설명으로 넘어가서 완료를 하고 다시 여기로 와서 진행하면 됩니다.  오류가 없다는 가정하에 아래 내용을 진행 합니다.

 

 

간단한 사용 설명을 하는 것으로 오래 안걸리니 [Start] 버튼을 클릭해서 둘러 봅니다.

(중간생략)

 

 

우측에 검은 색은 cmd 창입니다. 명령어를 입력해서 결과를 볼 수 있습니다.

[Done]을 클릭 합니다.

 

 

마지막 단계로 좌측 하단 도커 아이콘 배경이 연두색으로 나오면 설치가 잘 완료된 것 입니다.

 

 

아직은 컨테이너가 없어서 할 수 있는게 없고 필요한것을 하나씩 설치를 해나가면 됩니다. 그러려면 계정을 하나 생성해야 합니다.  계정이 있다면 [Sign in] 버튼을 클릭합니다.

 

계정이 없다면 docker 사이트에서 [Sign Up] 버튼을 찾아 회원 가입을 진행 합니다.

 

https://hub.docker.com/signup

 

 

많은 내용을 기입하는게 아니니 금방 완료됩니다.  그럼 다시 작업하던 프로그램으로 돌아와서 [Sign In] 버튼을 클릭하고 가입한 회원 정보로 로그인을 합니다.

 

여기까지는 오류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의 진행 상황입니다.

만일 컴을 재시작하고 오류 팝업이 나온다면 아래 2번 항목을 참고 합니다.

 

 

2. WSL 2 설치

 

Docker를 설치하고 컴을 재시작 하였는데 다음과 같은 팝업이 뜨면서 진해이 안된다면

 

윈도우에서 리눅스를 사용하게 해주는 솔루션이 있는지 확인 하는 것으로 계속 [Restart] 버튼을 클릭 해도 소용이 없습니다.

 

해결 방법은 팝업에 있는 https://aka/ms/wsl2kernel 을 클릭하여 웹브라우저에서 설치를 진행 합니다.

 

 

 

파란색 글씨의 [x64 머신용 최신 WSL2 Linux  커널 업데이트 패키지]를 클릭하면 설치파일이 다운로드 됩니다.

 

 

다운로드가 완료되면 받은 msi 파일을 실행 합니다. 실행도 별거 없이 [Next] 버튼을 클릭해주면 됩니다.

 

 

 

설치가 완료되면 [Finish] 버튼을 클릭 하고 다시 팝업으로 돌아와

 

[Restart] 버튼을 클릭 하면 위의 1Docker 설치의 다음 단계로 진행 합니다.

 

- copy coding -

 

사실 노트북은 업그레이드 할 수 있는게 몇개 안되는데 이번에 구매한 노트북은 추가로 장착할 수 있는게 1개밖에 없습니다.

 

 

분해를 하기위해 뒤집어서 살펴보면 일단 뒷면에 나와 있는 동그란 모양에는 모두 나사가 있습니다.

 

 

나사를 풀기 위해 고무 패드는 뽀족한 금속으로 제거 하고 동그란 흰색 테이프(작은원)는 칼로 잘 떼어서 끈끈이가 달라붙지 않도록 놓아 둡니다.

 

 

 

9개의 나사가 있고 제거하려면 작은 십자(+) 드라이버를 사용해야 합니다.

 

뚜껑은 상단 가운데부터 못쓰는 신용 카드나 좀 단단한 종이를 사용해서 떼어내면 쉽게 제거가 됩니다. 노트북을 살때마다 업그레이드를 하기 때문에 뒷판 제거가 제일 관건인데 lg는 다른 제품에 비해 쉽게 제거가 가능 합니다. 물론 모든 기종을 해본건 아니지만...

 

 

 

뒷판 뚜껑에는 연결된 선이 아무것도 없습니다.

 

 

내부 모습은 생각보다 복잡하지 않아 놀랐습니다. 상단에 모든 전자 부속이 다닦다닦 붙어있네요. 가볍게 만들려고 한것 같은데 한번 떨어뜨리면 그대로 빠이해야 할것 같습니다.  예전에 컴팩 노트북을 업그레이드 할때 헤머로 내리처도 멀정할것 같은 구조로 되어 있어 좀 무거워도 안심이 되었는데 이건 항상 가방에 쿠션을 깔고 다녀야 할것 같습니다.

 

일단 구조를 보면 우측 상단에 M.2SSD가 보이고요 하이닉스 250GB가 하나 있고 추가 슬롯이 존재 합니다.

 

 

 

 

RAM은 임베디드 되어있고 추가 슬롯은 보이지 않습니다.

 

 

 

CPU와 연결된 쿨러가 하나만 있는데 하나로 가능한지 모르겠습니다.

 

 

받데리를 하단 중앙에 배치해서 상단 부품들과 무게를 분산한듯 하네요.

 

 

원래 목표는 집에 굴러다니는 2.5인치 SSD를 추가하고 RAM도 추가하려고 했는데 그램의 이름값을 맞추기 위해 많은 부분에 제약을 가한것 같습니다.

아직 개발 퉅을 설치하지는 않았지만 후회 되지 않는 선택이길 바래봅니다.

 

- copy coding -

 

화면에 텍스트를 출력 하는데 일부 글자를 강조하기 위해 색을 사용해야 하는데 필요에 따라 텍스트가 변경되는 경우 이미지로 하기도 어려운 조건인 경우 html tag를 이용하여 쉽게 해결할 수 있습니다.

사용법도 그냥 html tag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전혀 어렵지도 않습니다.  먼저 text를 출력할 TextViewButton을 하나씩 만들어 주고

 

<TextView
   
android:id="@+id/tvHtml"
   
android:layout_width="match_parent"
   
android:layout_height="321dp"
   
android:textAlignment="center"/>

<
Button
   
android:id="@+id/button"
   
android:layout_width="wrap_content"
   
android:layout_height="wrap_content"
   
android:layout_marginBottom="180dp"
   
android:text="Button"
   
app:layout_constraintBottom_toBottomOf="parent"
   
app:layout_constraintEnd_toEndOf="parent"
   
app:layout_constraintHorizontal_bias="0.498"
   
app:layout_constraintStart_toStartOf="parent" />

 

java 파일에서 Html.formHtml()만 사용하면 됩니다.

 

String htmlText = "<h1>Hi</h1><br>blue<font color='green'>Blue</font>bl<font color='red'>u</font>e";
htmlText +=
"<p><i>test</i> <u>under</u>";
TextView tv = (TextView)findViewById(R.id.
tvHtml);
tv.setText(Html.fromHtml(htmlText));

String htmlBtn =
"B<font color='red'>u</font>tt<font color='blue'>o</font>n";
Button btnHtml = (Button)findViewById(R.id.
button);
btnHtml.setText(Html.fromHtml(htmlBtn));

 

 

이렇게 일반 텍스트와 버튼에도 쉽게 적용이 가능 합니다.

 

- copy coding -

 

안드로이드에서 사용하는 이미지는 해상도에 따라 다르게 적용하는데 최초에 파일을 저장하려면 drawable v24 폴더만 존재하기 때문에 고해상도용 이미지를 저장할 폴더는 신규로 생성해야 합니다.  생성 방법은 몇번의 마우스 클릭만으로 가능 합니다.

 

res에 마우스 포인터를 위치하고 우클릭을 해줍니다. 

New > Android Resource Directory

 

 

그리고 팝업 메뉴에서 Android Resource Directory를 선택 합니다.

그러면 팝업 창이 나오는데 여러 리소스들을 추가할 수 있지만 여기서는 이미지 관련 작업을 하기위한 선택을 합니다.

 

Resource type을 drawable로 선택하면 Directory Name은 자동으로 변경됩니다.

그리고 좌측 하단에서 Density를 클릭하고 중앙에 있는 [>>] 버튼을 클릭하면 아래와 같이 우측에 Density라는 타이틀이 생성되면서 select 박스가 나오는데 확장해 보면 해상도별 생성 가능한 폴더 목록이 표시됩니다.

 

 

select option 중 원하는 해상도 폴더를 선택하고 [OK] 버튼을 클릭해 줍니다.  눈에 보이지는 않지만 drawable 폴더에 새로운 폴더가 생성이 되었습니다.

 

확인을 하러면 drawable에 파일을 복사해보는 수 밖에 없는데 파일을 하나 추가 하면

 

처음에 없던 새로 생성한 폴더가 선택할 수 있는 목록에 추가되어 나타납니다.

다른 해상도 폴더도 동일하게 생성해서 사용하면 됩니다.

 

- copy coding -


1···17181920212223···118

+ Recent posts